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여선과 수인선. 모두수원을 기점으로 한 철도 선로의 명칭이다. 수인선은 수원과 인천을 잇는 철도선이며, 수여선은 수원과 여주를 잇는 철도선이다. 이 두 노선은 현재 모두 폐쇄가 되었다. 한 때는 서민들의 발 노릇을 톡톡히 해주던 철도선이었지만, 지금은 한낱 이야기 속의 기차가 된 것이다.

 

수인선은 인천광역시 송도와 수원을 잇는 협궤철도선으로 총길이 52km에 달했다. 수원역을 출발한 열차는 고색-어천-야목-사리-일리-고잔-원곡-군자-달월-논현-남동-용현-남인천으로 운행을 했다.

 

수인선의 협궤철로는 본래 경기만의 소래와 남동, 군자 등의 염전지대에서 생산되는 소금을 수송하기 위하여, 1935923일에 착공한 철도선이다. 193786일 조선경동철도주식회사의 사설철도로 건설되었으나 광복 후 국유화되었다.

 

 

 

193112월에 개통한 수여선(수원~여주. 73.4km)은 농산물을 인천으로 연계수송도 하기 위한 수탈의 철도선이었다. 일제는 1937년 경기도 이천 여주 지역 쌀과, 소래 남동 등지의 소금을 인천항을 통해 반출하기 위해 수원역~남인천역(수인선 지금의 중구 신흥동)간 수인선 협궤열차를 운행했다. 여주와 이천의 곡창지대에서 생산되는 최고품질의 쌀을, 본국으로 보내기 위해 수원~여주간 수여선과 함께 수인선을 이용한 것이다.

 

서민들의 애환이 담긴 협궤열차

 

협궤철도(狹軌鐵道)’의 협궤란 선로 폭이 표준궤보다 좁은 선로를 말하는 것이다. 이 협궤철도 위를 달리는 좁은 기차가 바로 유명한 협궤열차이다. 협궤열차의 정확한 수치는 1067mm이다. 우리나라에서 쓰인 협궤는 762mm이며 표준궤는 1435mm, 광궤는 1524mm1674mm이다

 

협궤선로는 수인선과 수여선에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모두 폐선이 되었다. 해방 후 1960년대까지만 해도 증기 기관차가 객차 6량과 홤루차 7량을 달고 수원을 출발해 수인선 15개역을 하루 평균 7차례나 운행했다. 그러나 교통수단이 버스 등으로 대처가 되면서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 1979년부터 구간씩 운행을 중단했다. 수인선은 19951231일 마지막으로 운행을 하고 60여년의 세월동안 서민들의 발로서의 기능을 마쳤다.

 

 

 

기차 객실의 폭이 고작 2m 남짓으로 좁다보니 열차가 심하게 움직여 좁은 공간에서 무릎을 서로 맞닿은 채로 앉아있던 사람들이, 서로 무릎을 부딪치며 멋쩍어 하다가 금방 말문을 트이고는 했다는 협궤열차. 승객을 가득 싣고 안산의 원곡고개와 같은 높은 지역을 오를 때면 열차가 제 힘으로 고개를 넘을 수가 없어, 승객들이 내려서 밀어야 했다고 전하는 이야기는 협궤열차이기에 가능한 일이다.

 

협궤열차 선로 활용방안 찾아야

 

수원과 인천을 잇는 수인선은 이제 다시 교통망으로 새롭게 준비를 하고 있다. 수원역서부터 이미 공사를 시작한 수인선은 수원지역 구간은 지하로 관통할 계획이다. 기존의 수인선 철도를 대부분 따라갈 것이라는 이 수인선이 완공이 되면 수원은 사통팔달의 교통의 요지가 된다. 거기다가 인근 지역에서 모두 환승이 가능한 수원을 이용할 것으로 보며, 명실상부한 수도권 교통의 중심지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문제는 기존의 수인선 철로이다. 아직도 옛 풍취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수인선. 황구지천을 따라 오르다 수원시 권선구 서수원로 220(오목천동)에 소재한 오현초등학교 옆으로 지나는 수인선은 교각까지 있어 옛 수인선의 모습을 알아볼 수 있는 곳이다. 봄이 되면 황구지천 주변에 흐드러지게 피는 벚꽃과 함께 아름다운 경치를 연출해 사진작가들이 많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문제는 새롭게 수인선을 건설하면서 이 교각을 철거하는 쪽으로 방향이 잡혔다고 한다. 하지만 벌써 80년 가까운 세월을 수원과 인천을 잇는 협궤열차가 지나던 곳이다. 이런 역사적인 장소라면 근대문화재라도 지정을 해서 지켜내야 하는 것이 아닐까? 또한 아직도 협궤열차의 옛 정취를 잊지 못하고 있는 많은 사람들에게 예전의 기억을 되살려 이곳을 찾아올 수 있는 계기도 마련해 주어야 할 것이다.

 

이 협궤열차가 다니던 철로 위에 요즈음 전국적으로 관광의 자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레일바이크를 운영한다면 어떨까? 없는 것도 많은 예산을 들려 관광자원으로 조성을 하고 있는 터에 수원은 그대로 자원이 살아있는 것이다. 아름다운 주변의 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레일바이크. 또한 타 지역과는 달리 도심의 공간을 누빌 수 있는 레일바이크. 이제는 이 협궤철도를 어떻게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것인가를 심도있게 고민을 할 때라고 생각한다.

 

쌈지란 우리말로 담배나 부시 등을 담기 위하여 종이나 헝겊, 가죽 따위로 만든 작은 주머니를 말한다. 그것도 큰 주머니가 아니라, 허리춤에 달고 다닐만한 작은 것을 말한다. 흔히 담배쌈지라고도 한다. ‘찰쌈지는 허리에 차게 된 주머니 모양의 담배쌈지를 말한다.

 

쌈지에 들어있는 작은 돈을 쌈짓돈이라고 한다. 많지 않은 푼돈이라는 뜻이다. 이런 뜻으로 볼 때 쌈지란 작은 것을 말한다. 흔히 도심 속에 조성한 쌈지공원을 일러 작은 녹색혁명이라고 부른다. 쌈지공원은 우리가 흔히 공원이라고 이름을 붙이는 그러한 대단위 규모의 공원이 아니다. 이런 작은 자투리땅을 이용한 공원인 쌈지공원은 도심 속의 작은 공원을 말하는 것이다.

 

 

수원은 쌈지공원천국

 

수원은‘2013 도시대상 종합평가부문에서 전국 1위 도시로 영예의 대통령상을 수상한 바 있다. 이렇게 대통령상을 수상하게 된 것은, 수원시의 경쟁력이 쾌적성에 있기 때문이다. 수원은 자연경관에서부터 지역의 가로 등 정비 등, 도시공간의 쾌적성 확보에 행정력을 집중시키고 있다.

 

이를 위해 수원시는 수원역 등 주요거점별 간판이 아름다운 거리조성사업, 문화와 예술이 살아 있는 골목만들기, 보행환경개선사업과 주요도로 및 간선도로 정비사업, 자투리공간의 쌈지공원화 등, 행정중심이 아닌 주민중심의 수원형 마을르네상스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원시에는 많은 쌈지공원이 있다. 각 마을마다 마을르네상스 사업의 일환으로 조성한 쌈지공원과 생태교통 수원2013’으로 한 달 동안 차 없는 거리를 실행한 행궁동 내에 쌈지공원, 조원동 등 많은 쌈지공원 등이 자리하고 있다. 서둔동 앙카라학교공원도 엄밀히 따지면 쌈지공원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가족여성회관 뒤편에 여성의 정원조성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 119에 소재한 수원시 가족여성회관(관장 정진숙). 가족여성회관은 여성이 복지, 권익증진, 능력개발과 시회참여 확대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여성들의 공간이다. 20111일부터 민간위탁으로 운영을 하고 있다. 가족여성회관 뒤편으로는 구도심의 공간으로 남문로데오거리이다.

 

이 가족여성회관의 본 건물인 운영관 뒤편에 새롭게 여성의 정원이 조성되었다. 그동안 우중충한 분위기를 바꿔 말끔하게 조성이 된 정원을 돌아보았다. 그리 크지는 않지만 여기저기 쉴만한 공간이 조성되어 있고, 한편으로는 작은 무대까지 준비를 해 누구나 와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곳으로 탈바꿈을 했다.

 

 

철 늦게 조성을 하는 바람에 아직은 사람들의 이용이 한가한 편이지만, 앞으로 많은 사람들의 여가선용 장소로 각광을 받을만하다. 특히 가족여성회관을 이용하는 많은 여성들과 어린이들이 이곳을 이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쌀쌀한 날씨에 아이들과 함께 이곳에서 쉬고 있던 한 주부는

 

이렇게 작은 공원이 생겨 너무 좋아요. 사실 가족여성회관이 안에는 구조변경을 했다고 하지만 밖에는 쉴만한 공간이 부족한 것 같았거든요. 이제 이렇게 아이들과 힘께 즐길 수 있는 공간이 생겨나 자주 이용을 해야 할 듯합니다.”라고 한다.

 

도심 속의 쌈지공원 형태로 조성이 된 가족여성회관 뒤편의 여성의 정원’. 이곳에서 많은 아름다운 이야기들이 피어나길 기대해본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