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간이란 절에 행사가 있을 때 그 입구에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놓은 장대를 말한다. 이 당간을 세우기 위해서는 양편에 지주를 세우게 되는데, 이를 당간지주하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신라와 고려를 거치면서 조성 된 수많은 당간지주가 남아있다. 그러나 당간이 남아있는 곳은 그리 흔하지가 않다. 그 중에서도 철로 만들어 진 당간은 공주 갑사와 안성 칠장사, 그리고 청주 등이다.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 2가 번화가에는 철 당간이 한 기 서 있다. 국보 제41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철 당간은 그 모양부터가 웅장하며, 아직도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한 편이다. 이 철 당간이 서 있는 곳은 예전 고려 광종 13년인 962년에 창건된 용두사가 서 있던 자리라고 한다. 용두사는 고려 말의 잦은 전쟁으로 폐사가 되고, 남은 것은 이 당간 한 기뿐이다.


예전 모습 그대로 남아있어

청주 여기저기를 돌아보고 나서 찾아간 철 당간. 앞으로는 젊은이들의 거리가 있다. 여기저기 젊은이들이 길을 메우고 있고, 예전 극장자리라는 곳에 철 당간이 서 있다. 철 당간은 길의 높이보다 조금 낮게 되어있으면 주변은 보호책을 쳐 놓았다. 아마 이렇게 깊게 서 있는 것은, 당시의 높이를 그대로 보존하기 위해서 인 듯하다.

용두사지 철 당간은 밑을 받치고 받침돌이 있고, 양편을 지탱하는 두 개의 지주가 나란히 서 있다. 두 기둥의 바깥 면에는 단조로움을 벗어나기 위해 선으로 돋을새김 하였다. 지주의 윗부분에는 빗장과 같은 장치를 쇠로 둘러 당간을 고정시켰다. 현재 남아있는 철 당간은 원통모양의 철통을 위로 올라갈수록 좁게 만들어 서로 맞물리게 20개를 쌓았다.



현재는 20개의 당간의 높이가 12.7m에 달하지만, 처음 이 철 당간을 제작했을 때는 30개를 연결하여 세웠다고 한다. 청주 용두사지 철 당간은 밑에서부터 셋째 번의 원형철통 표면에 <용두사철당기>라는 명문이 양각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 내용을 보면 건립 년대가 준풍 3년, 곧 고려 광종 13년인 962년 3월 29일이라는 것이다.

홍수를 막기 위해 세운 당간이 용두사지 당간은 다음과 같은 일화가 전해 온다. 예로부터 청주는 홍수가 잦았다고 한다. 백성들이 잦은 홍수로 인해 많은 피해를 입게 되었는데, 어느 점술가가 말하기를 ‘청주는 배의 형상이라 높은 돛대를 세워 놓아야 재난을 면할 수 있다’고 하였단다. 그래서 돛대 구실을 하는 이 철 당간을 세웠더니, 그 때부터 재난이 닥치지 않았다는 것이다. 청주를 ‘주성(舟城)’이라 불렀다고 한다.



당간의 전체 높이 12.7m, 철제 원통당간의 높이는 63cm이며, 지주의 높이는 4.2m이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원래 이 용두사지 철 당간의 높이는 19m에 이른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거대한 철 당간의 모습을 그나마 간직하고 있는 용두사지 당간. 주변에는 많은 사람들이 둘러 앉아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런데 젊은 사람들이라 그런가, 이 당간의 중요성을 알지 못하는 듯하다. 그 옆에 앉아 침을 뱉고 담배를 피워대는 것을 보면.




아무리 세상이 달라졌다고는 하지만, 이런 모습은 정말로 짜증이 난다. 더구나 요즘 젊은이들은 배울 만큼 배운 사람들이 아니던가? 괜한 소리 한 마디를 해보지만, 미안한 기색도 없다. 가면 될 것 아니냐는 그런 표정이다. 그 잘 붙여놓는 금연문구 하나쯤 만들어 놓았다면 하는 아쉬움이 인다. 꼭 그래야만 조심하는 사람들이 더 문제지만. 철에 매연은 상극이라는데 말이다. 주변에서 뿜어나오는 각종 매연도 당간에 영향을 줄텐데, 그 주위에 둘러앉아 억세게 담배를 피워대니 국보의 안전이 온전할까 걱정이 된다.

충북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1가 154, 중앙공원 안에는 '망선루'라 이름을 붙인 누각이 서 있다. 아래는 둥근기둥을 세워 사람들이 밑으로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계단을 올라 이층 누각으로 오를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망선루는 고려시대 청주관청의 하나로, 관리들이 머무는 숙소인 객사 동쪽에 있던 '취경루'에서 유래한 것이다. 망선루는 청주지역에 남아있는 목조건축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망선루에 대한 기록은 고려 공민왕 10년인 1361년에 보인다. 홍건적의 침입을 물리치고 서울로 돌아오는 길에 청주에 머문 기념으로, 청주에서 과거시험을 치르고 합격자를 취경루에 방을 써붙였다는 기록이 있다. 그 후 조선조 세조 7년인 1461년에 목사 이백상이 중수하고, 한명회가 누각의 명칭을 ‘망선루’라 하였다고 한다. 여러 차례의 중수를 거친 망선루는 근세에까지 유지되다가, 일제 때에는 무덕관의 건축으로 철거되기도 했다.  


청주 중앙공원 안에 자리한 망선루
 
역사의 중심에서 수난을 당한 망선루
 
망선루는 1923년에는 남문로 제일교회 뒤편으로 이건되어, 교육 및 집회장소로 활용이 되었다. 그 뒤 기둥이 심하게 부패가 되어 붕괴의 위험이 있다고 하여, 2000년 12월 중앙공원으로 복원을 하여 옮겨 세웠다. 정면 5칸, 측면 3칸으로 마련된 목조 이층 팔작중층 누각인 망선루는, 그렇게 역사의 회오리 속에서 그 중심에 서 있던 건물이다.
   
청주 중앙공원은 늘 많은 사람들로 시끌하다. 한편에서는 술잔을 기울이고 있고, 정신없이 노름 삼매경에 빠진 어르신들도 있다. 윷놀이를 하느라 소리소리 지르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그저 무료하게 소일하는 것이 생활인양 지나는 사람들을 바라보는 재미로 이곳을 찾는 사람들도 있다. 중앙공원 바로 옆이 청주 젊은이들의 거리라고 한다면, 이곳은 연세가 드신분들의 천국이다.




하수도 뚜껑이 되었던 척화비

망선루는 이층으로 오르는 계단이 굳게 판자문으로 닫혀있다. 이렇게 닫혀진 문화재를 볼 때마다 짜증을 내던 나이지만, 이곳에서는 오히려 잘 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공원내에 술에 취한 많은 사람들이 문을 열어놓으면, 무슨 일을 저지를지 모르기 때문이다. 망선루를 돌아본 후 한편을 보니 작은 비석 하나가 서 있다. 충청북도 기념물 제23호로 지정이 된 '청주척화비'이다.

고종 8년인 1871년에 세워진 대원군의 척화비. 위가 잘려나간 이 비에는 '서양 오랑캐가 침범하는데 싸우지 않으면 화친하는 것이요. 화친을 주장함은 나라를 팔아먹는 것이다'(洋夷侵犯 非戰則和 主和賣國)라는 12자가 음각되어 있다. 그리고 그 옆에는 작은 글씨로 '우리의 만대자손들에게 경계하노라, 병인년에 짓고 신미년에 세운다'라 적었다. 이 척화비는 고종 8년인 1866년 프랑스함대의 침략인 병인양요와, 동년 미국이 통상을 요구하며 침입을 한 신미양요를 거친 후 전국에 세워진 척화비 중 하나이다.


윗부분이 떨어져 나간 척화비

이 척화비는 일본 공사의 요구로 철거가 되어, 석교동 하수도의 뚜껑으로 사용하던 것을 1976년 지금의 자리로 옮겨왔다. 높이 108cm, 너비 47cm 크기의 이 비석 하나가 역사의 아픔을 말해주고 있지만. 이 비석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은 보이지를 않는다. 망선루와 척화비, 역사의 흔적인 두 가지의 문화재가 서 있는 중앙공원. 사람들은 그런 것에는 관심도 없이, 그저 즐기면서 하루 해를 보내고 있다. 문화재라는 것에 관심이 없는, 요즈음 세상의 모습이 그곳에 있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