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 없이 화성을 걸었다. 10년 넘게 화성을 촬영하면서 아픔도 보았다. 바로 서장대가 화재로 인해 소실이 된 사건이다. 지금은 번듯하게 제 모습을 하고 있는 서장대를 바라보면 늘 고마움을 느낀다. 서장대는 팔달산의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하고 있다. 정조대왕은 8일간의 화성 행차 때 이곳에서 밤에 군사훈련을 주도했다. ‘야조가 그것이다.

 

26e수원뉴스 김우영 주간과 함께 서장대에 올랐다. 화성을 돌아보는 사람들 누구나 이곳을 오른다. 하지만 서장대만 바라보았지, 그 뒤편 서장대의 성벽을 살펴보는 것을 차근차근하지 않는다. 그런데 성벽이 이중으로 쌓여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곳에 총안이 있다. 그냥 성벽을 걷는 길인 줄로만 알았는데 이중의 성벽이라니.

 

암문을 통해 성 밖으로 나가보았다. 무심히 지나쳤던 화성 서장대의 밖의 성벽. 참 어지간히 바보라는 생각이 든다. 성벽 위 여장에 난 총안이 아니라 성벽에 총안이 있다. 총안마다 네모나게 단단히 총안 주변을 돌을 쌓았다. 그리고 이곳의 여장에는 틈이 없다. 여장을 붙여 설치를 했다. 중요시설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적이 왔다면 지례 기겁을 할 판

 

서장대 밖의 성벽을 보다가 또 다른 화성을 만났다. 만약에 이곳에서 전투가 벌어졌다고 하면, 가파른 팔달산을 힘들여 올라온 적들이 숨조차 돌리기 전에 미리 기겁을 하고 죽을 판이다. 여장에서만 화살과 총알이 날아오는 것이 아니라, 성벽에서도 끓는 물과 화살과 총알이 날아온다고 생각을 해보라. 그 자리에서 지례 겁을 먹고 숨이 멎을 판이다.

 

정말 대단한 화성인데 한 번도 이곳에서 전투가 벌어지지 않은 것이 아깝네.”

아마 적들이 힘들게 여기까지 기어올라 왔다면 그 자리에서 바로 죽음이라니

 

서장대 바깥의 성벽을 보면서 놀라움이 이어진다. 도대체 어떻게 이렇게 성을 쌓을 생각을 한 것일까? 주요시설마다 여장의 틈을 주지 않은 것도 놀라운데, 이중으로 된 성벽에 난 총안이라니. 새삼 화성의 견고함에 놀랄 수밖에.

 

 

쐐기흔적을 찾아내다.

 

서장대 바깥은 돌들이 여기저기 놓여있다. 바위를 절개한 흔적으로 보니, 이곳에서도 화성을 쌓을 때 돌을 뜬 곳이다. 수십 번을 이곳을 지나치면서도 돌을 떴다는 생각만 했지, 화성을 쌓을 때 돌을 떠내기 위해 쐐기를 박았던 흔적을 찾아볼 생각을 하지 않았다. 이중으로 쌓은 화성을 보고난 뒤, 이곳에도 쐐기를 박았던 흔적이 있을 것 같아 두 사람이 여기저기 살펴보기 시작했다.

 

여기 있어요.”

김우영 주간이 작은 바위 하나를 가르친다. 작은 돌 하나에 쐐기를 박기 위해 파 놓은 자욱이 그렇게 남아있다. 서장대 바깥의 성벽은 멀리가지 않고 바로 밑 바위를 쪼개 쌓았다는 것이다. 하긴 이 꼭대기까지 어떻게 큰 돌을 날라다가 성벽을 쌓았을까? 그 흔적 하나가 화성의 또 다른 비밀을 알려주고 있다.

   

화성은 100바퀴를 돌아야 전부를 알 수 있다

언젠가 화성을 답사하다가 만난 어르신의 말씀이다. 그 때는 속으로 ‘100바퀴씩이나하는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화성은 돌아보면 돌아볼수록 알지 못했던 것들이 눈에 띠기 시작한다. 이제야 그 어르신이 정말 화성의 모든 것을 알고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

 

가을날의 오후, 새삼스럽게 화성이 아름답다는 생각이 든다. 전부를 알 수 없는 화성, 정말 100바퀴를 돌아보아야 할 것만 같다. 돌아보면 또 다른 무엇이 놀라게 하는 화성. 오늘 또 화성의 숨어있던 한 곳을 찾아낸다. 답사의 즐거움이다.

 

사적 제471호 위봉산성은 조선 후기 변란을 대비하여 주민들을 대피 시켜 보호할 목적으로축성된 산성이다. 이 산성은 험준한 지형을 이용하여 조선조 숙종 원년인 1675년부터 숙종 8년인 1682에 걸쳐 쌓은 포곡식 산성이다. 위봉산성을 쌓을 때는 이웃 7개군민을 동원하여 쌓았다고 한다. 위봉산성의 성벽 높이는 1.8 ~ 2.6m 이고 길이는 16km에 달한다.

 


 

 

산성 내 시설물로는 성문 4개소, 암문지 6개소, 장대 2개소, 포루지 13개소와 그 외에 추정 건물지 15개소, 수구지 1개소가 확인되었다. 위봉산성은 다른 산성과는 달리 군사적 목적뿐만이 아니라, 유사시 태조 이성계의 어진을 모시기 위한 행궁을 성 내부에 두는 등 조선 후기 성곽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위봉산성은 완주군 소양면 천녀 고찰 송광사 곁을 지나 고개를 넘어 위봉사로 가는 길에 만난다. 산을 굽이굽이 돌아 오르는 길을 숨가쁘게 올라가면 그 고개마루에 위봉산성이 자리한다. 산성의 좌측으로는 성문자리가 있고, 우측으로는 30m 정도의 성벽을 정리했다. 성문지는 잘 보존되어 있으나, 성문지 위에 있을 누각이 사라져 네모진 구멍으로 위가 올려다 보인다. 성문은 외성을 쌓아 적이 성문에 접근 할 수 없도록 하였다.

 

산성 성문지 부분이 보존되어 있다. 위봉산성의 성벽 높이는 1.8 ~ 2.6m 이고 길이는 16km에 달한다

위봉산성 의 성문지. 비교적 잘 보존이 되어있다

성문지 위에 누각이 소실되 구멍이 뜷려있다

 

도로가 성벽을 끊고 있는데 건너편에 보면 성벽위로 여장, 총안을 둔 것들이 잘 보존되어 있다. 성 안으로 찬찬히 훑어보면 다른 성과는 다른 것을 느낄 수가 있다. 성벽을 쌓은 돌이 다듬지 않은 자연석 그대로를 쌓아놓았다. 자연미가 풍기는 성벽은 오히려 다듬은 성벽보다 아름답다. 울퉁불퉁한 성 돌을 그대로 맞추어 쌓아놓은 성벽이 친근감을 느끼게 하는 성이다.   

 

성문을 보호하는 옹성. 옹성은 적으로부터 성문을 보호하는 중요한 시설이다

성문을 부수기 위해 옹성 안으로 적이 들어오면 사면에서 적을 공격할 수 있다

 

위봉산성은 전투에서 적을 방어하기 위한 목적만 있는 것이 아니라, 전주 경기전에 있는 태조의 어진과 패 등을 옮겨 보호하기 위한 성이기도 하다. 또한 변란이 일어나면 백성들을 피신시키기 위한 곳이기도 하다. 가파른 산등성이를 따라 축조된 위봉산성은, 1894년 갑오농민혁명 때, 전주성이 농민군에게 함락이 되자 태조의 어진을 옮겨 모셔 제 역할을 톡톡히 하기도 했다. 성 안에는 위봉폭포와 위봉사가 있어 늦가을 바람 따라 찾아가 볼만한 곳이다. 역사를 따라 길을 간다는 것은 또 다른 즐거움을 주기 때문이다.

화서문은 수원 화성의 서문이다. 화성에는 세 곳이 보물로 지정이 되어있다. 서북공심돈과 방화수류정, 그리고 보물 제403호인 화서문이다. 화서문은 화성의 4대문 중에서 원형을 가장 잘 보존하고 있는 문이기도 하다. 화서문의 편액은 좌의정 채제공이 썼다. 화서문은 동남으로 행궁과 460보 떨어져 있다.

 

화서문은 안팎으로 홍예를 설치하였는데, 안쪽은 높이가 16척 너비가 14척, 바깥쪽은 높이가 15척 너비가 12척, 전체 두께는 30척이다. 좌우의 문루 위 전각으로 오르는 돌계단을 꺾어지게 해서 층을 만들었다. 안쪽 좌우의 무사는 아래 너비가 각각 9척이고, 바깥쪽은 너비가 각각 22척 2촌이다.

 

 

 

옹성의 제도는 어떠했나?

 

서옹성의 제도는 동옹성과 같은데 높이는 11척, 안쪽 둘레는 76척으로, 정문에서 36척 떨어져 있으며 바깥 쪽 둘레는 110척이다. 옹성의 제도는 고제에서 한 쪽만을 연다는 뜻을 취하여 옹성을 쌓았다.

 

성문의 왼쪽에 이르러서는 원성과 연결되지 않고, 외문을 설치하지 않아서 경성의 흥인문 옹성의 제도와 같게 하였다. 안과 바깥 면 모두에 평평한 여장을 설치하고, 외면에는 방안 총혈 19개의 구멍과 활 쏘는 구멍 6개를 뚫었다. 옹의 높이는 9척 6촌이고 내면은 돌로 쌓았는데 둘레가 57척이고 정문과 거리는 28척이다.

 

 

외면은 벽돌로 쌓았는데 둘레가 91척이고 아래 두께는 11척 5촌이며 위의 두께는 줄어서 10척 5촌이다. 내면은 벽돌로 된 누조 4개를 설치하였다. 평평한 여장으로 둘렀는데 높이는 3척 두께는 2척 5촌이다. 바깥 면은 현안 셋을 뚫었다. 여장 4첩을 설치하였는데 높이는 4척 5촌이고 원총안과 근총안 14기를 뚫었다.

 

적에게 어떤 공격을 할 수 있었을까?

 

만일 적과 교전이 벌어졌다고 하면, 화서문의 화력을 어느 정도였을까를 유추해 보자. 우선은 화서문 자체의 화력만 갖고도 섣불리 접근을 할 수가 없다. 멀리서 오는 적은 원총안에서 쏟아지는 조총의 총탄을 피하기도 어려운데, 많은 인원이 몰려 가까이 접근을 한다고 해도 활을 쏘는 구멍에서 날아오는 화살을 피하기가 어렵다.

 

 

 

또한 용케 성벽 가까이 다가온다고 하면 가까운 거리의 적을 쏠 수 있는 근총안(근총안은 밑으로 비스듬히 뚫려있다)에서 날아오는 탄환을 피하기가 어렵다. 거기다가 화서문을 지키는 장용영의 군사들은 여장이 보호를 하고 있어, 적에게 노출이 되지 않아 손을 쓸 수가 없다.

 

그것만이 아니다 성문을 벗어난 성벽에도 무수히 많은 군사들이 여장 뒤에 몸을 숨기고 총과 활을 쏘아댄다. 우리의 전통 활인 각궁은 그 사거리가 145m에 이른다, 가까이 오기도 전에 화살을 맞거나 원총안에서 쏟아지는 화력을 당할 수가 없다. 또한 화서문의 바로 곁에는 소라각이라 부르는 서북공심돈이 자리한다. 서북공심돈과 화서문의 병사들이 함께 적을 향해 공격을 한다고 하면, 당시를 생각하면 그 화력이 엄청났을 것이다.

 

 

 

적이 공격을 할 수 있는 방법은?

 

장안문과 팔달문은 옹성의 열린 부분이 없다. 다만 옹성 중앙에도 철갑문이 있을 뿐이다. 하지만 화서문과 창룡문은 고제에서 언급했듯, 한편을 틔어놓았다. 그러나 그 트인 부분으로 공성무기를 끌고 들어오기는 어렵다. 더구나 힘을 받기 위해서는 적당한 공간을 필요로 하는데, 옹성 안은 그렇게 넓은 공간이 아니다.

 

만일 옹성의 터진 부분의 성벽을 깨고 들어오고 싶어도 불가능하다. 옹성은 외벽은 전돌이지만, 내벽은 단단한 돌을 이용해 쌓았다. 또한 옹성의 열린 부분의 일부는 크고 단단한 돌로 쌓아, 공성무기 등으로 무너트릴 수가 없다. 공성무기를 사용하지 않고 성문을 부수기 위해 옹성 안으로 들어온다고 하면, 그것은 자살행위나 마찬가지이다.

 

 

 

옹성 안에 들어온 적은 사면에서 공격을 받게 된다. 그 안에 들어왔다는 것 자체가 불행한 일이다. 이렇게 철통같은 방어와 공격을 할 수 있는 화서문이다. 거기다가 성벽위에는 쇠뇌와 불랑기포로 무장한 장용영의 군사들이 지키고 있었다. 불랑기포는 1호에서 5호까지 있었는데, 1호의 길이는 9척에 달했다고 한다. 이렇게 큰 것으로 보아 이것은 대형포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먼 거리에 있는 적도 사살할 수 있는 쇠뇌와 불랑기포, 불랑기포는 세 곳의 공심돈에서 사용하는 주력무기였다. 화서문 바로 옆에 자리한 서북공심돈에도 대형 화포인 불랑기포가 있었다는 것이다. 쇠뇌는 긴 창을 이용한 화살이다. 강력한 힘으로 날아가는 쇠뇌에, 조총과 활로 무장을 한 화성의 주둔 병사들이었다.

 

결국 당시의 화력으로는 화성을 범접할 수가 없었다는 결론이다. 화서문 하나로만 보아도 화성이 얼마나 방어와 공격을 동시에 할 수 있었는가를 유추할 수가 있다. 우리가 화성을 막강한 군주의 위엄을 보이는, 최고의 성곽이라고 하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

풍남문은 전주시 완산구 전동 2가 남문시장 인근에 자리한다. 이 풍남문은 보물 제308호로 지정이 되어있으며, 전주읍성의 남쪽 문에 해당한다. 읍성이란 지방행정의 중심지가 되는 곳으로, 고을을 둘러쌓았던 성을 말하는 것이다.

 

풍남문은 선조 30년인 1597에 일어난 정유재란 때 파괴된 것을, 영조 10년인 1734년 성곽과 성문을 다시 지으면서 '명견루'라고 불렀다 한다. '풍남문(豊南門)'이라는 명칭은 영조 43년인 1767년 화재로 불탄 것을, 관찰사 홍낙인이 영조 44년인 1768년에 풍남문을 중수하면서 붙인 것이다. 풍남문은 조선조 순종 때 도시계획으로 성곽과 성문이 철거되면서 많은 손상을 입었는데, 현재의 풍남문은 1978년부터 시작된 3년간의 보수공사로 옛 모습을 되찾은 것이다.

 

 

 

특별한 기둥의 수법이 뛰어나

 

풍남문의 규모는 1층은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지어졌고, 2층은 정면이 3칸인데 비해 측면은 1칸이다. 이렇게 갑자기 이층 누각이 줄어든 것은 1층 안쪽의 기둥을 그대로 이층까지 올려 모서리 기둥으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기둥을 사용하는 수법은 우리나라의 문루 건축상 매우 드문 형태이다.

 

풍남문의 지붕은 팔작지붕으로 꾸며졌으며, 지붕의 처마를 받치기 위해 짠 장식은 기둥위에만 있는 주심포계로 구성되었다.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해태 등 동물들을 장식한 것도 풍남문의 또 하나의 특징이다. 풍남문의 부재에 사용된 조각이나, 가운데칸 기둥 위에 용머리를 조각해 놓은 점들로 보아 풍남문의 건립년도는 조선 후기에 지어진 건축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견고한 성곽, 수원 화성을 닮아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화성을 축조하고 난 뒤, 우리나라의 모든 성곽은 화성을 기본으로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풍남문과 연결이 되는 전주읍성의 경우에도 문을 받치고 있는 아랫부분의 성곽을 보면, 화성도 같은 형태로 되어있다.

 

문루에는 성 안쪽으로는 '호남제일성(湖南第一城)'이라 적고 있으며, 성문을 에워싸고 있는 옹성 쪽인 성 밖으로는 풍남문이라는 현판을 걸고 있다. 성을 쌓고 있는 돌은 서로 귀퉁이를 깎아내 엇물리게 만들었다. 이는 성곽을 더 견고히 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인다.

 

 

 

 

 안에서 성문을 바라보며 밖으로 옹성이 보인다. 옹성 한편에만 출입구를 내어 적이 공격을 할 때 어려움을 겪도록 만들었다. 옹성은 문을 위주로 둥글게 반원으로 꾸며졌으며, 옹성 위에도 길을 낸 후, 여장을 쌓고 총안 등을 내어 내외의 적을 공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성문은 두꺼운 철판을 입혀 적이 공성무기나 불 등으로 공격을 해도 잘 버틸 수 있도록 하였다.

 

지금은 전주 남문시장과 접해있어 풍남문을 주위로 원을 그리며 많은 차량들이 지나다니고 있다. 성벽은 중앙에 문루를 중심으로 양편에 포 등을 설치한 치와 같은 형태의 구조물이 있다. 양편으로 성곽이 연결되어 있던 부분인 듯하다. 성안에서 양편으로 오르는 계단이 있으며, 좌측 위에는 포가, 우측 위에는 종이 달려있다. 위를 올라갈 수가 없어 이 종이 정확하게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가는 알 수가 없다.

 

 

 

어디나 그러하지만 문화제를 보존한다는 명목으로 모든 곳을 출입하기가 쉽지가 않다. 풍남문도 위로 오르는 계단에 출입통제 목책을 세워놓아 위로 오를 수가 없다. 위편을 찍으려면 아무래도 계단을 올라야 한다. 문화재를 보존할 수 있는 길이 무조건 문을 잠가버리는 것만이, 최고의 보존방법이 아니라는 점을 인식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세계문화유산 화성을 걷다(8) - 서장대와 서노대

화성을 한 바퀴 돌다가 보면 사방이 한 눈에 들어오는 곳이 있다. 바로 ‘화성장대’라 불리는 ‘서장대’이다. 서장대는 팔달산의 산마루에 있는데, 서장대 위에 올라가 사방을 굽어보면 사면팔방으로 모두 통하는 곳이다. 석성산의 봉화와 대항교의 물이 한 눈에 들어온다. 이 산 둘레 백리 안쪽의 모든 동정은 앉은 자리에서 변화를 다 통제할 수 있다는 곳이다.


서장대, 한 때 어느 취객에 의해 웅장한 서장대가 불에 타기도 했다. 그러나 <화성성역의궤>에 의해 다시 옛 모습을 찾았다. 그 문지방 위에는 정조임금께서 쓰신 큰 글자인 [화성 장대(華城將臺)]로 편액을 붙였다.

정조 이산의 꿈은 무엇일까?

정조임금은 이 장대에 올라 장용위 군사들을 호령했다. 이산은 이곳에서 무슨 꿈을 꾸었을까? 강력한 왕권을 갖고 북진을 하여, 옛 고토를 회복하고 싶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아마도 이 장대 위에서서 사면팔방을 바라보면서, 막힘없이 달려가는 병사들의 무한한 힘을 바라보았을 것이다.




장대에는 항상 많은 사람들이 모여든다. 그곳에서 담소를 나누기도 하고, 사랑을 엮어가기도 한다. 그러나 정작 이곳에 깃든 이산의 꿈이 무엇인지를 생각한 사람이 있었을까? 난 늘 이곳을 올 때마다 생각을 한다. 아마도 이곳에서 정조임금의 꿈을 이 나라의 청년들에게 알려줄 수만 있다면, 저마다 큰 꿈을 키워나갈 수가 있을 텐데. 늘 그것이 아쉽다는 생각이다.

장대에는 모두 네모난 벽돌을 깔고 바깥에는 둥근 기둥 12개를 세웠는데, 그 높이가 각각 7척이고 이것을 팔각형의 돌기둥으로 받치었고 있는데 그 높이는 각각 3척 5촌이다. 위층은 한 간인데 사면에 교창을 내고 판자를 깔아 바닥을 만들었는데, 그것이 그대로 아래층의 반자가 되었다. 그 서북쪽 모퉁이에 층사다리를 세워서 위층으로 통하게 하였다.




다연발 화살을 쏘아대는 노대

서장대의 뒤에는 ‘서노대’가 자리한다. 원래 노대는 <무비지(武備志)>에 설명하기를, 위는 좁고 아래는 넓어야 하며 대 위에 집을 짓는다고 하였다. 그 모양이 전붕과 같이 하고, 안에는 화살을 쏘는 노수가 들어갈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노대의 설명을 보면 「현재의 노대는 그 제도를 본떠서 짓되 약간 달리 하였다. 집을 얹지 않고 대를 8면으로 하되 깎아지른 듯이 우뚝 서있게 지었다. 면마다 아래 너비 각 8척 5촌, 위의 줄어든 너비 각 각 6척 5촌, 높이 12척, 지대 위에 체벽으로 면을 만들고, 돌을 깎아 모서리를 만들었다. 위에는 장대를 얹고 凸 모양의 여장을 7면에 설치하였다.」




고 하였다. 장대 쪽으로는 돌계단을 만들어 놓았으며, 상부를 둘러 총안을 낸 여장을 둘러놓았다. 대 위에는 네모난 전돌을 깔았는데 아마도 이곳에서 쇠뇌를 쏘았을 것이다. 쇠뇌란 다연발로 발사하는 화살을 말한다. 쇠로 된 발사 장치를 갖고 있는 이 쇠뇌는 가공할만한 파괴력을 갖고 있었다는 것이다.

정조임금 이산의 꿈은 무엇이었을까? 사방이 훤히 바라다 보이는 이곳에서 군사들의 움직임을 내려다보는 정조는 더 강한 군사력을 필요로 했을 것이다. 그리고 이곳에서 많은 군사들의 위용을 보고 있는 조정 대신들의 모습도 살펴보았을 것이다. 미처 이루지 못한 이산의 꿈을 지금 이 땅의 젊음에게 전해줄 수는 없는 것일까? 철모르는 사랑타령을 하고 있는 한 젊은 연인이 조금은 아쉬운 까닭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