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두나무는 중국이 원산지이며, 가래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이다. 주로 경기도 이남에서 유실수로 많이 심고 있다. 키는 20m에 이르며 수피는 회백색으로 밋밋하지만, 점차 깊게 갈라진다. 흔히 호두나무라고도 하는데, 이 나무 이름을 들으면 ‘천언 명물 호두과자’ 생각이 먼저 든다. 

천안 명물 호두과자가 생긴 이유도, 알고 보면 천안시 광덕면 광덕리 641 - 1번지에 소재한 광덕사 호두나무 때문이다. 천연기념물 제398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호두나무는 수고가 18,m가 넘는 거목으로 수령이 400년이나 되었다. 약 700년 전에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호두나무를 들여와 심은 곳이 바로 이곳이라고 하니, 광덕사는 우리나라 호두나무의 시배지가 되는 셈이다.



표피에 붙은 이끼가 연륜을 말해

날이 무더울 때 답사는 괴로움이 따른다. 그렇다고 찬물에 발을 담구고 가만히 붙어 있지를 못하는 성미인지라(사실은 지독한 역마살이 끼어서 그렇다고 하지만), 광덕사로 향했다. 들어가는 입구가 비좁아 차를 들이대기도 미안해, 입구 앞 너른 주차장에 차를 대고 걸어보니 기온이 33도나 되어서인가 땀이 등골을 타고 흐른다.

얼마 걷지 않아도 되는 광덕사 입구길이 백리는 되는 듯하다. 여름만 되면 흐르는 땀을 주체하지 못하는 나로서는 사람들을 만나면 일부러 멀리 피해야 한다. 흐르는 땀으로 인해 몸에서는 쉰내가 나기 때문이다. 그것이 내 잘못은 아니라 해도, 상대방이 기분 좋을리가 없으니 말이다.




광덕사 대웅전을 오르는 계단 입구에 서 있는 호두나무 한그루. 그 크기만 보아도 대단하다. 나무에는 파란 이끼가 끼어있고, 표피는 마치 거북등처럼 갈라져 있다. 한 마디로 연륜을 느낄 수 있는 형태이다. 이곳에 처음으로 호두나무가 심어진 것은 고려 충렬왕 16년인 1290년 9월이라고 하니, 올해로 720년이 지난 셈이다.

영밀공 유청신이 원나라에 갔다가 돌아올 때 호두나무의 묘목과 열매를 가져와, 묘목은 광덕사 경내에 심고 열매는 자신의 고향집 뜰에 심었다고 전한다. 유청신은 고려 후기의 역관으로 전남 고흥사람이다. 고흥에도 이만한 호두나무가 자라고 있는지는 알 수가 없으나, 이곳을 우리나라 호두나무의 시배지라 부른다.





광덕면 곳곳에 퍼진 호두나무

현재 광덕면 일대에는 유청신의 후손과 지역민들의 노력으로 약 25만 8천여 그루의 호두나무가 재배되고 있다고 한다. 천안 명물 호두과자가 이곳에서 명성을 얻은 것도 결코 우연은 아니다. 그만큼 많은 노력을 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있게 된 것으로 본다.

광덕사 입구에 서있는 호두나무는 수령이 400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생육상태가 좋은 편이다. 여기저기 무수히 많은 열매를 달고 있어, 자기가 휘어 받쳐놓을 정도이다. 밑에서는 두 갈래로 크게 올라와, 지상 60㎝의 높이에서 두 개 줄기로 갈라져 있다. 가슴높이의 둘레는 각각 2.6m와 2.5m 정도이다.




400년이 넘도록 숱한 풍상 속에서 견뎌낸 광덕사 호두나무. 이 나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된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이만큼 보존이 잘되어 잘 자라고 있다는 것이 더욱 중요한 것이다. 소중한 문화유산은 우리 것이 아니라, 우리들의 후손들에게서 빌려왔다는 생각을 저버리지 말았으면 하는 것도, 이 호두나무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이다.


이 곳에는 이런 내용들이 있습니다. 이 내용들은 2009년부터 '오마이뉴스'에 게재되었던 300 여개의 기사를 옮겨놓는 것으로 시작하여, 답사를 하면서 만나게 되는 이야기를 적어가려고 합니다.

정자기행
'바람 정자 위에 불다'는 전국에 산재해 있는 수많은 정자들을 둘러보면서 적은 글입니다. 정자에 얽힌 이야기와 나그네가 정자를 보고 느낀 것들을 적는 곳입니다.

고택답사
'고택을 따라 나서다'는
중요민속자료, 문화재자료와 비지정인 옛 고택들을 둘러보면서 그 안에 내재된 이야기를 끌어내고 있습니다. 고택답사는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곳은 거의가 잠겨있고, 사람들이 살고 있는 곳은 마음대로 돌아볼 수가 없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런 점을 감안해 주시기 바랍니다.

마애불답사
'천년 마애불의 미소'는
마애불을 따로 모았습니다. 마애불은 거대한 암벽 등에 조각한 불상을 말합니다. 대개는 선각이나 돋을새김을 하는 마애불은 그 자체만으로도 상당한 노력을 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선조들의 한 없는 마음을 읽을 수가 있습니다. 

천연기념물
'천년세월 그 자리에'는 천연기념물과  기념물, 고목 등을 모은 곳입니다. 답사를 다니면서 만나게 되는 천연기념물에 대한 생각이나 모습 등을 담았습니다.

유형문화재
'기억해야 할 것들이'는
석불, 석탑, 부도, 석교, 석실, 선돌, 고인돌, 동종 등 문화재 등을 다루는 곳입니다. 수많은 문화재들을 일일이 구분을 지을 수가 없어서 이 곳에 모았습니다. 

역사의 흔적
'걸어도 매번 그 자리'에는
절집, 사지, 향교, 서원, 성곽 등의 답사내용입니다. 때로는 그러한 것들 하나가 더욱 재미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어디를 가나 만날 수 있는 곳, 언제나 그 자리에 있는 나를 봅니다.

풍물이야기
'이런 것도 있었다네'는
예전 우리 생활 속에 있던 사물을 현대에 새롭게 만나보는 것입니다. 아스라히 잊혀져 가는 정겨운 모습들입니다. 옛 풍물을 비롯해 장승, 당집, 살아가는데 필요했던 놀이나 도구 등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사람사는 이야기
'사람이 사는 세상사'는
사람들을 만나서 보고 들은 것을 적는 곳입니다. 이 곳은 '여주 5일장' 책을 쓰기 위해 9개월 동안 여주장을 돌아보면서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와, 앞으로 만나게 될 사람들의 이야기를 적는 곳입니다. 때로는 애환도 있고, 때로는 진한 고통이 있기도 하지만 사람사는 세상이 다 그렇다는 생각입니다.

지역축제
'가보자 축제 한마당'은
지역의 축제를 돌아보면서 그 모습들을 올리는 곳입니다. 그저 즐거운 모습만이 아닌 지역축제의 문제점들을 함께 다룰 생각입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