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5일, 여수시 돌산읍 율림리 산 7번지에 위치한 향일암으로 오르는 길. 주차장에 차를 댈 때부터 앞이 안 보일 정도로 비가 쏟아지기 시작한다. 그 빗속에서 사람들은 꾸역꾸역 향일암으로 오르는 길을 걷는다. 도대체 무엇이 저들을 이 비를 맞으며 향일암에 오르도록 하는 것일까? 카메라가 신경이 쓰이지만, 그 인파 속에 나를 묻어 버린다.


‘향일(向日)’이란 말 그대로 해를 바라본다는 뜻이다. 일출의 명소로 알려진 향일암은 대한불교 조계종 제 19교구본사인 화엄사의 말사이다. 금오산 향일암은 남해 제일의 관음기도 도량으로, 관세음보살이 중생들이 그 이름을 부르면 음성을 듣고(=觀音)서 중생을 구제한다는 곳으로 참배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기도 하다.

 

 


좁은 바위틈을 빠져나가다


향일암을 오르는 길은 한 사람이 겨우 빠져 나갈 수 있는 바위틈을 지나야 한다. 향일암의 전각들은 하나같이 바위와 함께 어우러져 있다. 그 바위가 전각을 맞이한 것인지, 전각이 바위를 찾아간 것인지. 그렇게 언제까지라도 하나가 되어 있을 전각과 바위들이 비에 젖은 나그네를 맞이한다.


카메라는 이미 비에 젖어 어떻게 할 수가 없다. 렌즈를 닦아보지만 뿌옇게 김이 서린다. 그래도 어쩔 것이냐? 이 먼 길을 달려왔는데 그냥 갈 수는 없다. 바닷가로 향해보지만, 한치 앞도 보이지가 않는다. 동행을 한 사람들은 연신 사진을 찍어달라고 졸라대지만, 그럴 수가 없음이 참 답답하다.

 

 


사진만 찍으려고 하면 세차게 부는 바람과 쏟아지는 비가 사람을 곤란하게 만든다. 금방 렌즈에 가득한 빗물이다. 그래도 몇 번을 천으로 렌즈를 닦아가면서 겨우겨우 여기저기 찍어보지만, 이런 날은 참 불가항력이다.


주변의 돌까지 거북등의 무늬가 있다는 향일암


원통보전 앞에 섰다. 우측으로는 산신각이 있고, 좌측으로는 종각과 그 아래 하관음전이라는 용왕전이 있다. 원통보전 안으로 들어가 삼배라도 하고 싶지만 몰골이 말이 아니다. 신발을 벗으려고 하니 바짓가랑이에서 물이 줄줄 흐른다. 오르는 길에 갑자기 넘쳐흐르는 물이 발을 치고 지나갔게 때문이다.

 

 


안에서는 스님의 예불이 한참이다. 할 수 없이 수미단 위에 좌정하신 세분 부처님께 마음의 염원을 고해본다. ‘나로 인해 상처받은 중생들, 그리고 나와 인연이 있는 모든 사람들이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달라.’고. 그러고 나서 하관음전을 향한다. 하관음전을 내려가는 길 바위 위에는 거북이인지 석물들이 줄지어 바다를 향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십 수년 전 이곳에 들렸을 때, 한 노장스님께서 하신 말씀이 생각이 난다. “여기 향일암은 우리나라 최고의 관음성지인데, 관음보살이 이곳에 오실 때는 거북이를 타고 오시지. 그래서 이곳에는 바위와 심지어는 축대를 쌓은 돌에도 모두 육각형의 거북 등과 같은 문양이 보인다.”라는 말씀이다. 그래서 이 많은 거북이들이 있는가 보다. 관음보살님을 모셔오기 위해서.

 

 


바위틈으로 다니는 길, 모든 곳이 바로 기도처라고


산신각을 둘러보고 난 후 상관음전으로 향한다. 원통보전 뒤로 난 길을 따라 오르면 좁은 바위틈으로 계단이 있다. 그곳을 빠져나가 상관음전이 있다. 오르고 내려오는 사람들로 인해, 길을 비켜서 기다려야만 한다. 그렇게 찾아간 상관음전. 그러나 여기도 역시 어간문 앞에서 손을 모을 뿐이다.

 

 


장맛비 속에서 찾아간 금오산 향일암. 이곳은 온통 어디에 앉아도 기도처라고 한다. 그만큼 따로 기도처가 필요하지 않다는 이야기다. 그곳에서 난 수많은 관음보살을 만난다. 이 빗속에서 여기 오른 사람들. 그들 모두가 관음보살은 아니었을까? 향일암을 뒤로하고 내려오는 길에 다시 거세진 빗줄기가 그리 싫지가 않다. 나도 이미 관음의 마음을 얻었는지.


2011년은 신묘년입니다. 토끼해인 신묘년은 ‘여성의 해’입니다. 토끼는 여성을 대표하는 ‘산신(山神)’이자, 산신을 보조하는 ‘산신령(山神靈)’을 뜻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신묘년은 아무래도 여성들의 활약이 두드러질 것으로 나름 예견을 해 봅니다. 여성 블로거 여러분의 활약이 기대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새해 해맞이는 여러 가지 정황으로 보아 힘들 것 같습니다. 우선은 전국적으로 대란이라고 하는 ‘구제역’으로 인해, 모든 마을들이 외부 차량들이 마을로 들어오는 것을 별로 달가워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특히 청정지역이라는 곳에서는, 더 더욱 외부차량에 대해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합니다.

모악산 산사 일출

신묘년 해맞이 자제해야

아무래도 차량과 사람으로 인해 구제역에 옮겨가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각 지자체마다 모든 행사를 취소하고, 구제역이 지역으로 옮겨 올까봐 전전긍긍하고 있습니다. 신년 해맞이도 중요하지만, 이렇게 축산농가가 비상이 걸리고 벌써 엄청난 소와 돼지들이 살 처리를 당한 판국에, 해맞이 구경을 한다고 바닷가로 달려가는 것은 어째 모습이 좀 그럴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사실 해를 맞이한다는 것은 많은 의미가 있습니다. 새해 처음으로 뜨는 해를 보고 소원을 빌고, 한해의 안과태평과 가족 간의 단합을 위해서 해맞이는 바람직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해를 맞이한다는 것이 중요한 것이지, 그 해를 꼭 바닷가로 가서 보아야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동해에서 떠오르는 해를 가장 먼저 볼 수 있다는 것에, 의미를 두기 때문입니다.


2011년 첫 날 해맞이는 마을 뒷산으로

하지만 자식처럼 키우던 가축을 모두 땅에 묻고 비통에 빠져있는 축산농가나, 행여 불똥이 튈까봐 애를 태우는 각 마을들을 생각한다면, 2011년 해맞이는 이동을 하는 것에 대해 생각을 해야 할 듯합니다. 나는 괜찮다는 생각은 자신만의 생각입니다. 어디서 어떻게 구제역이 옮겨가게 될지 아무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지자체들은 대규모 행사로 준비를 하고 있던 일몰과 일출의 행사를 취소하고, 많은 인원을 동원해 지역으로 들어오는 차량들에 대해 대대적으로 방역을 할 모양입니다. 그러다 보면 괜한 시비도 붙을 수가 있을 듯도 합니다. 새해 첫날을 맞이하겠다고 떠난 길에서, 괜한 시비가 생긴다면 그 또한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죠.


그래서 신묘년 첫날 떠오르는 해를 맞이하기 위해서, 새해 첫날에는 가장 가까운 산을 올라보라고 권유를 하고 싶습니다. 아마 그 어떤 것보다도 또 다른 의미를 주는 것은 바로 올 해가 신묘년이기 때문입니다. 여성을 상징하는 해이고 토끼는 산신을 의미하기 때문에, 산에서 해를 맞이한다면 좋은 일이 더 많이 생길 것 같기도 합니다.

이제 이틀 앞으로 다가 온 2011년에는 모든 분들이, 마음먹은 대로 서원하는 것들이 이루어지기를 기원합니다. 그리고 2010년 정말 고맙습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