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팔달구 지동 주민센터 3층 제1강의실에는 지역 주민 및 시의원, 각 단체 단체장 및 위원, 지동 관내 노인회장, 지동출신 공직자 등 70여명이 모였다. 4년 동안 지동주민자치위원회 표영섭 위원장의 이임식 및 제8대 주민자치위원장으로 취임을 하는 이용성 신임주민자취원장의 취임식이 열렸기 때문이다.

 

오전 11시부터 시작된 이 취임식에는 전날 국회의원 보권선거에서 당선이 된 김용남 국회의원이 참석을 해 주민들을 놀라게 했다. 이날 기념식은 내빈소개에 이어 국민의례와 이미경 신임 주민자치위원회 사무국장의 6, 7대 위원장인 표영섭 위원장에 대한 공적소개로 이어졌다.

 

 

“4년 동안 지동 주민자치위원회 위원장으로 봉사를 해 오신 표영섭 위원장은 전통시장의 의리있는 사나이로 201081일 제6대 주민자치위원장으로 취임을 하셨습니다. 취임 첫해에 주민과 단체 간의 화합을 위해 동민체육대회를 시작으로 늘 이웃 간에 이해하고 화합할 것을 강조하면서 온정이 넘치는 지동을 만들기에 최선을 다했습니다.”

 

이미경 신임 사무국장은 공적소개를 하면서 누구보다 따듯한 마음을 갖고 있는 표영섭 위원장은 어려운 이웃과 어르신들을 위하는 자리에는 아낌없는 지원을 해주었다고 하면서, ‘20128월 만장일치로 제7대 주민자치위원회 위원장으로 봉사를 계속했다.’고 소개를 했다.

 

 

마을르네상스 사업에 적극적으로 지원

 

표영섭 위원장은 지동의 마을 르네상스 사업에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지동 벽화길 조성과 노을빛 음악회, 노을빛 갤러리와 전망대의 조성에도 깊은 관심을 가졌으며, 이 곳에 외지 관광객들이 찾아 올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또한 마을 커뮤니티 센터의 조성 사업에는 국비 33천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평가단을 설득하기도 했다.

 

이임사에서 표영섭 위원장은 그동안 물심양면으로 많은 도움을 주신 분들께 이 자리를 빌어 감사함을 전한다. 4년간 남름대로 열심히 한다고 했지만 부족한 면이 많았던 것 같다. 어려운 이웃들에게 제대로 도움은 주긴 했는지, 또 나로 인해서 마음 아픈 분들은 없었는지 지금 생각하면 많은 후회도 된다. 오늘 이 자리를 빌어 그동안 마음 아팠던 분들은 모두 잊어주기를 바란다.”고 했다.

 

 

취임사에 이어 많은 사람의 축하 이어져

 

이임사를 마친 표영섭 위원장에 이어 제8대 주민자치위원회 위원장으로 취임을 한 이용성 위원장은 1955년 여주 출신으로 슬하에 3형제를 두고 있다. 2008년부터 주민자치위원과 팔달새마을금고 이사를 맡아보았으며, 경기계란유통협회 회장을 맡기도 했다.

 

취임사를 통해 이용성 신임 주민자치위원장은 화합을 강조했으며, 모든 주민들과 더불어 살기 좋은 마을을 만들어 갈 것을 다짐했다. 축사에 나선 김용남 국회의원은 이번 보궐선거에서 지동 주민들이 보내 준 압도적인 지지에 감사를 드린다.‘앞으로 국가와 수원, 그리고 팔달구와 자동을 위해 항상 최선을 다하는 의정활동을 펼치겠다.‘고 해 박수를 받기도.

 

 

이 외애도 수원시의회 명규환, 김진관, 한원찬 의원 등이 축사를 했으며, · 취임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는 것을 보고 있던 한 주민은

표영섭 위원장이 정말 마음고생을 많이 했다. 하필이면 표위원장 봉사기간 중에 지동이 불미스러운 일이 생겨 마음고생이 더 심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 이젠 짐을 좀 내려놓고 더 큰 그림을 그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장치기' 또는 '얼레공치기', '짱치기'라는 놀이가 있다. 이 놀이는 1930년대까지 전국적으로 연희가 되어왔던 놀이니, 중단된 지가 그리 오래지 않다. 이 장치기를 시합으로 할 때는 '장치기'라 하고, 놀이로 할 때는 '장채놀이'로 부르기도 한다.

 

1931년 2월 1일자 <동아일보>는 서탄면 황구지천에서 전국의 32개 남여 팀이 참가한, '전 조선 얼레공대회'가 열렸다고 보도했다. 또 <동아일보> 사보 1월 24일자부터 30일자까지에는 수원군 양감면 용소리 앞 냇가에서 얼레공대회를 개최한다는 예고가 실렸으며, 참가할 각 팀의 선수는 5명으로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장치기는 우리 민속 중 유일하게 나타난 구기종목이기도 하다. 장치기는 놀이방법이나, 놀이를 할 때 사용하는 기구 등이 간단하다. 놀이를 하기 위해선 짚이나 나무공이를 이용해 만든 '공'과, '장'이라고 하는 나무로 만든 채만 있으면 된다. 공은 짚을 엮어서 만드는 방법을 택했으며, 장은 물푸레나무 등을 이용해 길이가 3~5자 정도에, 끝이 45도 앞으로 휘어져 10~15cm 정도 되는 것을 사용한다.

 

모두가 즐겨하던 전통 공놀이

 

 

. 얼레공은 짚을 꼬아 둥굴게 만들고. 장은 물푸레 나무 등으로 만든다

 

 

 

장치기는 1950년대만 해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놀이였다고 한다. 어른들은 정월 대보름을 전후해 넓은 논바닥에서 마을끼리 대항을 하기도 했단다. 장치기 놀이에는 특별한 규칙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저 몇 명이라도 모이면 편을 갈라 하는 놀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장치기가 꼭 놀이로서만 전승되어 온 것은 아니다. 장치기는 겨울에 운동량이 부족할 때, 몸을 움직여 원활한 신진대사를 돕기위해 하는 '운동'이 되기도 한다. 또 일부 마을에서는 얼레공을 자신의 마을로 몰고 가기도 한다. 이는 자신의 마을로 복을 끌고 가는 것이라고 한다. 즉 얼레공을 짚으로 만들기 때문에, 그것이 풍농과 연결이 된다는 것이다.

 

간단한 도구를 갖고도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공놀이. 장치기는 그저 공터만 있으면 연희가 가능한 놀이다. 1932년 전국에서 남녀 32개 팀이 모였다고 하는 것은, 그만큼 우리나라 전역에서 보편화 된 놀이였음을 방증한다.

 

장치기는 어떻게 전해졌을까?

 

 
장을 이용해 짚을 꼬아만든 장을 쳐낸다
 
 
장은 끝이 구부러져 얼레공을 몰아가기에 편하다. 필드하키와 흡사하다.

 

어떠한 놀이든지 갑자기 생겨날 수는 없다. 장치기도 예외는 아니다. 장치기의 원조는 삼국시대부터 전해진 '격구'로 본다. 고려 태조 1년인 937년 기록에 격구장이 있었다는 것으로 보아, 격구는 그 이전부터 성행한 놀이임을 알 수 있다. 고려 때는 여자들이 말을 타면서 하는 마상격구를 할 때, 그 치장의 화려함이 지나쳐 한 때 금지시키기도 했다.

 

조선조에 들어서는 태조와 정종이 격구를 즐겼으며, 세종 7년인 1425년엔 무예연습의 필수과목으로 격구를 선택하기도 했다. 정조는 격구를 24기 무예의 한 종목으로 택해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안에 수록하였다. 이러한 반가의 대표적 놀이인 격구가, 언제부터 민간으로 전해져 장치기가 되었는지는 확실치 않다. 다만 조선조 중기 이후에 급격히 쇠퇴한 반가의 놀이인 격구가 이때를 전후해 민간으로 전해졌을 것으로 본다.     

 

우리 놀이를 되살릴 수는 없을까?

 

 
양팀의 사람들이 서로 얼레공을 빼앗기 위해 채로 얼레공을 쳐내고 있다.

 

나는 오래 전에 수원에서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장치기를 가르쳐 재현시킨 적이 있다. 경기도민속경연대회와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까지 참가를 시키기도 했는데, 장치기는 누구나 손쉽게 배울 수가 있어서, 청소년들의 놀이로 장착을 시켜도 좋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필드하키와 비슷한 놀이인 장치기는 장이라는 나무막대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때로는 격한 몸싸움으로 부상을 입기도 한다. 그러니 그런 부상을 막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만 보완한다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우리 전통의 놀이다.

 

연세가 80세 이상이신 분들 중에는 아직도 장치기를 기억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다. 장치기 놀이에는 별도의 골문이나 골키퍼가 있진 않다. 그저 넓은 공터 양편에 돌을 놓아 문을 만들고, 편을 갈라 얼레공을 몰고 가 그 문 안으로 들여보내면 된다. 사라지는 우리 전통놀이인 장치기.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아이들의 체력을 위할 수 있는 우리 전통놀이를 되살릴 수만 있다면, 좀 더 건강한 정신과 육체를 갖게 되지 않을까?

 

일 년 내내, 계절에 구애를 받지 않고 들에서 뛰어놀던 장치기. 우리의 전통 공놀이인 장치기를 학생들에게 가르쳐, 예전과 같이 전국의 남녀 팀이 모여 함성을 지르는 모습을 볼 수 있기를 고대해본다.

다음 백과사전에서 간장이란 무엇인가를 검색했더니 「독특한 맛과 향기를 지닌 액체 양념으로 , 우리나라·중국·일본 등에서 중요한 조미료의 하나로 널리 사용해왔으며 제조법과 담근 햇수에 따라 맛의 정도와 빛깔에 차이를 보인다.」라고 설명을 하고 있다. 간장은 우리 생활에 있어서는 중요한 양념 중에 하나이다. 음식의 간을 맞히거나, 조리를 할 때 다양하게 사용을 하기 때문이다.

지금도 장이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과거에는 장을 잘 담가야 한다고 말들을 했다. 장을 담굴 때는 좋은 콩을 이용해 메주를 잘 쑤어야 하며, 메주가 잘 떠야 장맛이 좋다고 한다. 다음에는 메주를 독에 넣고 간수를 부어 봉인을 해둔다. 그런데 이때가 장맛을 내는데 가장 중요하다고 한다.


달걀을 이용해 장의 간수를 알다니..

어른들 말씀을 들으면 장을 담굴 때 간수의 비율이 잘 맞아야 나중에 다려도 장맛이 좋다는 것이다. 즉 장은 이때 맛이 결정되며, ‘장맛이 좋다, 나쁘다.’라는 결정이 난다고 한다. 그렇다면 장의 간이 적당한지를 어떻게 알아보아야 할까?

살림을 하는 전업주부 20여분에게 물어보았다. 장을 담굴 때 장맛을 어떻게 보아 비율을 맞추느냐고. 그랬더니 모두가 장을 손가락으로 찍어서 맛을 보고 안다는 것이다. 그런데 올 해 구순이신 할머니께서는 손가락으로 장맛을 보아 간을 어찌 잘 맞추느냐는 것이다. 사람들 입은 항상 같을 수가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 비결을 물었더니, 세상에나, 날계란으로 장의 간을 맞춘다는 것이다. 즉 간수가 맞으면 계란이 똑바로 서고, 간수가 짜거나 싱거우면 한편으로 기운다는 것이다.

계란을 이용해 장의 간을 맞춘다. 놀라운 지혜이다.

정말인지 궁금하다. 그래서 간수를 맞춘 독에 날계란을 집어넣었다. 정말이다. 계란이 똑바로 선다. 처음에는 싱거운지 한편으로 기울었다고 한다. 이런 지혜를 도대체 우리 선조들은 어떻게 다 알아낸 것일까? 아무리 세상이 변해도, 변하지 않는 것. 그것은 바로 오랜 전통 속에서 전해지는 선조들이 물려주신 지혜인 것이다.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 예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다. 선조들에게서 전해지는 지혜. 옛날을 사시는 어른들이 스승이 되는 까닭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