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 하나하나를 다듬어 칠층 높이의 땀을 쌓기 위해서는, 얼마나 많은 시간을 소비해야 하는 것일까? 보물 제459호인 ‘장락동 칠층 모전석탑’. 제천시 장락동 현 장락사 앞에 서 있는 모전석탑은, 우리나라에 몇 기 안 되는 모전석탑 중 하나이다. 회흑색의 점판암(粘板岩)으로 조성된 이 모전석탑은 현재 높이가 9.1m에 달하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이다.

 

이 모전석탑을 조성하는데 쓰인 점판암은 장력강도와 내구력이 큰 얇은 판으로, 쉽게 쪼개지는 세립의 점토질 변성암이다. 점판암은 검은색·파란색·보라색·붉은색·녹색·회색 등을 띤다. 점판암의 어두운 색은 탄질물이나 미세한 황화철에 의한 것이며, 붉은색과 보라색은 산화철인 적철석에 의한 것이고, 녹색은 녹색의 운모질 점토광물인 녹니석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접판암으로 조성한 칠층석탑

 

점판암은 채석된 원석으로부터 약 7.5㎝ 두께로 쪼개진다. 정을 원석의 가장자리에 대고 나무망치로 가볍게 두드리면 벽개면을 따라 틈이 생기게 되는데, 정이 지렛대 역할을 하여 원석이 매끈한 표면을 가진 2개의 조각으로 쪼개진다. 원석이 16~18개의 조각이 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한 후, 손 작업이나 회전절삭기를 이용해 적정한 크기로 다듬는다.

 

이러한 점팜암의 특성을 이용해 만들어진 장락동 칠층 모전석탑. 모전석탑이란 돌을 벽돌모양으로 깎아 쌓은 탑으로, 흙벽돌을 쌓아 올린 전탑을 모방하였다 하여 모전탑(模塼塔)이라고도 한다. 현재는 탑이 서있던 절터 주변이 논밭으로 변하여 절의 규모는 알 수 없다. 뒤편으로는 장락사라는 새로 지은 절이 있다. 7층에 이르는 거대한 장락동 모전석탑. 주위를 압도하듯 버티고 서 있는 탑의 위용에 저절로 머리가 숙여진다.

 

 

 

천년 세월 버텨낸 칠층석탑

 

탑을 받치는 기단은 점판암이 아닌 자연석으로 1단을 마련하였으며, 그 위로 벽돌로 이루어진 7층의 탑신을 올렸다. 탑신은 1층의 네 모서리에는 점판암 대신 화강암을 다듬은 기둥을 세워, 탑 전체의 조형을 단단하게 하였으며 그 모습이 특이하다. 또한 남쪽과 북쪽 면에는 사리를 두는 감실(龕室:불상이나 사리 등을 모시는 방)을 설치하여 문을 달아 놓았는데, 현재 남쪽의 것은 없어졌던 것을 새롭게 조성해 달아놓았다.

 

각 몸돌을 덮는 지붕돌은 재료가 벽돌처럼 만든 돌이라는 점에서 알 수 있듯, 경사면 위아래 모두 층급을 두었으며 처마도 짧고 수평을 이룬다. 탑의 머리 부분에는 머리장식이 없어지고 장식받침인 노반만이 남아 있다. 윗면 한가운데에 동그란 구멍이 있고 구멍둘레로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1967년 무너지기 직전에 탑을 해체하여 보수했는데, 7층 지붕돌 윗면에서 꽃무늬가 조각된 청동조각이 발견되어, 상륜부에는 청동으로 머리장식을 한 것으로 보인다. 탑신 전체에는 표면에 회를 칠했던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어 주목된다.

 

 

 

 

오랜 세월 한 장 한 장 땀 흘려 쌓은 흔적이 보이는 장락동 칠층 모전석탑. 보물로 지정이 되었기에 소중한 것이 아니다. 그 한 장 한 장을 오랜 시간을 일일이 쪼개고 다듬어서 쌓은 노력을 행각하면, 저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이 하나의 탑을 조성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세월을 노력을 했을까? 그리고 이 탑에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염원이 깃들어 있는 것일까?

 

그 하나하나에 새겨진 정성이 오늘까지 전해진다. 하나의 문화재를 보존한다는 것은 단순히 그것이 문화재이기 때문이 아니다. 그 안에 숭고한 우리 선조들의 뜻이 담겨져 있기 때문이다. 하기에 우리가 문화재를 보호해야 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야 한다는 점이다.


김제 금산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7교구의 본사이다. 금산사 경내에는 국보인 미륵전을 비롯하여 많은 문화재들이 자리하고 있다. 그 중 볼 때마다 아쉬움이 남는 것은 바로 대적광전 앞에 자리한, 보물 제27호인 육각다층석탑이다. 이 다층석탑은 금산사 소속의 ‘봉천원(奉天院)’에 있던 것을 현재 자리로 옮겨 왔다고 한다.

이 탑을 볼 때마다 느끼는 것은 아쉬움이다. 제대로 된 모습을 갖추고 있었다고 한다면, 얼마나 아름다운 탑일까를 생각해 본다. 우리나라의 석탑이 대부분 화강암으로 조성을 한데 비해, 이 탑은 기단은 화강암으로 조성하고 몸돌과 지붕돌은 흑색의 ‘점판암’으로 만든 육각으로 조성한 다층석탑이다.


육각으로 조성한 탑, 놀라움으로 다가와

화강암이 아닌 점판암을 이용해 탑을 조성했다는 것도 특이하지만, 기단부는 또 다른 색을 지닌 돌을 이용해 흑백의 조화를 이끌어 냈다는 것에 대해서도 경이롭기만 하다. 이 탑은 조선조 인조 1년인 1633년 금산사 재건 시에 이곳으로 옮겨왔으며, 원래의 층은 알지 못한다. 현재는 11층만이 남아있는데, 그 외형이 육각으로 되어있어 ‘육각다층석탑’이라 부르고 있다.

화강암으로 된 기단은 3단으로 되어 있는데, 각 단의 1변의 길이는 아래층부터 각각 80㎝, 70㎝, 65㎝이다. 기단의 각 면에는 용과 풀, 사자상 등이 새겨져 있다. 이 위에 점판암으로 된 2개의 판석이 있는데 아래의 판석에는 복연이, 위의 판석에는 앙연이 각 면에 5변씩 양각되어 있다.



현재 11층이 남아있는 탑신부는 각 층마다 몸돌이 있었으나, 지금은 가장 위의 2개 층에만 남아 있다. 현재 10층과 11층이 남아있는 몸돌은, 각 귀퉁이마다 기둥모양인 우주를 새겨 넣었다. 몸돌의 각 면에는 원을 그린 후 그 안에 좌불상을 선각으로 새겨 놓았다. 그 모습이 아직도 완연하게 남아있는 것을 보면, 이 육각다층석탑의 조형이 얼마나 정성을 들인 것인지 알 수가 있다. 각 층의 지붕돌은 낙수면에서 아주 느린 경사를 보이다가, 아래의 각 귀퉁이에서 우아하게 들려있다.

상상만으로도 눈물겹도록 아름답다

현재 남아있는 옥개석의 처마 끝에는 풍경을 달았던 구멍이 보인다. 각층의 끝마다 달린 풍경이 바람에 흔들리면서 소리를 낸 것을 상상하면, 가히 그 아름다움을 어디에도 비길 수가 없었을 것이다. 현재 꼭대기의 머리장식인 싱륜부는 남아 있는 것이 없다. 훗날 화강암으로 만든 연꽃봉우리 모양의 장식이 놓여 있다.



점판암은 벼루를 만드는데 주로 쓰이는 돌이다. 이 점판암을 사용하여 이색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는 금산사 육각다층석탑. 남은 옥개석은 각 층의 줄어드는 체감비례가 아름다우며, 섬세한 조각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지붕돌인 옥개석은 1변의 길이가 1층부터 차례로 46㎝, 46㎝, 41.5㎝, 41㎝, 39㎝, 37㎝, 35㎝, 33㎝, 31㎝, 29㎝, 27㎝로 줄어들고 있으며, 현재 몸돌이 남아있는 10층과 11층은 각각 18cm와 17cm이다.

이렇게 줄어들고 있는 비율로 볼 때, 현재의 9층과 10층 사이에 또 다른 층이 있고, 몇 개 층의 옥개석이 사라진 것은 아닐까 생각이 들기도 한다. 9층과 10층의 줄어듦의 차이가 급격하기 때문이다. 이 탑은 몸돌과 지붕돌에 새겨진 조각수법으로 보아, 고려 전기에 세워진 탑으로 짐작된다.

벌써 몇 번이고 돌아본 육각다층석탑이다. 5월 28일 찾아 본 다층석탑 앞에서 눈을 감고 상상을 해본다. 사라진 몸돌의 각 면에도 선각으로 조각을 한 좌불이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아니면 층마다 다르게 새겨진 또 다른 형태의 무엇이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찾아갈 때마다 아쉬움이 남는 금산사 육각다층석탑. 그 원래의 모습이 어떤 형태였는지, 그리고 그 전체적인 모습이 얼마나 아름다웠는지를 알 수가 없어, 늘 아쉬움으로 다가온다. 그래도 한 가지 고마운 것은, 이렇게나마 남아있다는 점이다. 오늘도 그 앞에서 걸음을 옮길 수가 없는 것은, 아직도 그 아름다움의 끝을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