대한불교 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인 ‘장곡사(長谷寺)’는, 충남 청양군 대치면 장곡리에 소재한다. 사지에 의하면 장곡사는 통일신라시대 문성왕 12년인 850년에, 보조선사가 창건한 후 여러 차례에 걸쳐 중수되었다. 장곡사는 두 개의 대웅전을 갖고 있는 절로 유명세를 타고 있는 사찰이다.

 

7월 14일(일), 엄청나게 들이 붓는 장맛비 속에서 찾아간 장곡사. 경사진 산비탈에 여지저기 전각들이 서 있고, 산비탈에는 몇 백 년은 족히 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나무들이 서 있다. 그런 나무들만 보아도 장곡사의 역사를 가늠할 수가 있다. 장곡사는 왜 두 개의 대웅전을 갖고 있을까?

 

 

왜 두 개의 대웅전을 갖고 있을까?

 

장곡사 경내로 들어서면 운학루와 보물 제181호인 조선조에 지었다는 하대웅전을 만날 수가 있다. 하대웅전의 전각 안에는 보물 제33호로 지정이 된 고려시대에 조성한 금동약사불좌상이 모셔져 있다. 그리고 하대웅전 뒤편으로 난 산으로 오르는 계단을 따라 오르면, 보물 제162호인 상대웅전을 만난다. 상대웅전의 전각 안에는 국보 제162호인 통일신라시대의 철조약사불좌상과 석조대좌, 그리고 보물 제174호인 철조비로자나불좌상과 석조대좌가 나란히 봉안되어 있다.

 

그런데 문제는 왜 장곡사에는 대웅전이 두 개일까 하는 점이다. 구전이겠지만 2005년 장곡사를 찾았을 때, 그 이유를 들은 적이 있다.

 

‘장곡사의 대웅전은 원래 상대웅전이다. 그런데 상대웅전에 모셔놓은 철조약사불좌상이 하도 영험해 이곳에 와서 병이 낫기를 바라고 불공을 드리는 사람은 모두 완치가 되었다. 그 소문을 듣고 너무 많은 사람들이 전국에서 몰려와, 약사불 한 분을 아래쪽에 하대웅전을 짓고 모셔놓았다.’는 이야기를.

 

그래서인가 장곡사 하대웅전에도 석가모니불을 모시지 않고, 금동약사불좌상이 모셔져 있다. 이번에 장곡사를 답사하면서도 그런 이야기를 확인하고 싶었지만, 워낙 많이 쏟아지는 장맛비로 인해 여정을 서두르는 바람에 미쳐 확인을 하지 못했다.

 

 

범종루에 있는 기물 두 가지

 

장곡사 경내에 들어서면 운학루 옆에 범종루가 자리하고 있다. 범종루는 종과 북, 운판과 목어 등을 보관하는 곳이다. 이 범종루에 있는 네 가지를 ‘불전사물’이라고 부른다. 이 범종각에 있는 불전사물은 무슨 의미가 있을까?

 

범종은 용뉴와 음통, 그리고 종 등으로 연결이 된다. 이 범종에서 걸 수 있도록 조성한 용뉴는 용왕의 아들인 ‘포뢰’를 상징하는 욤머리를 조각한다. 그리고 대개 몸통에 조각을 하는 보살상은 지옥에 있는 중생들을 구제하려는 목적이다. 즉 범종은 온 우주의 모든 생명을 깨우치는 대자대비의 소리라고 볼 수 있다.

 

불전사물은 처음에 법고를 먼저 치고 나서, 그 다음에 종을 친다. 그리고 목어와 운판의 순으로 진행을 한다. 법고는 대개 범종루의 대들보 등에 매달거나, 법고좌라는 북의 받침에 올려놓기도 한다. 법고는 온 사바세계에 부처님의 말씀을 전한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법고는 소가죽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축생을 제도한다는 뜻이 강하다.

 

 

목어는 나무로 물고기 형상을 조각하여 그 속을 파내고, 채로 속의 안면을 두드려 소리를 낸다. 목어는 바다 속에 살고 있는 생명들을 제도한다는 뜻이 담겨있다. 운판은 청동으로 만든 금속판을 두드려 소리를 낸다. 이 운판은 뭉게구름 모양으로 만들어 ‘운판(雲版)’이라고 했으며, 이는 대개 모든 것을 배불리 먹인다는 뜻을 함께 갖고 있다.

 

일설에는 중국 송나라 때 운판을 공양간에 매달아 놓고 대중들을 모이게 할 때 쳤다고 한다. 이런 점으로 보면 운판은 모든 생명을 배불리 먹인다는 의미가 담겨져 있는 듯하다. 거기다가 공양간에 이 구름처럼 생긴 운판을 매달아 놓은 것은, 화재를 막기 위한 뜻도 있을 것이다. 구름이 비를 불러오기 때문이다.

 

 

장곡사 법고와 통나무 그릇

 

범종각 왼쪽에는 찢어진 큰 북 하나가 매달려 있다.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이 큰 북은, 오랜 옛날 장곡사에 있던 한 승려가 국난을 극복하고 중생을 계도하는 뜻에서 코끼리 가죽으로 만들어졌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 북은 생김새가 지금의 북과는 다른 부정형으로 북통이 조형되어 있다. 앞 뒤편의 가죽은 모두 찢어졌으나, 북통은 그대로 보존을 하고 있다.

 

 

대북의 반대편 바닥에는 통나무 그릇 하나가 보인다. 이 통나무그릇은 오래전 장곡사 승려들이, 밥통 대신 사용하던 생활도구로 전해오고 있다는 것. 길이 7미터, 폭 1미터, 두께 10Cm인 이 통나무 그릇의 바닥 한 복판에는 물이 나갈 수 있는 배수구가 보인다. 도대체 장곡사에 얼마나 많은 승려들이 살았던 것일까?

 

장대비 속에서 만난 장곡사 범종각의 두 가지 기물. 대북과 통나무 그릇의 연대는 알 수 없었지만, 이것만 갖고도 과거 장곡사의 크기를 짐작할 수가 있다. 어찌 꼭 문화재로 지정이 된 것만 중요한 것일까? 이렇게 과거의 소중한 기물 하나가 주는 의미는 또 다른 깊은 뜻이 있는 것을.

 

‘줄무덤’이 있다고 한다. 천주교 성지인 ‘청양 다락골 줄무덤’. 직접 보지 않는다고 해도 ‘줄무덤’이라고 한 것만 보아도 대충 짐작이 간다. 오죽하면 줄무덤이라는 명칭을 사용했을까? 문화재 답사를 다니다가 보면, 가끔은 이런 역사의 아픈 흔적을 만나보기도 한다. 이번에도 문화재를 찾아 지나는 길에 만나기 된 줄무덤.

 

청양군 화성면 농암리 다락골 길 78-6에 소재한 이 다락골 성지는 칠갑산과 오서산의 중간에 자리하고 있다. 고택을 찾아 화성면 기덕리를 찾다가 우연히 안내판을 보고 찾아간 다락골 성지. 입구에 작은 성당이 있고, 마침 일요일이라 그런지 사람들이 여기저기 눈에 띤다. 저들도 이곳의 아픔을 보고 찾아 온 것일까?

 

 

병인박해 당시 처형당한 순교자들의 무덤

 

다락골 성지는 헌종 5년인 1839년 옥사한 후 103위 순교성인의 한 사람이 된 최경환(프란치스코)과 그의 장남이자 대한민국의 두 번째 한국인 사제인 최양업(토마스, 1821~1861) 신부가 태어나 자란 생가 터가 있는 곳이다. 또한 이곳은 1866년 병인년에 있었던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천주교 박해 사건인 병인박해의 아픔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병인박해(丙寅迫害)는 고종 3년이던 1866년에 벌어진 천주교 최대 박해 사건이다. 병인박해는 ‘병인사옥(丙寅邪獄)’이라고도 불리우며, 당시 평신도와 프랑스 파리 외방전교회 출신 선교사 등 약 6천여 명을 처형하였다. 줄무덤은 바로 병인박해 때 포졸들의 급습에 의해 잡혀서 처형을 당한, 홍주(현 홍성)와 공주의 무명 순교자 37기의 무덤이 있는 성지이다. 그들의 시신을 야음을 타 시신을 매장한 곳이다.

 

 

다락골 줄무덤에 오르다

 

주차장 바로 옆에 ‘줄무덤 가는 길’이란 안내판이 있다. 그 길을 따라 천천히 산으로 오른다. 그리 가파르지 않은 산길이지만, 장마철에 숲은 습하기가 이를 데 없다. 땀이 비 오듯 한다. 조금 오르다가 보니 조형물이 하나 보인다. 무명 순교자상이란 조각이다. 한편에는 사망, 또 한편은 부활이란 제목을 달고 있다.

 

십자가의 길로 명명된 산길을 오른다. 독 모양의 조형물에 조각을 한 예수의 모습들이 보인다. 골고다의 언덕으로 십자가를 지고 오르는 예수의 모습이 조각되어 있는 조형물. 어쩌면 이곳 줄무덤에 잠들어 있는 순교자들도 그와 같은 마음을 갖고 당당하게 처형을 당한 것은 아니었을까?

 

 

조금 더 오르다가 보니 양편으로 길이 갈라진다. 좌측 길은 1, 2 줄무덤으로 가는 길이고, 우측 길은 제3 줄무덤으로 오르는 길이다. 잠시 생각을 하다가 3 줄무덤으로 오르는 우측 길을 택했다. 비가 내린다. 바쁜 답사를 하느라 땀으로 젖은 몸을, 잠시나마 시원하게 만들어주는 비가 오히려 고마운 날이다.

 

순교자들 앞에 고개를 조아리다.

 

갈라진 길에서 우측으로 난 계곡 길을 따라 조금 더 오르다가 보면 여기저기 조형물을 설치하기 위해 조성을 한 공터들이 보인다. 저 곳에도 언젠가는 순교자들을 기리는 멋진 조형물이 들어차기를 기대한다. 잔디가 그리 오래지 않아 깔린 위에 순교자들의 작은 무덤들이 보인다.

 

 

이곳이 바로 다락골 성지 제3 줄무덤이란다. 흐르는 땀을 닦아낼 틈도 없이 먼저 고개를 숙인다. 자신이 믿는 종교관이 뚜렷하기에 죽음을 맞이한 그분들에게 경의라도 표하는 것이 예의란 생각에서이다. 변변하지 않은 봉분과 작은 비석들. 그러나 그 마음만은 어느 거대한 무덤보다도 컷을 것이다.

 

비가 또 뿌리기 시작한다. 괜히 울컥한 마음을 숨기기라도 하려는 듯, 걸음을 재촉해 본다. 오를 때마다 더 무거워진 발길이다. 그래도 산 밑에서 계곡을 따라 올라온 바람 한 줄기 있어, 볼을 타고 흐르는 빗물을 닦아낸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