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실군 삼계면 학정리 36번지에 가면 성문사라는 절이 있다. 이 절에는 전북유형문화재 제 87호로 지정이 된 석불입상이 있다.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이 석불상은, 발견 당시에는 성문안마을 밭 가운데에 있었다고 한다. 발견 당시 하반신이 땅에 묻혀있고, 대좌와 광배가 각각 떨어져 있었단다.

 

고려시대의 석불입상에는 전설이

 

2002년에 석불의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는데, 높이 245㎝, 너비 98.8㎝, 두께 35.4㎝의 석불입상으로 밝혀졌다. 석불입상의 얼굴은 넙적하고 크다. 귀는 볼 아래까지 내려와 있어 풍만하다. 얼굴의 전면과 길고 큰 귀에 비해, 가는 눈과 작은 입은 어딘가 조금은 부자연스러운 모습이다. 이 석불입상의 목에는 희게 붙여 놓은 것이 조금은 눈에 거슬린다. 머리 부분이 6ㆍ25때 떨어졌던 것을 다시 붙인 것이라고 한다.

 

 

이 석불입상의 코는 떨어져 나가 부자연스러운데, 그 이유를 마을 주민들은 다음과 같이 이야기를 한다. 어느 날 마을에 사는 한 농부가 소에게 풀을 먹이고 있는데, 소가 달아났다는 것이다. 화가 난 농부가 소를 향해 돌을 던졌는데, 그 돌이 하필 석불의 코를 맞혀 석불의 코 한쪽이 떨어져 나갔단다. 그런 연유에서인가 그 농부는 그날부터 병을 앓기 시작하더니, 급기야는 그 길로 일어나지를 못하고 죽었다는 것이다. 마을 사람들은 농부의 죽음이 석불에게 해를 입힌 벌이라고 하여, 석불을 두려워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인간의 고통을 없애주기 위해 세상에 왔다는 부처인데, 그런 일로 인해 농부를 죽였을 리가 없겠지만, 그런 마을에 전해지는 이야기로 인해, 마을주민들은 이 석불입상이 효험이 있다고 믿는다는 갓이다. 전설이야 늘 그렇듯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지고 나면, 더해지면서 전해지는 것이니 마을 주민들의 입을 통해서 전해지다가 과장이 된 듯도 하다.

 

 

어울리지 않는 광배가 오히려 문화재를 망쳐

 

현재 성문사 대웅보존에 모셔진 학정리 석불입상은 모습이 특이하다. 목에는 이어 붙인 밑으로 삼도가 보인다. 그리고 법의는 통견으로 했으며, 가슴부분에 U 자형의 주름이 잡혀있다. 두 손은 풍성한 법의 안에서 두 팔을 마주했다. 발밑까지 흘러내린 법의는 발목 부분에서 다시 U자형의 줄이 있고, 그 아래는 주름을 잡은 형태이다. 발은 법의에 가려 보이지가 않는데, 밑을 받치고 있는 대좌는 법상으로 가려져 있어 제 것인지 알 수가 없다.

 

현재 이 학정리 석불입상의 광배는 새로이 조성을 한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의 석불입상 뒤에 하얀색으로 마련한 광배가 어딘가 어색하다. 발견 당시 대좌와 광배가 떨어져 있었다고 하는데, 그 광배는 어디로 간 것일까? 다시 조성한 광배가 영 딴판이다. 물론 석불입상의 격에 맞는 광배를 갖다 놓은 것이라고 하겠지만, 보기에도 영 어울리지가 않는다.

 

 

문화재 답사를 하다가보면 이런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목이 떨어진 석불좌상에 새롭게 조성해 올려놓은 머리가 영 딴판이라든가, 석불입상에 회칠을 해 문화재의 품위를 떨어트리는 등, 우리 문화재의 보존이라는 행위가 오히려 문화재를 망치고 있는 경우이다. 학정리 석불입상도 제 광배가 조금 쪼개지고 떨어져 나갔다고 해도, 원래의 것을 함께 놓았다면 그 가치가 지금보다 나았을 것 같다. 우리 문화재를 보존하는 일은, 새로 만들어 우스꽝스런 모습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제 것을 잘 지켜내는 것이다.

전화가 울린다. 전화를 받았더니, 기사 제보를 하겠단다. 무슨 이야기냐고 물으니, 오산에 ‘마등산’이라고 있는데 그 정상 부근에 ‘선바위’라는 바위가 있다는 것이다. 바위야 산에 가면 얼마든지 있는 것인데 특별한 이유라도 있는 것이냐고 물으니. 한 마디로 그 바위가 정말 영험하기도 하지만 그 바위에 얽힌 전설이 재미있다는 것이다.

 

어딜 가나 전설이야 수도 없이 많다. 하지만 들려주는 이야기에 솔깃해진다. 사실은 이 마등산이라는 산의 지명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마등산은 모두 5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1봉으로 가는 능선의 모양이 말의 등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산은 노적산, 배꼽산, 달맞이산, 선바위산 등 많은 이름으로 불린다.

 

 

 

마등산의 딴 이름은 왜 붙었을까?

 

마등산이라는 명칭은 2004년 오산시 지명위원회에서, 여러 가지 전해지는 명칭 중에서 가장 적합한 명칭으로 정해놓은 이름이다. 그 외에도 많은 이름으로 불리는 이 산은, 당말의 뒤편 산봉우리가 마치 노적을 쌓아 놓은 것 같다고 하여 ‘노적산’이라고 했다. 또한 이 산 봉우리 가운데, 마치 사람의 배꼽처럼 생긴 곳이 있다고 하여 ‘배꼽산’이라고도 불렀다.

 

‘달맞이산’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당말 사람들이 이 산에 올라 달맞이를 했던 것에 연유한다. 이 중에서 사람들의 기억에 남는 이름이 있다면, ‘선바위산’에 대한 이야기일 것이다. 선바위란 마등산 정상부근에 마치 돌이 선(=立) 것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짧은 산행에서 만난 선바위, 그 참 희한하네.

 

제보를 한 박아무개가 거주한다는 오산시 원동 721-1에 소재한 마등사를 찾았다. 이곳은 절이 아니고, ‘마등산 역말굿당’이라는 곳이다. 요즈음은 집에서 굿을 할 수가 없어, 전문적으로 이곳에 들어와 굿을 하는 곳이다. 한 편에 조성한 허궁기도터를 지나 산으로 올랐다. 몇 m 쯤 오르니, 발밑에 토종밤들이 즐비하게 떨어져 있다. 작은 토종밤들이 윤기가 흐른다. 몇 알을 주워 주머니에 넣는다.

 

시간이 벌써 5시가 다 되어 가는데, 밤을 줍느라 시간을 허비할 수가 없다. 산봉우리 쪽으로 걸음을 옮기다보니 무슨 초막 같은 것이 하나 보인다. 그 밑으로는 병풍처럼 둘러친 바위가 있고, 그 위로는 몇 개의 바위들이 서 있다. 말 그대로 바위들이 서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이 바위들을 보다가 그만 웃음을 터트리고 만다.

 

이 바위 중 하나가 보는 방향에 따라, 참 묘하게도 남녀를 상징하는 것 같기 때문이다. 굳이 이름을 붙인다면 ‘양성바위(=兩性岩)’라고나 할까? 이곳을 소개한 박아무개의 말마따나, 이 바위가 영성이 아주 강하다고 한 말이 이해가 된다. 한 마디로 내림을 받는 사람들이 말문이 안 트이면, 이곳 선바위에서 빌면 말문이 터진다는 것이다.

 

 

 

소금 배 세 척을 먹어치운 선바위

 

사실 이 선바위에는 지역에는 전하는 전설이 하나 있다. 아주 오래 전에 당말에는 제물포에서 소금을 떼어 와서 파는 소금장수가 한 사람이 살고 있었다. 그날도 이 소금장수가 제물포로 갔다는데, 소금장수들에게 소금을 파는 구두쇠 영감이 유독 이 소금장수에게 못되게 굴었다는 것이다. 거기다가 딴 사람보다 가격도 비싸게 팔았다는 것.

 

당말에서 소금을 사러 간 이 소금장수는 은근히 부아가 치밀었다. 그래서 구두쇠 영감을 골탕 먹이기로 결심하고, 구두쇠 영감이 비싼 값을 부른 것을 알고서도 그 값을 쳐주겠다고 했다는 것. 그는 구두쇠 영감에게 “내 이름은 당말에 사는 선바위요. 지금은 그렇게 큰돈을 준비하지 못했으니, 내가 소금을 싣고 돌아가서 바로 돈을 보내 드리리다”라고 했다.

 

 

구두쇠 영감은 이게 웬 횡재인가 싶어 소금 배 세척을 내주었다. 그러나 바로 돈을 갖고 오겠다는 소금장수는 영 소식이 없었다. 구두쇠 영감은 화가 나 당말로 선바위를 찾아왔다. 그리고 마을 사람들에게 선바위라는 소금장수의 사는 곳을 물었지만, 아무도 알지를 못했다. 다만 “저기 노적산 꼭대기에 있는 것이 바로 선바위요”라고 알려주었다는 것.

 

남을 골탕 먹이려고 했던 구두쇠영감은, 노적산 꼭대기에 소금더미처럼 생긴 바위만 바라보며 돌아가고 말았다고 한다. 이 바위에 전하는 전설 때문인지, 이 바위들이 얼핏 바라보면 소금덩이처럼 생기기도 했다. 참 전설이란 그 안에 이런 속 깊은 뜻이 있어서 좋다. 남을 해하려고 하면, 반드시 자신이 그만한 대가를 치른다는 것이다.

 

 

 

오래된 상여가 있다고.

 

선바위를 돌아보고 내려오니, 굿당의 당주인 박아무개가 산자락에 있는 상여막으로 데리고 간다. 아주 오래 된 상여가 있다는 것이다. 원래는 역말에 있던 것을, 주민들이 이곳으로 옮겨놓았다고 한다. 마을에서는 1970년 초에 이 상여를 손보아 사용했다는 것이다. 분리가 된 상여는 보기에도 100년은 훨씬 지났을 것 같다.

 

“이 상여를 달라고 하는 사람들이 많아요. 그렇지만 이렇게 잘 보관했다가, 나중에 제대로 맞추어 한 번 사용해 보려고요.”

 

 

오산에는 유일하게 남아있다는 상여막이다. 전화 한 통을 받고 달려간 곳에서 이것저것 많은 이야기를 듣는다. 땀을 식히느라 차 한 잔을 마시고 돌아 나오는 내내, 그 양성바위가 눈에서 아른거린다. 이럴 줄 알았으면 그 바위기운이라도 좀 받아올 것을.

동해시 북평동사무소는 동해에서 삼척으로 내려가는 7번국도 우편에 있다. 이 북평동사무소 맞은편으로 길이 있는데, 이 안으로 들어가면 동해와 만나는 막다른 곳을 <갯목>이라고 한다. 갯목이란 갯벌이 시작되는 목(입구)이라는 뜻인지, 혹은 포구가 열리는 목이라는 뜻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다.

 

하지만 이곳 갯목을 향해 가다가 보면 좌측에 동해 한가운데 커다란 공룡처럼 웅크리고 있는 시멘트공장이 있다. 공장과 길 가운데 바닷물이 들어와 있는 것으로 보아 원래는 바다를 매립하여 세운 듯하다. 시멘트 공장 중간쯤에 우측으로 만경대라는 표지판이 보인다. 150m를 올라가라는 표시를 따라 나무로 흙을 받친 계단을 따라 올라가니 그 등성이에 정자가 하나 보인다.

 

동해를 굽어보고 있는 정자, 그러나 지금은 절경이 사라져

 

만경대(萬景臺). 동해시청에 전화를 걸어 설명을 들었으나 찾기가 쉽지가 않다. 북평동사무소에 들어가 정자 있는 곳을 물으니, 점심시간에 자리를 지키고 있던 직원이 친절히 길을 알려준다. 설명대로 어렵지 않게 찾아온 만경대. 그 위에 오르니 동해가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그러나 그 동해를 바라보기에는 지금은 쉽지가 않다. 커다란 공룡과 같은 시멘트공장이 시야를 가리고 있기 때문이다. 앞일 잘 아는 선조님들이 이곳이 이리 변할지는 모르셨나보다.

 

구미산 성산봉에 자리한 만경대는 조선조 광해군 5년인 1613년에 삼척에 사는 신당(新堂) 김공훈이 창건한 정자다. 동해에 있는 정자들이 100여년이 안된 것들이 대부분인데 비해 이 만경대는 400년 가까이 자리를 지키고 있는 셈이다.

 

만경대는 동은 망망대해요, 북으로는 송림에 백사장이 10리에 걸쳐있고, 서편으로는 두타산(頭陀山)의 절경이 펼쳐지며, 절벽 아래로는 전천강이 동해로 흐르니 가히 관동 제일경이라 하는 죽서루와 쌍벽을 이루어 시인, 묵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하였다. 그동안 만경대는 고종 9년인 1872년과 1924년 갑자에 걸쳐 두 차례 중건을 하였다.

 

만경대 안에는 수많은 글들이 걸려있는데 그 중에 1872년 중수 때 한성부윤 이남식이 쓴 <海上名區>라는 현판은 가히 만경대가 얼마나 절경에 자리하고 있었는가를 알려준다. 절경에 자리 잡은 많은 정자들이 만경대라는 이름을 걸었으나 동해의 만경대 역시 그에 뒤지지 않는 절경이었으리라.

 

 

 

또 한곳의 절경 호해정

 

아쉬운 발걸음으로 만경대를 뒤로하고 길을 따라 안으로 들어가니 집 몇 채 되지 않는 해안가 마을이 보인다. 갯목이라 부르는 이 동네는 시멘트공장의 끄트머리와 나란히 있다. 아마 저 시멘트공장만 아니었으면 이 또한 절경이리라. 호해정(湖海亭), 1945년 조국의 광복을 맞이한 최덕규 선생 등 39인이 계를 조직해 1947년 4월에 구미산 갯목 할매바위 옆에 18평의 호해정을 세웠다. 그동안 호해정은 1977년 5월과 1990년 4월, 두 차례에 걸쳐 중수를 하였다.

 

갯목 끝자락에 자리한 호해정은 60년 동안 마을의 변화를 지켜보면서 할매바위와 나란히 서 있다. 할매바위는 동해를 바라보고 노송 몇 그루와 벗 삼아 있는데 그 풍광이 아름답다. 아마 저 시멘트공장과 1979년 동해항의 개항이 없었더라면 그 얼마나 운치를 더했을 것인가? 할매바위인 마고암(麻姑岩)에는 그 전설을 다해 최윤상이 쓴 글이 있다.

 

 

 

아래로는 바다를 진압하며

위로는 하늘을 머리에 이고

광활한 천지에 높이 우뚝 앉아 있어

편안한 자취가 마치 마고와 같으니

선녀가 천년 뒤에 홀연히 나타나

돌이 되었구나.

 

갯목으로 가는 길에 만난 만경대와 호해정. 두 곳의 정자는 그렇게 다른 모습을 하면서 나그네를 맞이하지만, 그 안에 걸린 수많은 게판들은 제각각 자신이 최고라고 뽐내고 있었다. 그 자랑을 벗 삼아 나그네의 여정은 계속되고...

 

 

 

 

 

 

 

 

 

 

 

 

 

갓바위 하면 많은 사람들이 대구 팔공산을 먼저 생각한다. 그러나 팔공산 갓바위가 아닌 목포에 있는 갓바위를 말하는 것이다. 목포 갓바위가 천연기념물 제500호로 지정이 된 것은 2009년 4월 27일이니, 사람들이 천연기념물이라는 것을 잘 모르고 있다. 그저 목포의 명물인 갓바위 정도로만 알고 있기 때문이다.

 

몇 년 전 갓바위를 찾았을 때는 관람을 위해 바다 위로 가설한 통로가 없었다. 이번 답사 길에 가보니 갓바위를 관람할 수 있는 통로가 개설이 되어 편리하게 볼 수가 있었다. 갓바위는 목포팔경 중의 하나다. 중바위라고도 부르는 이 바위는 오랜 세월 자연적인 풍화작용과 파도와 해류 등에 의해 바위가 침식되어 만들어진 자연의 걸작품이다.

 

자연이 만든 희대의 걸작품

 

자연이 스스로 이리도 신비한 풍광을 만들어 낸 것이다. 마치 머리에 갓을 쓰고 있는 것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갓바위'. 풍화혈인 이 갓바위는 딴 곳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희귀성을 갖고 있다.

 

 

 

갓바위란 이름이 붙여진 것은 옛날부터 전해지는 전설에 기인한다. 옛날에 아버지를 모시고 소금을 팔아 생계를 유지해가는 한 젊은이가 살았다. 비록 생활은 궁핍하였으나, 효성이 지극하였다. 이 젊은이는 부친이 병환으로 자리에 눕게 되자, 부친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양반 집에 들어가 머슴살이를 하였단다.

 

그러나 주인이 일을 한 품삯을 주지 않자 한 달 만에 집으로 돌아왔는데, 이미 부친은 싸늘한 시신으로 변해 있었다는 것이다. 물론 전설이라는 것이 전해지면서 빠지기도 하고, 보태지기도 한다. 젊은이는 부친을 제대로 모시지 못한 것을 슬퍼하다가, 이 곳 바닷가 양지바른 곳에 부친의 묘를 쓰려고 하였단다.

 

 

아버지바위와(위) 아들바위(아래)

 

슬픈 전설을 간직한 갓바위

 

바닷가에 온 젊은이는 잘못하여 관을 바다 속으로 빠트렸다. 이 젊은이는 그때부터 '불효자는 하늘을 볼 수 없다'고 하여 갓을 쓰고 슬퍼하다가 죽었다는 것이다. 얼마 후 그 자리에 두 개의 바위가 솟아올랐는데, 큰 것은 ‘아버지바위’ 작은 것은 ‘아들바위’라고 한다.

 

또 한 가지는 부처님과 아라한이 영산강을 건너려고 이곳에서 잠시 쉬다가 갓을 벗어놓고 갔는데, 그것이 바위가 되어 이 바위를 ‘중바위’라고 한다는 것이다. 전설이야 어찌되었든 이 바위는 예사롭지가 않다. 갓바위를 마주하며 오른쪽 바위는 남성의 힘이 느껴지고, 왼쪽의 것은 여성의 섬세함이 느껴진다.

 

 

여성의 섬세함이 느껴지는 왼쪽 바위가 오른쪽 남성의 바위에 어깨를 기대고 있는 듯한 모습으로도 보인다. 전설처럼 아버지에게 기댄 아들인지, 아니면 아들의 어깨에 몸을 의탁한 아버지의 모습인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두 개의 바위가 어우러져 신비함마저 느끼게 한다.

 

갓바위에서 부끄러움을 느끼다

 

먼 길을 달려 찾아간 갓바위. 예전 모습과는 판이하게 달라진 주변 경관에 조금은 낯이 설기도 하지만, 갓바위 가까이 다가가 훼손할 염려가 없으니 다행이란 생각이다. 두 개의 바위가 11월 중순의 찬 바닷바람에 움츠리고 있는 듯도 하다.

 

 

갓바위 앞에 마련된 관람 길 밑에는 작은 바닷고기들이 한가롭게 유영을 하고 있다. 아마 갓바위가 뒤늦게나마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것을 축하라도 하는 것인지. 바람결에 선 갓바위는 슬픈 젊은이의 전설을 간직한 채, 저만치 앞을 지나는 배라도 보고 있는 것인가? 곁에서 보면 영락없는 갓을 쓴 모습으로 보이는 갓바위를 보면서, 우리 자연의 오묘함을 또 한 번 깨닫는다.

 

그러한 아름다운 자연을 마구잡이로 파헤치고 폭파해대는 사람들은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살아가는 것일까? 우리의 후손들에게 참 못난 선대라는 오명을 벗지는 못할 듯 하다. 갓바위를 보면서 푸른 하늘이 부끄러워 고개를 들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고려 성종은 제6대 군주로 재위기간은 981~997년이다. 벌써 천년을 훌쩍 넘긴 세월이다. 괴산군 청안면 읍내리에 소재한 청안초등학교 교정에는 천살이 넘은 은행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천연기념물 제165호이다.

 

은행나무는 생명이 길어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린다. 병충해가 없으며 잎을 피기 시작하면서부터 가을에 단풍이 들 때까지, 변화하는 아름다움을 보여주기 때문에 가로수 등으로도 많이 심는다. 우리나라에는 용문사 은행나무,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 등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은행나무들이 있다.

 

 

보는 것만으로도 감동

 

잎이 없어도 서있는 자체만으로도 압권인, 천살을 넘긴 청안초등학교 교정 안 은행나무. 나무의 높이는 17m 정도에, 가슴 높이의 둘레가 7.4m이다. 동서로 뻗은 가지는 16.5m, 남북으로도 17.5m여나 된다. 이렇게 거대한 은행나무 한 그루가 학교 교정 안에 우뚝 서 있다.

 

"아저씨 은행나무 찍으러 오셨어요?"

"그래."

"그거 왜 찍어요?“

"응, 신문에 내려고."

"그럼 교과서에도 실려요?"

"아니. 신문에만 실려."

"교과서에 실려야 하는데요."

"왜 그런 생각을 하지."

"천년을 넘게 살았잖아요. 이렇게 큰 나무는 교과서에 실어주어야 한데요."

 

 

 

사진을 찍고 있는데 아이들이 쫒아와 하는 이야기다. 천연기념물이 교정에 서 있다는 것에 대해, 나름대로 자긍심을 갖고 있는 듯했다. 어린 마음에 천년 넘게 한자리를 지키고 있는 은행나무가, 대단하게 보였을 것이다. 비록 잎을 다 떨어뜨리고 있기는 하나, 천년 세월을 살아 온 은행나무답게 당당하다.

 

성주가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의 상징

 

고려 성종 때 이곳의 성주가 백성들에게 잔치를 베풀면서 성내에 연못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하여, '청당(淸塘)'이라는 못을 파고 그 주변에 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그 나무들 중에 하나가 살아남은 것이, 현재 청안초등학교 교정에 있는 은행나무라는 것이다.

 

괴산군은 고려 성종 14년인 995년 지방제도 정비 후에, 충주, 청주 등 13주 45현으로 구성된 중원도(中原道)에 속했다. 이후 현종 때 괴산지역은 충주목의 속군인 괴주군과 청주목의 속현인 청천현, 청안현, 청당현으로 구성이 되었는데, 이 청당현이 연못이 있는 이 지역을 포함했을 것으로 보인다.

 

 

성주의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이 깃들어 있는 은행나무는, 지금도 마을주민들이 정성을 다해 돌보고 있다고 한다. 더욱 학교 교정 안에 서 있는 이 은행나무는, 아이들에게도 큰 자랑거리이다.

 

귀 달린 흰 뱀이 사는 은행나무

 

청안 읍내리 은행나무 속에는 귀 달린 흰 뱀이 살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이 나무를 해하는 사람은 벌을 받는다는 것이다. 그러한 전설이 전해지기 때문에, 두려운 존재일 수도 있으나, 그보다는 성주의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을 알 수 있는 나무이기에 더욱 소중하게 여기는 것 같다.

 

 

나무를 돌아보니 여기저기 수술을 한 자욱이 보인다. 그런데 이 은행나무는 밑동서부터 잔 가지들이 무수히 솟아나 있다. 그리고 중간에도 잔가지들이 솟아나 있다. 이런 모습을 보면서, 고려 성종 때 이 나무를 심은 성주의 마음을 읽을 수가 있다. 저 나무가 성주라면, 그 숱하게 자라나고 있는 가지들은 백성들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천년 넘은 세월을 그렇게 마을 주민들에게 상징처럼 살아온 은행나무. 2월 찬 날에 아직 밑에는 눈이 녹지 않은 채로 있지만, 그 자태만큼이나 당당하다. 앞으로 또 천년을 저리 살아간다면, 그 때의 모습은 어떻게 변할까? 잎이 무성한 날, 다시 한 번 찾아보아야겠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