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남고산성에 가면 정몽주의 암각서가 있다. 푯말에는 ‘만경대 암각서’라고 이정표가 길을 안내하고 있는데, 남고산성 안에 있는 남고사 조금 못 미처 길 가에 서 있다. 50여m 정도 바위 길을 따라 올라가면 남고산성이 늘어서 있고, 상벽 바로 안 바위에 적혀져 있는 글이다. 이 근처는 지형으로 보아 남고산성의 두 곳의 장대 중 한 곳인 남장대 인근으로 보인다. 이곳에 왜 정몽주의 시가 암각서로 남아 있는 것일까?

 

이성계의 잔치에 화가나 말을 달린 정몽주

 

고려 우왕 때인 1380년 9월. 이성계는 황산대첩에서 왜구를 물리치고 개선장군이 되어 돌아가던 중, 조상의 고향인 전주에 들른다. 이곳 오목대에서 종친들을 불러 환영잔치를 베풀면서, 자신이 고려를 뒤엎고 새 나라를 세우겠다는 속내를 내비친다.

 

 

당시 종사관이 되어 황산대첩에 참가했던 정몽주(1337 ~ 1392)는 이 말을 듣고 노여움을 참지 못해 잔치자리를 빠져나와 말을 달려 남고산성의 만경대에 오른다. 남고산성에는 남인문지 근처에 천경대가 있고, 남고사 인근에 만경대가 있다. 그리고 남고사 뒤편 산 정상부근에는 억경대가 자리하고 있다.

 

말을 달려 이곳까지 온 정몽주. 선죽교에서 방원의 철퇴에 맞아 숨이 지면서도 고려에 대한 충절이 변하지 않았던 충신답게, 스스로 고려를 생각하면서 근심을 이어간다.

 

 

千仞崗頭石逕橫 천길 바위머리 돌길로 돌고 돌아

登臨使我不勝情 홀로 다다르니 가슴 메는 근심이여

靑山隱約夫餘國 청산에 깊이 잠겨 맹서하던 부여국은

黃葉檳紛百濟城 누른 잎은 어지러이 백제성에 쌓였도다

九月高風愁客子 구월의 소슬바람에 나그네의 시름이 짙은데

百年豪氣誤書生 백년기상 호탕함이 서생을 그르쳤네

天涯日沒浮雲合 하늘가 해는 지고 뜬 구름 덧없이 뒤섞이는데

矯首無由望玉京 하염없이 고개들아 송도만 바라보네

 

정몽주의 나라 걱정하는 마음이 그대로 들어나 있는 시구이다. 이곳 만경대에서 송도를 근심하던 정몽주. 이렇게 글을 남겨놓고 개선장군이 되어 당당하게 송도로 돌아가는 이성계와 함께 이곳을 떠났다.

 

 

 

김의수가 각자한 정몽주의 글

 

당시 시를 지은 정몽주가 이곳 만경대 바위에 각자를 한 것은 아니다.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영조 22년인 1742년 진장인 김의수가 각자를 한 것이다. 예전에는 바위 앞에 수풀이 우거지고 나무들이 많아 암각서를 보기 힘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은 주변을 정리하고 철책을 둘러놓았다.

 

바위를 어렵게 내려가 만경대라고 음각을 한 바위 앞으로 다가갔다. 만경대라는 글씨는 알아볼 수가 있는데, 그 내용은 마모가 되어 글씨조차 판독하기가 힘들 지경이다. 다만 글 말미에 보니 각자가 된 글씨보다 조금 크게 병인년에 진장 김의수가 각자를 했다는 글이 보인다. 진장 김의수는 왜 정몽주의 이 길을 이곳 만경대 바위에 새겨 넣었을까? 진장이란 조선 인조 때 각 도의 지방군대를 관할하기 위해 설치한 진영의 장관을 말한다.

 

아마 진장 김의수는 정몽주의 불사이군의 충심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물론 시대를 뛰어넘어 300년 가까이 지난 다음이지만, 김의수는 그러한 글을 이곳에 각자를 함으로써 스스로의 충심을 일깨웠는지도 모른다. 이제는 수많은 세월이 지난 각자마저 흐릿하지만 정몽주의 충심과, 그 충심을 아는 진장 김외수를 만날 수 있는 곳이다. 영웅의 교감은 세월을 뛰어넘는 것인지.

아침 6시 6분 전주역에 나가 하행선 기차에 몸을 실었다. 먼 거리는 아니다. 전주에서 남원까지이니. 고작 45분 정도를 타고가면 내려야 한다. 어제까지 10월 1일 축제 준비와 답사 때문에 정신없이 돌아다니다가, 남원으로 오는 차를 놓쳐버렸다. 월요일 아침 일찍 공문을 만들 일이 있어, 밤새 숙소에서 뒤척이다가 아침 첫 차를 탄 것이다.

전주에서 여수로 가는 이 차는 출근용 기차이다. 익산에서 출발을 해 전주, 남원, 곡성, 구례 등을 거쳐 여수가 종점인 기차이다. 6시 밖에 안 되었는데, 승강장에는 사람들이 모여 있다. 출근을 하기 위해서이다. 중간인 임실, 남원 등에도 내리지만, 더 멀리 가는 사람들도 있는 듯하다.


기차를 타자마자 눈을 감는 사람들

기차에 오른 사람들은 자리에 앉자마자 바로 눈을 감는다. 6시 차를 타자면 아무래도 집에서 5시 경에는 나와야 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그런 시간이라면, 4시가 좀 넘으면 일어나야 한다는 뜻이다. 아무래도 기차 안에서 조금이라도 더 자야할 것 같다.

옆자리에 앉은 분도 마찬가지이다. 앉자마자 눈을 감아버린다. 그러다가 잠시 후에 눈을 뜨기에 말을 건네 보았다.

"피곤하신가 봅니다"
"예 아침에 이 차를 놓치면 다음 차가 8시가 다 되어야 오기 때문에, 이 차를 놓치면 출근이 늦어지거든요. 차를 타려면 새벽 4시면 일어나야 하기 때문에 늘 피곤하죠"
"회사가 어디신가요?"
"남원입니다. 그래도 이렇게 출퇴근을 할 수 있으니 다행이죠"

잠시 말을 멈춘 것은 앞자리에 계신 분의 코고는 소리 때문이다. 얼마나 피곤했으면 저렇게 코를 골고 잘까?

"모두들 차에 타면 바로 주무시네요"
"대부분 그렇죠. 이 시간에 차를 타고 출근을 하려면 더 일찍 서둘러야 하기 때문에, 잠시라도 눈을 부쳐야죠.“
"이렇게 열심히들 사시는데, 잘 사셔야 할 텐데..."
"그래야죠. 그런데 이렇게 부지런하게 일찍 출근하는 사람들. 꿈이 없을 것 같아요"


그래도 그 새벽 기차에는 꿈이 자라고 있습니다

그것이 무슨 말이냐고 물어보았다. 이 차를 타자마자 자고 있는 모습을 보라는 것이다. 이 사람들에게 과연 내일의 꿈이 있을 것인지. 그저 피곤에 지쳐서 하루를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이 시간에 출근을 하는 사람들이 오죽하면 그러겠어요. 먹고살기 위해서 멀리까지 출퇴근을 하는 사람들인데, 몸이라도 지탱을 해야죠“

딴은 그렇다. 출근하기도 이른 시간, 이른 6시 6분에 출근을 위해 첫차에 몸을 실었으니, 얼마나 피곤할까? 생각만 해보아도 출근하는 것 자체가 피곤한데 무슨 꿈이 있을까?

"정말 불쌍한 인생들이죠. 차만 타면 눈을 붙이고 산다는 것이. 이들이 잘 먹고 잘 사는 것일까요? 아닙니다. 정말 열심히들 살지만, 너무 피곤한 인생을 살고 있는 것이죠. 저는 이 시간에 이 차를 타고 출근하시는 분들을 보면, 꿈을 꿀 여력이 없는 듯합니다. 그래서 ‘꿈이 없는 기차’라고 생각하죠. 영혼이 잠들어 버린"

그렇게 힘이들고 비록 눈을 감고 잠을 청하고 있어도, 꿈 속에서라도 아름다운 꿈이 있었으면 좋겠다. 가족을 위해 이른 시각에 차를 타고 눈을 감았지만, 일찍 나선 집안에서는 어린 꿈들이 자라고 있지 않을까? 그것이 바로 당신의 꿈일 것이라는 생각을 하면서.


남원 일대에서 ‘자장면 스님’하면 이제는 거의 모르는 사람들이 없다. 심지어는 임실, 익산, 전주 등지에서도 자장면 스님을 안다. 군부대 장병들이나 복지관의 어르신들이 특히 잘 아신다. 남원 선원사 주지인 ‘운천스님’을 사람들은 ‘자장면 스님’이라고 부르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스님 역시 그렇게 불리는 것에 대해 싫어하지 않는 눈치이다.

선원사 주지스님이신 운천스님을 자장면 스님이라고 하는 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스님이 남원 선원사에 주지로 부임을 하셔서, 가장 먼저 생각한 것이 어떻게 하면 많은 사람들과 교통을 할 수 있을까를 고민했다고 한다. 그런 고민 끝에 내린 것이, 바로 자장면 급식과 장학금 지급, 음악회 등이었다.


전주시 중화산동에 자리한 서원복지관에서 '사랑의 자장면 나눔 행사'를 주관하는 선원사 주지 운천스님과 봉사단원들
 
그런 생각을 떠올리면 바로 실행을 하는 것이 운천스님이시다. 사람들과 소통을 하지 못하는 종교는 산 종교가 아니라고 늘 말씀을 하신다. 선원사는 남원시 도통동에 자리하고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호젓한 산사가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절 앞을 지나다니고, 수많은 차량들이 다니는 대로변에 자리하고 있다. 그렇기에 사람들과의 소통이 그 무엇보다 우선이라는 것이다.

전주 서원복지관에서 운천스님을 뵙다

3월 29일(화) 운천스님께서 전화를 하셨다. ‘자장면을 먹으러 오라’는 전화였다. 전주시 중화산동에 소재한 <서원복지관>에서 어르신들께 ‘사랑의 자장면 나눔행사’를 하신다는 전갈이다. 500명이나 되는 분들에게 자장면을 만들어 드린다고 하니, 그 정성이 이만저만이 아닐 것이란 생각이다.

최인술 봉사단장이 자장을 볶고 있다

후식으로 어르신들께 드릴 과일을 준비하고 있다.
 
서원복지관에 도착하니 선원사 최인술 봉사단장을 비롯하여, 봉사단 단원들이 벌써부터 부산하다. 한편에서는 함께 나누어 줄 떡이며 오렌지 등을 준비하고 있고, 한편에는 자장을 볶고 밀가루를 반죽하고 있다. 언제보아도 정신이 없는 곳이 바로 자장면을 준비하는 곳이다. 드시는 분들이야 감사하고 먹으면 그만이지만, 준비를 하시는 분들의 노고는 만만치가 않다.

11시가 되자 먼저 거동이 불편하신 어르신들을 위해, 복지관의 직원들이 자장면을 날라 상위에 진열을 한다. 식당으로 와 바로 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고 나서 잠시 후에 복지관에 오신 분들이 줄을 섰다. 20여m나 되는 줄은 줄지가 않는다. 복지관 식당이 120석이라는데, 그 좌석이 꽉 찬다. 그리고 자장면을 드신 분들은 연신 ‘맛있다’라고 하시면서 식당 문을 나서신다.

배식이 시작되자 줄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120석 좌석이 다 차고도 줄은 줄지를 않는다

맛있게 자장면을 드시는 어르신들

관장스님 걸레질과 영양사님 말씀이 일품이네요

자장면을 준비하시는 운천스님과 최인술 봉사단장, 그리고 선원사 봉사단 여러분들의 노고야 말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 그 바쁜 틈에 스님 한 분이 상 걸레를 들고 다니시면서 연신 상을 닦는다. 복지관 관장이신 보연스님이시다. 먹은 그릇을 치우고, 걸레질을 하고. 식당 안을 돌아다니시면서 연신 어르신들께 맛있게 드시라고 인사를 놓지 않는다. 보는 사람들의 배가 절로 불러진다는 표현이 맞는 말인 듯하다. 손에 상을 닦는 걸레를 쥔 투박한 손이 참으로 따듯해 보인다.

또 한 사람, 장명희 영양사는 연신 '어머니, 아버님'을 쉴 새 없이 말한다. ‘어머니 식판 갖고 가셔야 해요’ ‘아버님 이쪽으로 앉으세요.’ 한 시간이 넘게 배식을 하는 동안에 잠시도 쉬지를 않는다. 아마도 이런 따듯한 마음이 있어, 이곳 서원복지관에 등록을 하신 어르신들이 2,000명이 넘는가 보다.

배식을 하는 봉사단원들. 운천스님은 또 자장을 퍼주고 게신다

걸레를 손에 들고 직접 상을 닦으시는 서원복지관장이신 보연스님 

연신 어르신들을 챙기며 다니는 장명희 영양사
 
500여 명의 어르신들께 자장면을 드실 수 있도록 준비를 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틀 전에도 군부대를 찾아가 자장면 봉사를 했다고 하는 봉사단원들. 그런데도 힘든 내색을 하지 않는다. 자장면 한 그릇을 받아들고 자리에 앉으면서, 운천스님께 속으로 한마디 한다.

“스님 내일은 또 어디서 일 내시려고요?”


사람들이 살아가는 것이 점점 버겁다고 한다. ‘날품팔이’를 하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더할 것이다. 그나마 일주일에 한두 번 나가던 일도 자꾸만 줄어든다고 하니, 정말로 살길이 막막하다는 것이다. 지난겨울은 유난히 추웠다. 계속 영하 10도를 밑도는 기온으로 인해, 사람들의 가슴마저 차갑게 변한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전주 다가동 중국인거리 앞에는 매일 새벽 5시가 좀 지나면 사람들이 모여든다. 여자들이 이곳으로 모이면, 그날 필요한 사람들을 차가 와서 데리고 간다. 인력시장이라는 곳이 형성되어 있는 곳이다. 대개는 9시 정도가 되면, 기다리기를 포기하고 걸음을 돌린다. 힘없이 돌아서는 발길에서 무거움이 느껴진다.

일감을 기다리는 사람들. 아직도 겨울이 끝나지 않았다고 한다.

“겨울 내내 일을 하지 못 했어”

2월 23일, 9시 40분. 시간이 꽤 되었는데도 딴 때보다 유난히 많은 사람들이 서성이고 있다. 이 사간쯤이면 끝까지 일을 기다려보려는 한 두 사람만 남아있고, 대개는 모두 집으로 돌아가는 시간이다. 그런데 오늘은 왜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남아있는 것일까? 미안한 생각에 이분들에게 말을 붙이기도 편안하지가 않다. 조심스럽게 혼자 떨어져 계신 분에게 말을 건네 본다.

“오늘은 일감이 없으신가 봐요?”
“올 겨울 내내 일을 하지 못했어.”
“시간이 꽤 되었는데 오늘은 많이들 계시네요?”
“그동안 추워서 일들을 나오지 못했으니, 그냥 기다려 보아야지”
“요즘에는 일들이 많지가 않으신가 보죠?”
“이제 농사일이 시작되면 사람들을 필요로 하니까 기다려 보아야지. 뒤늦게라도 혹 모르지”

말을 나누면서도 연신 주변을 돌아보신다. 혹 차라도 와서 서면, 모든 시선이 그리로 향한다. 일꾼을 데리러 오는 차가 아닌가 해서이다. 그렇게 시간이 지나가는데도 발길을 돌리지를 못한다.

“오늘은 많이들 나가시지를 못했나 봐요?”
“요즈음은 그러네. 일들이 많지 않은가봐”
“요즈음은 며칠이나 나가세요?”
“한 달에 고작해야 5~6일이나 나가나. 많이 가는 사람들은 꽤 많이 나가 그래도”
“그러면 힘드시겠네요?”
“그저 이것저것 해서 입에 풀칠이나 하지. 올 겨울은 유난히 힘들이 들었다고들 그래”
“얼른 일이 많아졌으면 좋겠네요.”
“그러게 말이야. 우리들은 아직 겨울이 다 지나지 않았나봐”

‘우리들은 아직 겨울이 지나지 않았나봐’ 라는 말에 코끝이 쌩하다. 길고 긴 겨울이 지났다고 생각을 한 것은 나뿐인지. 아직도 인력시장에 나오는 분들에게는, 그 긴 겨울이 남아있는가 보다. 하루 빨리 봄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뒤돌아 가시는 발걸음이, 참 무겁게만 느껴진다.


둘째 주와 네 째주는, 토요일과 일요일을 달아서 쉬는 날이다. 요즘말로 ‘놀토’가 된다. 이렇게 두 번째 주와 네 번 째주는 세상없어도 가방을 둘러메고 답사를 떠난다. 비가 오거나 눈이 오거나, 아니면 바람이 불어도 길을 나선다. 내일(12월 11일)은 바람도 불고 기온이 영하로 떨어진다고 일기예보에서는 이야기를 하지만, 이렇게 이틀 동안 답사를 하지 않으면 철지난 자료를 이용해 글을 쓸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12월이라고는 하지만 아직은 참을 만하다. 폭설이 내려 무릎까지 눈이 쌓인 산길을 걸은 것이, 한 두 번이 아니기 때문이다. 아마 남들이 돈을 줄 테니 이런 날 답사를 하라고 하면, 죽어도 안한다고 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번 주는 남원과 함양, 산청을 돌아보리라고 미리 계획을 세웠기 때문에 서둘러 길을 나섰다.


기차를 타고 떠나는 답사

오후 5시 30분이 근무를 마치는 시간이지만, 30분을 먼저 서둘러 길을 나섰다. 요즈음은 금요일이 되면 유난히 길이 많이 막힌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전주에서 남원으로 내려가 남원에서 묵고, 아침 일찍 답사를 시작하려고 마음을 먹었다. 여름 같으면 충분한 시간이 되지만 요즈음은 5시만 되면 벌써 어둑해져, 아침 일찍 나서야 하나라도 더 돌아볼 수가 있기 때문이다.

미리 예매를 하지 않는 것은 전주에서 남원은 40분이면 내려 갈 수가 있기 때문이다. 장소를 이동할 때는 가급적이면 기차를 타는 것도, 막히지가 않기 때문이다. 오후 5시 54분 차를 겨우 집어 탈 수가 있었다. 이 차는 익산에서 여수로 가는 무궁화 열차다. 아마 출퇴근시간에 맞추어 운행을 하는 열차인 듯하다. 빈자리가 없어 입석으로 표를 끊었다.

요즈음은 열차에 카페 칸이 있어, 그곳에 들어가 차 한 잔을 마시면 남원까지 갈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런 생각이 어리석은 생각이었다. 카페 칸은 기차의 한편에 좁게 자릴 잡고 있고, 의자는 고작 5개가 전부였다. 이런 낭패가 있나. 그곳에도 사람들이 많아 서 있을 자리도 만만치가 않다.


화장실 앞에서 무작정 기다리는 분, 도대체 왜?

여기저기 기웃거리다가 옆을 보니 넉넉하게 자리가 비어있다. 그런데 사람들이 보이지를 않는다. 이게 웬 떡이냐 싶어 그곳으로 갔다. 그러면 그렇지, 내가 무슨 복에. 그 앞이 바로 열차의 화장실이다. 그러니 사람들이 이곳을 이용하지 않을 수밖에. 그러나 40분만 서 가면 되고, 급할 때는 바로 해결을 할 수가 있으니 이곳이 명당이란 생각이다.

기차가 출발을 하고 얼마 되지 않았는데, 아이를 데리고 한 분이 오신다. 아이가 칭얼대는 것을 보니, 소변이라도 급한 것인가 보다. 그런데 정작 화장실 앞에 선 분이 문을 열지 않는다. 아이는 발을 굴러댄다. 화장실이 비어있는데 무슨 일일까?


사용 중이면 불이들어오는 안내등. 문 앞에서서 문이 열릴 때를 기다리다가 아이가 옷을 적시고 말았다. 사진은 좋지 않은 휴대폰으로 촬영을 해 화질이 좋지 않다. 

“아이가 급한 모양인데 왜 안 들어가세요?”
“예, 사람이 있는 것 같아서요”
“거기 표시등이 꺼져 있잖아요.”
“문이 안 열려서 그래요”
“문을 열어야 열리죠.”
“예, 열어야 해요? 어떻게요?”

문을 열어 주었는데, 이미 때가 늦어버렸다. 괜한 애만 갖고 나무란다. 이 분 화장실 앞에 서면 문이 자동으로 열리는 줄 알았는가 보다. 아마 화장실 문을 자동문으로 착각을 하신 것이나 아닌지. 세상 참, 무궁화 열차 처음 타보셨나? 그래도 그렇지 화장실 문이 자동으로 열리기를 기다리다니. 괜한 어린아이만 옷을 버렸다. 자동문에 익숙해져 있는 우리들의 모습일 수도 있다. 기차여행을 하면서 가끔은 이런 재미도 쏠쏠하다. 차에서 내려 혼자 넋 빠진 사람처럼 비실거리고 웃고 말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