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장수군에는 ‘3(三節)’이라 불리는 분들이 있다. 그 첫째는 의암에서 왜장을 끌어안고 장렬하게 죽음을 택한 주논개를 말한다. 그리고 두 번째는 장수향교 교리인 정경손이다. 임진왜란 때 죽음으로 장수향교를 지켜 낸 인물이다. 정경손의 기념비는 장수항교 안에 서 있다. 그리고 세 번째는 타루비의 순의리(殉義吏) 를 일컫는다.

 

오늘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것은 바로 타루비의 주인공인 백씨이다. 이름이 전하지 않는 이 백씨라는 인물이 당당하게 장수 삼절에 거론이 되는 것은, 그 의가 후세 사람들에게 많은 것을 전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타루(墮淚)’란 피눈물을 흘렸다는 뜻이니, 그 마음의 아픔이 어떠했는지 짐작이 간다.

 

 

 

타루각 안에 서 있는 두 개의 비

 

전북 장수군 천천면 장판리 도로변에는 타루비라는 문화재 안내판이 큼지막하게 걸려있다. 장수군 어디를 가나 이렇게 문화재 안내판을 곳곳에 걸어두고 있어, 문화재를 찾기에 편안하다. 이런 것 하나를 보더라도 장수군의 문화재보호가 남다르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문화재 안내판 길 건너에는 담으로 둘러쌓은 안에 비각 두 개가 서 있다.

 

문 안으로 들어가면 좌측에 서 있는 작은 비각 안에는 백씨의 뜻을 기리는 비이고, 그 안쪽우측으로 보이는 비각에는 타루각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바로 타루비를 보호하기 위한 비각이다. 타루각 안에는 바라다보는 왼쪽에 장수이순의비(長水吏殉義碑)’라 적혀있다. ‘장수의 벼슬아치가 죽음으로 의를 지켰다는 뜻이다.

 

 

그리고 오른편에는 돌을 삼단처럼 깎아 세운 후 그 위에 타루비(墮漏碑)’라 적힌 비가 서 있다. 바로 장수 3절 중 한분인 백씨를 추모하기 위해 세운 비이다. 도대체 이 백씨라는 분은 어떤 일을 했으며, 왜 이렇게 그를 칭송하는 것일까?

 

피로 암벽에 쓴 글씨 타루

 

조선조 숙종 4년인 16783, 장수현감이 전주감영에 가기 위하여 말을 타고 이 곳 타루비가 서 있는 곳을 지나게 되었다. 그런데 갑자기 숲속에서 장끼 한 마리가 소리를 내며 하늘로 날았고, 그 소리에 말도 놀라 날뛰었다. 말의 고삐를 잡고 있던 통인이 말을 추스르기도 전에, 현감은 말과 함께 절벽 아래로 흐르는 송탄천(松灘川)’에 빠져 목숨을 잃었다.

 

 

통인은 말이 빠진 주변을 맴돌며 현감을 구하려고 애를 썼으나, 말과 함께 빠진 현감은 다시는 물 위로 떠오르지를 않았다는 것이다. 이에 자신의 책무를 다하지 못해 현감을 죽음으로 몰고 갔다는 죄책감에, 통인은 울면서 자신의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내었다. 송탄천이 흐르는 암벽에 말과 꿩을 그린 통인은 타루라는 글씨를 피로 쓴 후, 스스로 물로 뛰어들어 자결을 하였다.

 

그리고 124년이란 세월이 흐르고 난 후인 순조 2년인 1802, 장수현감 최수형이 이 이야기를 전해 듣고, 그곳에 타루비를 세워 물에 빠진 현감과 통인을 위로하였다. 현재 이 타루비는 전라북도 기념물 제83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그 통인의 이름은 백씨라고만 전해진다.

 

 

암벽에 쓰인 타루애

 

타루각 우측으로는 깎아지른 듯한 암벽이 있다. 그 밑에는 물이 고였던 흔적이 보인다. 아마도 이곳이 예전 그 송탄천의 물이 흘렀던 곳이었는가 보다. 그 암벽에는 타루애(墮漏崖)’라는 글씨를 음각하였다. 지금 쓰인 글씨의 우측으로는 예전에 쓰인 글씨가 남아있다. 그리고 암벽에는 말과 꿩을 돋을새김 한 것처럼 조성하였다.

 

스스로의 책무를 다하지 못했음을 안타까워하며, 자신이 모시던 윗사람을 따라 목숨을 끊은 백씨. 아마도 이 시대의 귀감이 되라는 뜻으로 세운 타루비일 것이다. 세월이 흐르고 사람들의 생각이 바뀌었다고 하여서, 본분을 지키고자 했던 그 뜻을 논할 필요는 없다. 오늘 암벽에 새겨진 말과 꿩, 그리고 타루애라는 글씨와 타루비 안에는, 장수현의 통인 백씨의 충정이 그대로 배어있기 때문이다.

의녀 주논개가 심었다고도 하고, 남편인 최경희가 심었다고도 전하는 소나무. 수령은 약 500년 정도가 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천연기념물 제397호인 징수 의암송(義岩松)’은 전북 장수군청 청사 입구 앞에 자리하고 있다. 42일 장수군을 답사하면서 가장 먼저 달려가 보고 싶은 곳은, 바로 의암송이 자리하고 있다는 장수군청이었다.

 

장수군청 청사 현관 앞에 서 있는 의암송. 15936, 임진왜란 때 남편인 최경희를 따라 진주로 간 논개. 왜군과의 전투에서 최경희와 7만 민관군이 모두 전사를 하자, 기녀로 신분을 속이고 왜장들의 승전연에 참석을 한다. 그곳에서 왜장 게야무라 후미스케를 끌어안고, 남강으로 몸을 던져 장렬한 최후를 마쳤다.

 

 

장수의 상징인 의암송

 

이 때 논개가 촉석루 아래 바위에서 남강으로 몸을 던진 곳을 의암(義岩)’이라 부르는데, 그 이름을 따서 의암송이라고 부른다. 이 의암송은 1,500년 후반쯤에 장수현감이던 최경희가 심었다고도 하고, 논개가 심었다고도 한다. 누가 심은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나무에 얽힌 뜻이 중요한 것이 아닐까? 이 나무를 장수군민들은 장수를 지키는 수호신으로 섬기고 있다는 점이다.

 

이 소나무에는 논개의 의로운 정기가 깃들어 있다고 하며, 논개의 절개를 상징한다고 한다. 하기에 장수군민들은 이 나무를 신성시한다. 현재 나무가 서 있는 곳은 옛날 장수현의 관아였다. 이곳에서 자라고 있는 의암송을 논개가 심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하지만 주논개를 기리는 뜻에서 의암송이라고 부른다는 것에 대해서는 어느 누구도 무엇이라 할 수가 없다.

 

용트림을 하는 의암송

 

장수군청으로 마음 급하게 찾아갔다. 현관 앞에 당당한 모습으로 서 있는 천연기념물인 의암송. 아래서 한 줄기가 올라오면서 지상으로부터 2m 정도에서 두 갈래가 갈라진다. 줄기는 시계방향으로 뒤틀어져 나선형을 이루고 있다.

 

 

나무의 전체 높이는 그리 높지가 않다. 9m 정도의 높이에 가슴 높이의 둘레는 3.2m 정도이다. 두개의 큰 가지가 남북 방향으로 발달되어 있는데, 북쪽가지의 직경은 80이고 남쪽가지의 직경은 50정도이다. 그 위로 줄기가 여러 갈래로 갈라져 마치 우산형과 같은 수관을 이루고 있다.

 

장수군의 사람들은 이 나무를 굳이 주논개가 1592년에 심었다고 이야기를 한다. 아마도 이 나무로 논개의 의로움을 상징하고 싶어서일 것이다. 그런 마음이 있기에 이 의암송이 더욱 당당해 보인다.

 

 

의암송은 마치 승천하려는 용과 같은 형태이다. 연륜이 지나 껍질은 갈라지고, 한편에는 사람 머리만한 옹이도 보인다. 줄기는 뒤틀어진 모습이 말로 형용하기가 어렵다. 어떻게 이런 모습으로 자라났을까? 자연의 오묘함에 감탄을 한다. 연신 속으로 멋지다라는 말만 해댄다. 정말로 그 안에 알지 못하는 기운이 가득한 것만 같다.

 

한 가지는 청사 쪽으로 바라고, 또 한 가지는 중간에서 방향을 바꾸어 구부러졌다. 곡예를 하듯 자라고 있는 장수 의암송. 아마도 저 두 가지에 주논개와 남편 최경희의 마음을 담아 낸 것은 아니었을까? 의암송 곁에서 오래 머물고 싶은 마음 간절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