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원사는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산의 서쪽에 위치한 사찰이다. 백제 의자왕 11년인 651년에 창건되었으며, 경내에서 백제연화문와당이 출토되었다. 신원사의 중악단은 삼국시대부터 산신사상이 전해 내려오는 곳이다. 산신제는 신라 문무왕이 오악제를 올린 이후, 곳에 따라 현재까지 제사가 계속 이어져오고 있다.

 

신원사는 고종이 대한제국으로 국호를 바꾸고, 신원사의 사명을 새 나라의 시작을 의미하도록 신원사(神院寺)에서 신원사(新元寺)로 고쳤다. 신원사의 중악단은 조선왕조가 계룡산신에게 봄 , 가을 두 차례에 걸쳐 제사를 드리던 장소이다. 중악단은 조선시대의 건축물로 궁중의 건물을 짓는 건축형태로 조성이 되었으며, 199932일 보물 제1293호로 지정이 되었다.

 

 

삼악 중 중앙에 있다고 붙여진 이름 중악단

 

충남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산8 신원사 결내에 자리하고 있는 보물 제1293호인 공주 계룡산 중악단. 중악단은 나라에서 계룡산신에게 제사 지내기 위해 마련한,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중악단은 묘향산의 상악단, 지리산의 하악단 중에서 그 중앙에 있다고 하여 중악단이라 불렀으며, 지금은 중악단만이 남아있다.

 

계룡산은 예로부터 신령스러운 산으로 여겨져 왔으며, 신라 때는 오악의 한 곳으로 제사를 지냈다. 조선시대에는 북쪽의 묘향산을 상악으로, 무학대사의 꿈에 산신이 나타났다는 말을 듣고 태조 3년인 1394에 처음으로 제사를 지냈다고 전하며, 효종 2년인 1651년에 제단이 폐지되었다. 그 후 고종 16년인 1879년에 명성황후의 명으로 다시 짓고 중악단이라 하였다.

 

 

난 가을이면 계룍산 신원사를 찾는다. 언제나 느끼는 것이지만 신원사의 가을은 아름다움의 극치를 선보이기 때문이다. 절은 온통 노란색과 붉은색으로 도배를 한다. 경내에 들어서면 마치 신선이 살고 있는 곳을 찾아온 듯하다. 중악단으로 오르는 길에 만나게 되는 신원사의 단풍은, 매년 보아도 특별하다.

 

단묘의 건축법을 엄격히 지킨 중악단

 

공주 계룡산 구릉지에 마련한 중악단은 동북과 서남을 중심축으로 하여, 대문간채, 중문간채, 중악단을 일직선상에 대칭으로 배치했다. 중악단의 둘레에는 담장을 둘러 이곳이 신성한 곳임을 나타내고 있다. 건물배치와 공간구성에 단묘(壇廟)건축의 격식과 기법을 엄격히 적용하고 있다.

 

중악단의 현판은 조선 후기 문신 이중하(18461917)가 쓴 것이라고 한다. 중악단 내부 중앙 뒤쪽에 단을 마련하고, 단 위에 나무상자를 설치하여 그 안에 계룡산신의 신위와 영정을 모셔 두었다.

 

 

중악단은 1.5m의 높은 돌 기단 위에 정면 3, 측면 3칸의 규모에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짠 구조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인데, 조선 후기의 특징적인 수법으로 조각, 장식하여 화려하고 위엄이 있다. 중악단은 국가에서 시행하는 산신제를 지내는 곳이기 때문에 특별한 것이 있다.

 

각 지붕 위에는 각각 7개씩 잡상을 배치하여, 궁궐의 전각이나 문루 또는 도성의 문루에서 사용하던 기법을 쓴 점도 특이하다. 지금은 조선시대에 산신제를 지내던 상악단과 하악단이 없어져 그 유적 내용을 알 수 없으나, 중악단이 잘 보존되어 있어 나라에서 산신에게 제사지냈던 유일한 유적으로 남아있는 소중한 전각이다.

가끔 서울에 올라갈 때마다 찾아가는 곳이 바로 궁이다. 이곳저곳 돌아보는 것도 재미있지만, 그 안에서 벌어졌던 역사의 한 페이지를 기억해보곤 하는 일이 좋기 때문이다. 경복궁을 구경하다가 보면 이상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멋들어지게 지은 전각들이 지붕을 맞대고 늘어선 궁에, 왕이 묵는 강녕전과 왕비가 기거하는 교태전의 지붕에는 용마름이 없다는 사실이다.

 

경복궁의 강녕전은 경복궁 안에 있던 왕의 침전이다. 태조 4년인 1395년 사정전의 북쪽에 세웠다. 그 뒤 세종 15년인 1433년(에 중수했으나 명종 8년인 1553년에 불탄 것을 이듬해 중건했다. 이후에도 몇 번 소실이 되고 다시 짓기를 반복했다.

 

 

수차례 수난을 당한 왕과 왕비의 처소

 

경복궁 안에 있던 왕비의 침전인 교태전은 경복궁 창건 당시인 1395년(태조 4)에는 없었다. 세종 25년인 1443년에 증축되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명종 8년인 1553년에 강녕전과 함께 불탄 것을 이듬해 중건했으나 임진왜란 때 다시 불타버렸다. 교태전도 강녕전과 함께 수차례 소실되고 중건하기를 반복했다. 1920년에는 창덕궁 대조전을 짓는다는 구실로 왕의 침전인 강녕전과 함께 일본인들에 의해서 헐려 건축부재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강녕전과 교태전의 지붕을 보면 용마름이 없다. 날렵하게 치켜 올라간 지붕위에 용마름이 없는 지붕은 무엇인가 좀 허전해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그러한 허전함을 느끼지 않도록 세심하게 만든 것이 바로 강녕전과 교태전의 멋이다.

 

왕의 침전인 강녕전에는 용마루가 없으나, 강녕전 옆의 건물에는 용마루가 있다

 

왕비의 침전인 교태전, 이곳 역시 용마루가 없다. 이는 왕과 왕비가 바로 용이기 때문이다. 즉 한 지붕밑에 용이 둘일 수 없다는 사고로 보인다.

 

그렇다면 왜 왕과 왕비의 침전 지붕에는 용마름을 올리지 않은 것일까? 그것은 바로 왕이 용이기 때문이다. 왕과 왕비는 부부니 일심동체고, 당연히 왕비의 침전에도 용마름을 얻지 않은 것이다. 딴 건물과는 달리 용마름이 올려지지 않은 강녕전과 교태전 알고 보면 더 재미있다.

 

‘어처구니’는 무엇일까?

 

가끔 TV 오락프로에 보면 궁에 가서 ‘어처구니’라는 것을 갖고 내용을 펼치는 것을 볼 수 있다. 궁궐에는 어처구니라는 것이 있다. 흔히 서유기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궁궐의 지붕 위에 올라 앉아 있는 것이다. 서역을 갔다 온 삼장법사와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이 언제 우리의 궁궐로 온 것일까? 이 궁궐 처마에 올라타고 있는 잡상을 어처구니라고 한다.

 

국어사전에서 어처구니를 찾아보면 '상상 밖으로 엄청나게 큰 사람이나 사물'을 말한다. 그러나 우리는 기가 막혀 말이 안 나올 때도 '어처구니가 없다'라고 한다. 이때의 어처구니는 요철도 구멍도 없이 꽉 막혀 도통 통하지가 않는다는 말의 뜻을 갖고 있다.

 

추녀마루에 올라앉은 잡상

 

'어처구니'는 한자어의 요철공(凹凸孔)에서 유래된 것이다. 즉 들어가고 나옴의 요철과 구멍의 합성어로 된 말인데 이것이 변하여 요철이 '어처'가 되고 공이 '구녕'이 되었다가 다시 '구니'로 되었다는 것이다. 말의 변화야 어찌되었건 앞뒤가 꽉 막힌 사람들을 보고 '어처구니가 없는 사람'이라고 한다.

 

재앙과 화마를 막기 위한 장식

 

이 어처구니가 궁궐의 지붕 위에 있는 잡상이다. 지붕위에 어처구니를 올리는 이유는 이러하다. 궁궐을 지을 때 기와를 올리는데 기왓장의 측면에 계단식의 홈이 한 줄 파여 있다. 이것은 빗물이 새지 않도록 정밀하게 맞물려지도록 하는데 이것을 '어처'라고 하는 것이다. 이 어처가 없다면 기와의 줄을 맞추기가 쉽지가 않다.

 

잡상은 적게는 3개에서 많게는 11개 까지 올린다

 

즉 어처구니는 이 ‘어처공’이라는 말이 된다. 이 어처를 막기 위한 것이 바로 흙으로 구워 만든 동물이다. 흔히 잡상이라고 하는 어처구니는 올리는데 순서가 있다. 새가 입을 벌리고 있는 형태는 취두라 하고, 새 꼬리 모양은 치미, 망새라고 부른다. 용두는 취두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내림마루 끝에 있으며, 그 밑 추녀마루에 잡상을 올린다.

 

잡상이 서 있는 순서를 보면 대당사부라는 삼장법사가 맨 앞에 무릎에 손을 짚고 서 있다. 그 뒤로는 손행자(孫行者)라 불리는 손오공, 저팔계(猪八戒), 사화상(沙和尙=사오정), 마화상(麻和尙), 삼살보살(三煞菩薩), 이구룡(二口龍), 천산갑(穿山甲), 이귀박(二鬼朴), 나토두(羅土頭)의 순이다. 이 장식들은 잡귀들이 건물에 범접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했다.

 

잡상은 궁궐의 처마마루에 올려 잡귀들의 범접과 화마를 막았다

 

이 중에서 마화상은 말의 형상을 하고 있는 잡상이다. 삼살보살은 세살, 겁살, 재살 등 살이 끼어서 불길한 재앙이다. 이것을 막고 있는 잡상이다. 천산갑은 인도, 중국 등지에 분포된 포유동물의 일종이다. 머리 뒤통수에 뿔이 돋아있다고 하는데 이 동물이 잡귀들을 물리친다는 것이다.

 

이러한 잡상들은 언제부터 처마에 올라가 있을까? 기와가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들어온 것은 고조선 말기라고 한다. 그러나 고분벽화 등에 그림에도 잡상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삼국시대나 고려의 와편에도 잡상이 나타났다는 기록이 발견되지 않는 것을 보면 그 이후가 될 것 같다. 잡상은 아무집이나 올리는 것이 아니다. 궁이나 그와 관련된 건조물에만 올린다. 적게는 3개에서부터 많게는 11개까지 올린다. 알고 돌아보는 궁궐상식, 아이들에게 자랑삼아 설명을 해주는 것도 좋은 일이 아닐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