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 앞을 흐르는 물이 차고 희다고 해서 붙혀진 이름 한벽당. 1404년 처음으로 지어졌으니 600년 가까이 되었다. 한벽당은 호남의 정자 중에서도 수일경이라 하는 곳이다. 앞으로는 작은 물고기가 노니는 맑은 물이 흐른다. 사시사철 물이 얼마나 시원하고 맑았기에 한벽당이라 불렀을까?

 

전주천 맑은 물을 내려다보고 있는 한벽당. 수많은 시인 묵객들이 들려 사시사철 그 이름다움에 취했던 곳이라고 한다. 한벽당은 승암산 기슭 절벽을 깎아내고 새웠다. 조선조 건국시 개국공신인 월당 최담이 태종 4년에 처음으로 건립을 했다고 하니, 벌써 600년 가까이 오랜 세월을 그 자리에 서 있는 것이다.

 

 

 

전주천을 바라보는 정자

 

한벽당은 운치가 있다. 물빛 고운 전주천에서 잡히는 물고기를 이용해 끓여내는 오모가리 매운탕 한 그릇을 들고 한벽당 밑으로 나가면 한 여름이 훌쩍 지난다. 까마득한 지난 날 아마 우리의 선인들도 그런 맛에 취해서 한벽당을 찾았던 것은 아니었을까?

 

한벽당 곁에 붙어지은 요월대가 있어 낮에는 한벽당에서 밤이면 떠오르는 달을 맞이하는 요월대에서 즐겼을 것이다. 어찌 짧은 시 한수 나오지 않을 것인가? 이곳을 찾아들었던 사람들도 그런 절경에 취해 거나하게 탁주 몇 잔을 마셨을 것이다.

 

 

 

주변이 모두 절경과 볼거리

 

한벽당 주변에는 볼거리가 많다. 오랜 세월 묵묵히 한 자리를 지키고 있는 전주한옥마을을 비롯하여 커다란 고목이 된 은행나무들이 경내에 즐비한 전주향교 등이 있다. 요즈음에는 주변에 전주전통문화센터에서 많은 공연을 하기 때문에 즐기고 먹고 볼거리가 풍부한 곳이다. 명소란 예전이나 지금이나 그렇게 전해지는 것인가 보다.

 

한벽당은 사시사철 아름답다. 봄이 되면 건너다보이는 산에 산벚꽃이 피어나는 모습이 아름답다. 여름이면 정자 앞을 흐르는 차디찬 물에 발을 담그고 있으면 더위가 가신다. 정자 주변에 있는 고목이 만들어내는 그늘은 더 더욱 시원함을 더한다. 가을이면 전주천을 덮는 억새가 하늘거린다. 찬 겨울이라도 정자는 언제나 운치가 있다. 경치만 놓고 가늠하자면 가히 선계라 할 만하다.

 

 

 

시인묵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던 곳 한벽당. 맑은 물빛이 고운 정자다. 한벽당 가까운 곳에는 월당 최담의 비가 서 있어, 이곳이 유서깊은 정자임을 알려주고 있다. 멋스럽지만 난해하지 않고, 아름답지만 화려하지 않은 정자. 물빛 고운 한벽당은 그렇게 속으로 멋스러움을 감추고 있는 정자이다

 

 

 

 

 

 

 

 

 

 

 

 

 

갓바위 하면 많은 사람들이 대구 팔공산을 먼저 생각한다. 그러나 팔공산 갓바위가 아닌 목포에 있는 갓바위를 말하는 것이다. 목포 갓바위가 천연기념물 제500호로 지정이 된 것은 2009년 4월 27일이니, 사람들이 천연기념물이라는 것을 잘 모르고 있다. 그저 목포의 명물인 갓바위 정도로만 알고 있기 때문이다.

 

몇 년 전 갓바위를 찾았을 때는 관람을 위해 바다 위로 가설한 통로가 없었다. 이번 답사 길에 가보니 갓바위를 관람할 수 있는 통로가 개설이 되어 편리하게 볼 수가 있었다. 갓바위는 목포팔경 중의 하나다. 중바위라고도 부르는 이 바위는 오랜 세월 자연적인 풍화작용과 파도와 해류 등에 의해 바위가 침식되어 만들어진 자연의 걸작품이다.

 

자연이 만든 희대의 걸작품

 

자연이 스스로 이리도 신비한 풍광을 만들어 낸 것이다. 마치 머리에 갓을 쓰고 있는 것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갓바위'. 풍화혈인 이 갓바위는 딴 곳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희귀성을 갖고 있다.

 

 

 

갓바위란 이름이 붙여진 것은 옛날부터 전해지는 전설에 기인한다. 옛날에 아버지를 모시고 소금을 팔아 생계를 유지해가는 한 젊은이가 살았다. 비록 생활은 궁핍하였으나, 효성이 지극하였다. 이 젊은이는 부친이 병환으로 자리에 눕게 되자, 부친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양반 집에 들어가 머슴살이를 하였단다.

 

그러나 주인이 일을 한 품삯을 주지 않자 한 달 만에 집으로 돌아왔는데, 이미 부친은 싸늘한 시신으로 변해 있었다는 것이다. 물론 전설이라는 것이 전해지면서 빠지기도 하고, 보태지기도 한다. 젊은이는 부친을 제대로 모시지 못한 것을 슬퍼하다가, 이 곳 바닷가 양지바른 곳에 부친의 묘를 쓰려고 하였단다.

 

 

아버지바위와(위) 아들바위(아래)

 

슬픈 전설을 간직한 갓바위

 

바닷가에 온 젊은이는 잘못하여 관을 바다 속으로 빠트렸다. 이 젊은이는 그때부터 '불효자는 하늘을 볼 수 없다'고 하여 갓을 쓰고 슬퍼하다가 죽었다는 것이다. 얼마 후 그 자리에 두 개의 바위가 솟아올랐는데, 큰 것은 ‘아버지바위’ 작은 것은 ‘아들바위’라고 한다.

 

또 한 가지는 부처님과 아라한이 영산강을 건너려고 이곳에서 잠시 쉬다가 갓을 벗어놓고 갔는데, 그것이 바위가 되어 이 바위를 ‘중바위’라고 한다는 것이다. 전설이야 어찌되었든 이 바위는 예사롭지가 않다. 갓바위를 마주하며 오른쪽 바위는 남성의 힘이 느껴지고, 왼쪽의 것은 여성의 섬세함이 느껴진다.

 

 

여성의 섬세함이 느껴지는 왼쪽 바위가 오른쪽 남성의 바위에 어깨를 기대고 있는 듯한 모습으로도 보인다. 전설처럼 아버지에게 기댄 아들인지, 아니면 아들의 어깨에 몸을 의탁한 아버지의 모습인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두 개의 바위가 어우러져 신비함마저 느끼게 한다.

 

갓바위에서 부끄러움을 느끼다

 

먼 길을 달려 찾아간 갓바위. 예전 모습과는 판이하게 달라진 주변 경관에 조금은 낯이 설기도 하지만, 갓바위 가까이 다가가 훼손할 염려가 없으니 다행이란 생각이다. 두 개의 바위가 11월 중순의 찬 바닷바람에 움츠리고 있는 듯도 하다.

 

 

갓바위 앞에 마련된 관람 길 밑에는 작은 바닷고기들이 한가롭게 유영을 하고 있다. 아마 갓바위가 뒤늦게나마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것을 축하라도 하는 것인지. 바람결에 선 갓바위는 슬픈 젊은이의 전설을 간직한 채, 저만치 앞을 지나는 배라도 보고 있는 것인가? 곁에서 보면 영락없는 갓을 쓴 모습으로 보이는 갓바위를 보면서, 우리 자연의 오묘함을 또 한 번 깨닫는다.

 

그러한 아름다운 자연을 마구잡이로 파헤치고 폭파해대는 사람들은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살아가는 것일까? 우리의 후손들에게 참 못난 선대라는 오명을 벗지는 못할 듯 하다. 갓바위를 보면서 푸른 하늘이 부끄러워 고개를 들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요즈음 사람들은 길을 걷기를 좋아한다. 길은 어디나 있다. 하지만 길이라고 해서 다 같은 것은 아니다. 건강을 위한 길도 있지만, 역사와 문화적인 뜻을 가진 길도 있다. 그런가 하면 경치가 아름다운 곳도 있고, 때로는 걷기조차 마음이 편치 않은 길도 있을 수가 있다.

그 많은 길 중에서 그래도 가장 마음에 드는 길은 역시 경치도 좋고, 역사와 문화적으로 가치가 있는 길이라면 더욱 좋다. 난 길을 걸을 때마다 생각을 한다. 왜 사람들은 이렇게 건강과 문화를 함께 누릴 수 있는 길을 두고, 악다구니 같이 답답한 도심으로 몰려드는지 모르겠다고.


꼬부랑 소나무와 고깔바위들이 널린 길

전주시 완산구 교동 산 9-1에 소재한 견훤왕궁지는, 전주 동남쪽에 위치한 해발 306m의 승암산 동편에 있는 동고산성에 위치해 있다. 이 왕궁터에서 서쪽으로 난 길을 따라 걸으면, 어느 곳에서도 보기 힘든 아름다운 길을 만날 수가 있다.

꼬부랑 소나무길. 아마 동화 속에서나 볼 수 있을 법한 곳이다. 높이 10m 정도의 소나무들이 하나같이 꼬부라졌다. 흡사 춤을 추듯 제멋대로 휘어진 소나무들은 200여 평 정도에 멋스럽게 자리를 하고 있다. 왜 이곳의 소나무들만 이렇게 휘어진 것일까? 나야 나무에 대해서는 문외한이니, 왜 이런 나무들이 집단으로 서 있는지는 모른다. 하지만 50여m 떨어진 곳이 후백제 견훤의 왕궁지가 있고 보면, 무슨 사연이라도 있을 것만 같다.


요술할매가 요술이라도 부린 것일까? 소나무들이 모두 휘어져 있다.

꼬부랑 소나무 길을 지나 서쪽으로 조금 길을 걸으면 나무계단이 나온다. 이 산 꼭대기에 무슨 나무계단이냐고 투덜거려보지만, 위로 올라가면 언제 그랬냐는 듯 걸음을 재촉하게 된다. 조금 앞으로 보이는 바위들과, 한 눈에 내려다보이는 전주 시가지 때문이다.

마치 중이 고깔을 쓰고 있는 것 같다는 승암산. 높지 않은 산이지만, 승암산에는 역사와 슬픔이 함께 한다. 동고사를 비롯해 동고산성과 세계 유일한 동정부부 순교자가 묻혔다는 치명자천주교성지 등이 있다. 그래서 이산의 명칭은 승암산이지만 중바위산, 치명자산이라고도 한다. 치명자성지로 인해 치명자산이라고 한다지만, 그보다는 제 이름을 부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산은 언제나 그곳에 있었고, 그 이름 또한 이유가 있어 붙여진 것이기 때문이다.




바위 꽃이 아름다운 중바위

정상에 오르면 마치 고깔을 엎어놓은 듯한 바위들이 줄을 지어 서있다. 산마루에 칼끝처럼 뾰족한 바위들이 등성이를 따라 솟아나 있다. 바위에는 꽃이 핀 것처럼 화려한 문양이 돋아나 있다. ‘석화(石花)’라고 한다는 바위 꽃이다. 자세히 살펴보면 그 하나하나가 꽃처럼 아름답다.


중바위에 피어난 석화가 아름다운 문양을 자랑한다.

중바위의 앞으로는 전주시가지를 내려다 볼 수 있는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다. 한 눈에 전주 시가지와 전주천, 한옥마을 등이 시야에 가득 들어온다. 땀을 흘리면서 이곳까지 걸었지만, 그 시간이 오히려 즐거운 것은 이런 경치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전주에 있는 아름다운 길 중 가장 걷고 싶은 길이다.

무더위로 인해 흐른 땀을 산봉우리에 부는 바람에 식히며 다시 길을 걷는다. 동고사 방향으로 길을 내려가면, 가파르기는 해도 운치가 있다. 흡사 예전 꿈속에서나 보던 숲속의 요정이 다니던 길과 같은 곳을 지나야 한다. 조금은 미끄럽기도 하고, 돌부리에 걸리기도 하지만 그것이 오히려 즐겁다. 산이 높지가 않아 천천히 걸어도 한 시간이면 충분히 돌아올 수 있는 승암산길. 산이 있어 산에 오른다고 하지만, 난 길이 있어 길을 걷는다.


전망대에서 바라본 전주 시가지와 견훤왕궁지로 가는 길.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