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팔달구 팔단산로 28(매산로 2가 산 2-1)에 소재하고 있는 수원문화원 대강당에서, 설 명절을 하루 앞둔 30일 오후 3시부터 이채로운 행사가 열렸다. ()동아시아전통문화연구원(원장 김용국)이 주관하는 네팔인들의 잔치인 골든 라이브 콘서트가 열린 것이다. 이 자리에는 700명 정도의 네팔 이주노동자들과 결혼이주민이 함께 했다.

 

현재 한국에서 생활을 하고 있는 네팔 이주노동자와 결혼이주민들은 1800명 정도. 그 중에 700명이라는 적지 않은 인원이 모인 것이다. 이들은 서울과 경기도를 비롯해, 부산, 진해 등 전국 각처에서 설 연휴를 맞아 모여든 것이다. 특히 이 행사에는 네팔에서 가수들을 초청해 한 마당 잔치를 열었다.

 

 

네팔서 활동하는 가수들 초청

 

현재 한국에 있는 네팔인들의 모임으로는 이들을 초청할 수가 없습니다. 한국에 있는 이주노동자들 중 불법 체류자들도 있고 해서 초청이 쉽지가 않은 것이죠. 저희 동아시아 전통문화연구원에서 초청을 했습니다. 이번에 네팔서 이 행사를 위해 한국에 온 가수들은 현재 네팔서 많은 활동을 하고 있는 밴드와 팝 가수, 힙합 가수 등이 오늘 무대에 오를 것입니다.”

 

동아시아전통연구원 박용국 원장의 말대로 6인조 밴드 트리니티를 비롯해 팝 가수인 바이구릉 등이 참석을 했다. 행사는 2시부터 시작을 하기로 하였으나, 오후 3시가 다 되어서야 시작이 되었다, 네팔 사회자가 무대에 올라 국민의례로 시작해 김용국 원장의 인사말로 이어졌다. 김용국 동아시아전통연구원 원장은

 

 

오늘 이렇게 네팔인을 위한 축제를 열수 있게 된 것을 먼저 기쁘게 생각한다. 한국에는 많은 네팔인들이 이주를 해 생활을 하고 있는데, 이렇게 명절을 맞이하여 한 자리에 모였다. 이런 행사는 앞으로 한국과 네팔, 네팔과 한국의 우호증진에도 상당히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오늘 즐거운 시간을 갖기를 바라며, 새해에는 모두 복을 많이 받기를 바란다.”고 인사말을 했다.

 

700명의 청중들 환호로 무대 시작해

 

전국에 산재해 생활을 하고 있는 네팔인들이 한 자리에 모이기는 힘들다. 더구나 이들은 이주노동자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렇게 한국의 명절 연휴가 아니면 모이기가 힘들다는 것. 그래서 연휴 첫날인 30일에 날짜를 잡았다고 관계자는 이야기를 한다. 오후 2시부터 시작되는 행사에는 네팔 대사도 참석할 예정이었으나 불참을 통보했다.

 

 

콘서트가 시작되기 전 400여 명이 객석을 차지하고 있었지만, 30여 분이 지나면서부터 몰려든 사람들로 오후 4시가 가까워지자 자리가 없어 통로에 앉아 즐기기도. 가수들이 노래를 할 때마다 연신 환호와 앙코르로 답례를 하는 관중들의 모습은, 이곳이 대한민국의 수원이 아니 네팔의 공연장 같은 분위기였다.

 

앞으로 이런 행사가 많았으면

 

공연 중에 복도에서 만난 한 네팔인은

이렇게 한국에 나와 생활을 하고 있는 네팔인들을 위해 자리를 마련하고, 더구나 네팔 가수들까지 초청을 해 준 것이 깊은 감사를 드린다. 우리들이 한국에 있는 동안 더 많은 것을 배우고, 함께 잘 살아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한다.

 

결혼이민자라고 밝힌 한 여성은

명절 때가 되면 문화가 다른 한국의 명절을 지내기 때문에 조금은 당황스럽기도 했다. 그런데 오늘 이렇게 좋은 자리를 마련해 주어, 그동안 소식이 궁금했던 친구들도 만날 수 있어 행복하다. 남편이 잘 갔다 오라면서 비용까지 주었다. 오늘은 조금 늦게 돌아와도 괜찮다고 친구들과 놀다가 오라고 했다며 즐거워하기도.

 

 

()동아시아전통연구원에서는 2014년에도 다양한 문화교류를 위한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3월에는 1500명 정도가 모이는 네팔인 체육대회도 준비 중에 있다고. 동아시아전통문화연구원은 각국의 전통연희를 중심으로 상호 비교하여 교류하고 있으며,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을 위한 청소년 모임과, 아시안이 여성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꿈과 희망의 마당, 이주민들을 위한 한국의 전통문화강좌 등도 열고 있다.

 

더불어 다문화시대 한국인을 위한 아시아의 전통문화강좌 등 다양한 일을 함으로써, 다문화 시대를 살아가야 하는 이 시대에 맞는 사람과 사람의 화합을 추구하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앞으로 동아시아전통문화연구원을 통해 아시아 각국의 나라들과 더 많은 교류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어정 7월, 동동 8월’이라고 했던가? 시골에서는 7월이 되면 세벌매기가 다 끝나고 잠시 농사일이 한가로움을 맞이하게 된다. 이때는 논에 나가 물꼬를 보고, 봄부터 사용한 호미 등 농기구를 잘 닦아 말려둔다. 하지만 8월은 다르다. 모든 농산물이 수확을 하는 계절이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부지깽이도 뛴다.’라는 표현을 했을까.

 

그런 농사일에 가장 힘이 되는 것은, 역시 판굿(농악)이다. 질펀하게 한바탕 들판에서 벌어지는 판굿은 절로 어깨춤을 추게 만든다. 그런 흥겨운 무대가 7월 4일(목) 오후 7시 30분부터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에 소재한 청소년문화센터 온누리아트홀에서 열렸다. 수원시와 고창군이 예술문화교류로 마련한 걸 판진 무대이다.

 

“속이 다 뻥 뚫린 것 같습니다”

 

 

공연을 보고 나오는 사람들의 얼굴이 성기되어 있다. 1시간 30분 동안 참 신나게 박수치고, 소리를 쳐Tek고 한다. 말이 ‘추임새’라지만, 차라리 함성에 가깝다. 그렇게 한 시간 30분동인 소리치고, 박수치며 신바람이 나게 흥겨워했다.

 

“손바닥이 다 얼얼합니다. 속이 다 뻥 뚫렸어요, 모처럼 좋은 공연을 마련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역시 우리 것은 좋은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이렇게 좋은 것을 마다하고, 왜 만날 서양 것에 목을 매는지 알 수가 없네요.”

 

 

역시 우리 것이 최고라고 말하는 한 시민의 말이다. 함께 온 일행들도 모두 얼굴이 벌겋게 상기되어 있다. 그만큼 속 시원하게 박수치고 소리를 질렀다고 한다.

 

“정말 좋았어요. 단순히 풍물 공연을 보는 것이 아니라, 악가무희가 함께 어우러진 무대를 본다는 것이 신이 났거든요. 이렇게 일주일에 한 번씩만 고함치고 살면 스트레스도 받지 않을 것 같아요”

 

아이들과 함께 왔는데, 생각 외로 아이들도 좋아하더라는 정아무개(여, 38세)의 말이다. 아이들도 덩달아 엄지손가락을 추켜세운다.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7-6호 고창농악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7-6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고창농악은, 고창, 무장, 영광 등지의 해변을 끼고 형성된 농악이다. 호남 우도 농악의 일반적인 성격을 지니면서도, 잡색놀음이 다양하게 발달한 점과 고깔소고놀음이 잘 정리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고깔소고놀이는 머리에 고깔을 쓰고 삼채가락에 맞추어 춤을 흥겹게 추는 것으로서, 가락의 진행과 상황전개에 따라 즉흥적인 동작을 유연하게 구사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을 갖고 있는 고창농악을 무대공연화 시킨 것이 바로 ‘풍무(風舞)’이다. 풍무는 모두 4개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처음에는 ‘각각치배 문안이요’로 풍물의 문굿을 극화한 대목이다. 즉 연초에 마을의 집집마다 다니면서 지신밟기 등을 할 때, 문을 열어달라는 문굿을 무대공연화 시킨 것으로 치기배들의 기량을 선보이게 된다.

 

 

두 번째 과장은 ‘어화들레 아리싸구나’로 농사일을 할 때 세벌매기를 마친 후 농사군들이 한바탕 놀이판을 벌이는 것이다. 세 번째 과장인 ‘내 꽹매기 어디갔소?’는 고창농악에서 등장하는 잡색들의 놀음을 마당극화한 대목이다. 네 번째 과장인 ‘판을 거닐다’는 꽹매기를 찾은 풍물패가 걸 판진 판굿을 벌이는 과정이다.

 

지난 1월 수원시립교향악단이 고창을 찾아가 고창군민들을 위해 공연을 가진 것에 대한 답례로 이루어진 고창농악 한마당. 수원에는 세계문화유산인 화성이 있다고 하면, 고창에는 역시 세계문화유산인 고인돌군이 있어, 서로가 세계문화유산이 있는데다, 수원화성과 고창읍성이라는 성곽을 도심 안에 품고 있는 것까지 닮은꼴이다. 고창농악보존회가 마련한 이번 공연은 수원시의 초대로 이루어졌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