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답사를 나갈 때는 사전에 동선부터 정해놓는다. 그것은 같은 시간 안에 더 많은 문화재를 답사하기 위한 방법이기도 하다. 동선을 정해놓지 않으면 가까운 거리에 문화재를 놓고도, 멀리 돌아다녀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사전에 촬영을 할 문화재를 정해놓지만, 가끔은 지나는 길에 생각지고 않은 문화재를 만나는 수도 있다.

 

충남 보령시 웅천읍 수부리 16-6에 소재한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2보령수부리귀부 및 이수(保寧水芙里龜趺螭首)’가 바로 문화재 답사 자료에는 없었던 문화재이다. 보령시 웅천읍에 있는 독살을 촬영하러 가는 길에 만났으니, 이럴 때는 꼭 많은 돈을 얻어 횡재라도 한 듯 기분이 좋다.

 

독살을 만나러 가는 길

 

독살은 보령시 웅천읍 독산리 해안가에 소재한 충남 민속문화재 제16호이다. 보령지방은 조석간만인 밀물과 썰물의 차가 커서 예로부터 갯벌에 살을 매어 고기를 잡았는데, 돌로 성을 쌓아 만든 살을 독살이라고 한다. 예로부터 서해안에서는 갯벌에 울타리를 쳐서 고기를 잡았다. 대개의 독살은 대나무를 이용하지만, 이곳은 돌을 사용하였다.

 

 

돌을 촘촘히 쌓아 v자 형태로 만든 살을 독살이라는 하는데, 썰물 때마다 멸치, 새우, 숭어, 전어, 학꽁치 등 다양한 어종을 잡을 수 있어 좋은 수입원이었다. 독산리라는 지명에서 보이 듯 웅천읍 독산리에는 많은 독살이 있었다고 한다. 현재는 대부분 무너져 사라지고, 두 곳만이 남아있다는 것이다.

 

옛 절터에 있던 것을 수습한 귀부와 이수

 

수부리의 귀부와 이수는 영수암(예전의 단원사) 경내에 서 있는 비로, 근처의 절터에 있던 것을 수습하여 이곳으로 옮겨 놓은 것이라고 한다. 거북 모양의 받침돌 위에는 비몸을 잃어버린 채 머릿돌만이 놓여 있었다. 영수암 경내로 들어가 귀부와 이수만 남은 것을 찾았으나, 보이지 않는다. 지금은 비몸을 만들어 끼워놓았기 때문이다.

 

 

거북받침인 귀부는 머리가 용 모양이며, 귀와 뿔을 새기고 턱 밑의 수염은 목에까지 조각하였다. 이런 형태의 귀부는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 초의 귀부에서 많이 나타나는 형태이다. 등에는 벌집모양의 육각형을 새겼고, 중앙에 마련된 비몸을 꽂아두던 홈 주변에는 연꽃을 둘러 장식하였다.

 

주인 없는 귀부와 이수

 

머릿돌은 용과 구름무늬로 가득 차 있으며, 앞면 중앙에는 액자모양의 공간을 두어 다시 자 모양으로 나누어 놓았는데 글씨는 적혀 있지 않다. 이렇게 화려하고 세련된 조각 양식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귀부와 이수가 누구의 것인지는 전혀 알 길이 없다. 대개 머릿돌인 이수의 중앙에 명문을 적어놓지만, 이 이수에는 명문조차 없기 때문이다.

 

 

지금은 비신을 원 규격을 측정하여 몸돌을 만들어 놓았다. 사라진 몸돌인 비와 명문이 적혀있지 않은 머릿돌인 이수. 누구의 것인지 알 수가 없는 문화재. 이런 문화재를 볼 때마다 마음이 아프다. 그 옆에는 팔각원당형 부도편이 있으나, 이 부도 역시 누구의 것인지 알 수가 없다.

 

웅천읍 독산리 독살을 만나러 가다가 만난 귀부와 이수. 결국 예정에 없던 이 문화재를 하나를 만나서인가, 정작 보고 싶던 독살은 물이 차는 바람에 볼 수가 없었다. 문화재라고 찾아가면 언제나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다음 답사 때는 물때를 미리 점검을 해야겠다.

 

국립부여박물관 경내에는 보물로 지정이 된 두 기의 비가 서 있다. 그 하나는 보물 제107호인 <보광사대보광선사비>이교, 또 한 기는 당나라 장수인 <당유인원기공비>이다. 이 두 기의 비는 층이 진 곳에 서 있으며, 두 기의 비 모두가 받침돌인 귀부와 머릿돌인 이수가 따로 있지 않다는 점이다.

 

원명국사의 유언에 의해 몸돌만 세우다.

 

부여군 임천면 가신리 보광사 터에 소재하고 있던 비를 옮겨 국립부여박물관 경내에 세워 놓은 보물 제107호인 <보광사대보광선사비>는, 고려시대에 보광사를 크게 부흥시킨 원명국사의 공적을 기록한 비이다. ‘보광사 중창비’라고도 부르는 이 비는 부여 성주산 보광사 터에 서 있던 것을, 1963년 박물관으로 옮겼다. 현재 비는 몸돌인 비만 남아있다.

 

이 비문의 앞면은 건립당시인 고려 공민왕 7년인 1358년에, 뒷면에는 조선 영조 26년인 1750년에 비문을 새겼다. 이 비에 적힌 비문에 의하면 원명국사는 19세에 등과하여 선원사에서 뜻을 펴오다가, 공민왕 원년인 1351년에 입적을 하였다고 한다.

 

 

고려 말기의 단조로운 비

 

원명국사는 죽으면서 제자들에게 비나 탑을 세우지 말 것을 당부하였는데, 이 비는 국사가 세상을 떠난 지 7년이 지난 후에야 세워졌다. 이 비는 고려시대 후기의 간략한 석비의 형태를 알아볼 수 있는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편마암으로 조성한 대보광선사비는 여기저기 금이 가 있다. 비의 가장자리에는 넝쿨문양을 띠 모양으로 둘러놓았다.

 

머릿돌인 이수가 없는 비는 몸돌만 남아있는데, 윗면은 양편을 비스듬히 깎아내었다. 비의 위편에는 고려시대 대보광선사비임을 적고 있으며, 앞면과 뒷면에 원명국사에 관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뒷면의 기록에는 임진왜란 때 비를 모셔놓은 전각이 모두 불타 없어지고, 기록을 적은 비도 알아볼 수 없으므로 주지인 석능일이 고쳐 새긴다고 되어있다.

 

 

당나라장수 유인원의 공적을 기록한 비

 

대보광선사비 아래쪽에는 전각 안에 또 하나의 보물로 지정된 비가 서 있다. 이 비는 보물 제21호인 유인원기공비이다. 당나라 장수인 유인원의 공적을 기록한 비로, 원래는 부여 부소산성 안에 세 있었던 것이다. 부소산에 세 조각으로 깨진 채 흩어져 있던 것을, 그 자리에 비각을 세워 복원해두었다가 해방 후 국립부여박물관으로 옮겨 놓았다.

 

비는 비 몸돌의 앞면이 조금 깨어져 나갔고, 머릿돌도 부분적으로 깨어져 있으며, 비문은 몸돌 앞·뒷면에 새겨져 있으나 심하게 닳아 있어서 알아보기가 힘들다. 비신높이 3.35m, 이수높이1.14m이며 해서체로 몸돌의 앞뒷면에 글자를 새겼으나, 뒷면은 마멸이 심하여 알아보기가 힘들다. 비의 몸돌과 머릿돌은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는데, 머리 부분은 각이 없이 둥글다.

 

당나라 전기의 조각수법을 보이는 유인원기공비

 

이 비는 유인원의 출생과 가문, 생애에 대해서 적고 있는데, 당태종에게 유인원이 발탁이 되어 645년 고구려를 공격할 때 뛰어난 공을 새웠으며, 660년에는 소정방과 함께 백제를 멸망시킨 후 유민들의 백제부흥운동을 평정하였다는 내용들이 적혀있다. 이 비가 세워진 시기는 통일신라시대인 문무왕 3년인 663년으로 밝혀졌다.

 

 

이 비는 당나라 장수 유인원의 공적을 기록한 아픔을 안고 있는 비이다. 그러나 그 비문 중에는 백제의 의자왕과 태자 및 신하 700여명이 당으로 압송된 사실과, 부흥운동에 고나한 내용, 그리고 폐허가 된 당시 부여 도성의 모습들을 기록하고 있다는 것에 소중한 문화적인 사료로 평가를 받고 있다.

 

몸돌과 머릿돌을 하나의 돌로 꾸미고, 여섯 마리의 용이 세 마리씩 양편에서 올라오면서 여의주를 다투고 있는 유인원기공비. 그러나 이런 해설이 없었다고 하면 머릿돌 부분에 조각이 되어있는 것이 용이란 사실조차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마모가 되었다. 이 두 점의 비에 얽힌 부분적인 사연에 마음이 아프다. 전쟁 통에 지워진 기록과 외침에 의해 망가져버린 국토를 보아야 한다는 사실이다.

 

이런 역사의 아픔도 서러운데, 거기다가 수많은 문화재들이 개발이라는 허울을 쓰거나, 종교적인 이질감 등으로 훼손이 되고 있다는 사실에 이래저래 마음만 미어진다.

귀부란 비석받침을 말한다. 비를 세울 때는 밑에 비석받침은 거북이의 몸체를 이용한다. 신라시대의 귀부는 거의가 거북의 현상을 그대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통일신라에서 고려를 거치면서 귀부는 상당한 변화를 가져온다. 몸체는 거북이의 몸체에, 얼굴은 용의 얼굴을 하고 있는 형태로 바뀐 것이다.

 

비란 어떤 인물의 사적을 기록하거나, 벌어진 일을 적는 것이 보편적이다. 하기에 비석받침인 귀부는 딴 석조물에 비해 상당히 무겁게 조형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귀부는 비석의 받침으로 이용을 하고, 그 위에 비를 세우게 되며, 머릿돌인 이수에는 용을 조각하는 것이 보편적인 비의 형태이다. 그러나 예전 비의 모습을 보면 이런 통상적인 비 받침의 형태를 벗어나는 것들도 있다.

 

 

머리가 비뚤어진 귀부, 무슨 이유인가?

 

부여군 부여읍에 자리하고 있는 부여국립박물관 경내에는 많은 석조물들이 전시가 되어있다. 탑과 석조불상 등, 그리고 각종 석물로 된 옛 자료들을 진열해 놓았다. 그런데 그 중에 귀부가 보이는데, 우리가 흔히 보아오던 비석받침과는 동떨어진 모습들이 보인다. 한 마디로 해학적이기까지 하다.

 

서천군 군사리에서 발견이 된, 고려시대인 11~13세기 조성된 귀부가 있다. 거북의 등껍질인 육각형의 형태로 조성이 되었다. 그리고 등에는 육각형 문양 외에 나뭇잎과 같은 무늬가 둘러쌓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보물인 구례 연곡사 동부도에는 날개와 같은 조각이 보이기도 하지만, 이 서천 군사리의 귀부 등에는 나뭇잎과 같은 조각이 보인다.

 

 

얼굴의 형태는 고려시대의 귀부에서 흔히 보이는 험상궂은 용의 안면이 아니다. 그렇다고 거북이의 안면도 닮지 않았다. 얼핏 보면 장승의 해학적인 모습과도 같은 모습이다. 거기다가 얼굴이 똑바로 놓이지도 않았다. 약간은 삐뚤어진 형태가 해학적이다. 발은 거북이의 발이라기보다는 구부러진 것이 용의 발을 닮았다.

 

누워버린 귀부의 얼굴

 

박물관 한편에는 많은 석조물을 모아놓은 곳이 있다. 이곳에 잇는 귀부는 조악하기가 이를 데 없다. 몸체는 네모나게 조형이 되었으며, 등에 흔히 표현을 하는 육각형의 귀갑문도 보이지 않는다. 그저 몸체를 네모나게 조각을 했는데, 목은 한편이 땅에 닿도록 비틀어져 있다. 얼굴은 거북도 용도 아닌 해괴한 모습이다.

 

 

이런 비석받침과는 대조적인 비석받침도 있다. 조각이 난 채로 전시가 되어있는 사실적인 비 받침은, 보령시 성주면 성주사 터에서 발견이 된 비석받침으로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것이다. 이 비석받침은 머리와 몸의 일부가 없어졌으나, 다리와 등 보양이 사실적이면서도 힘이 있게 조성이 되었다.

 

이런 귀부의 형태에서 알 수 있는 것은 통일신라시대의 석조각의 형태와, 고려시대 지방 장인에 의해 조형된 형태의 차이를 알 수 있다는 점이다. 그저 재미로 보고 웃고 넘어갈 수 있는 귀부이긴 하지만, 그 안에 우리들의 마음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렇게 대단할 수 없는 사람들의 비석받침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다.

 

 

혹 대단하지 못한 세상을 산 것에 대한, 스스로의 자탄 때문에 이런 조각을 한 것은 아니었을까? 아니면 당시 지금의 세대가 모든 것이 제자리를 찾지 못해, 제대로 보려고 그렇게 누웠을까? 빗뚫어지고 고개를 돌려버린 비석받침. 그런 비석받침을 보면서 스스로를 반성하는 기회를 삼는다.

‘탑비(塔碑)’란 옛 고승들이 입적을 한 후 그들을 기념하는 탑을 세우고, 그 옆에 승적기를 새긴 비를 세우는 것을 말한다. 보물 제106호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 탑비’는 광종의 명에 의헤 보승탑을 세우고 난 뒤, 그 옆에 세워진 법인국사에 대한 기록을 적은 비이다.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보원사지 안에 소재한다.

 

보원사는 ‘고란사’라고도 하며, 이 절에 관한 역사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주변에 담아있는 유물들을 볼 때 옛 보원사는 규모가 큰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아직도 보원사 터에는 보물 5점과 함께 많은 석재들이 있으며, 주변에는 국보인 용현리마애삼존상 등이 남아있어, 당시의 규모를 짐작하게 한다.

 

귀신과 관계하는 꿈을 꾸고 난 탄문

 

법인국사 탄문의 탄생일화는 신비하다. 국사의 어머니가 꿈속에서 귀신과 관계를 맺는데, 한 중이 홀연히 나타나 금빛 가사를 주고 갔단다. 이 날 탄문의 어머니는 임신을 하였고, 경기도 광주에서 태어났다. 법인국사의 자는 대오이며, 성은 고씨이다.

 

 

 

 

 

탄문은 15세에 출가할 뜻을 비쳐, 북한산 장의사 신엄에게서 화엄경을 배우고, 15세에 구족계를 받았다. 925년 태조의 왕후 유씨가 임신을 하자 안산을 기원하니, 태어난 이가 바로 광종이다. 949년 광종이 즉위하자 대궐에서 법회를 베푼 후에 새로 낙성을 한 귀법사의 주지와 왕사가 되었다.

 

광종 25년인 974년에 법인이 은퇴를 청하자 광종은 국사로 임명을 하였다. 그가 서산 보원사로 길을 떠나자, 광종은 친히 왕후와 태자, 백관 등을 대동하고 개경 교외까지 그를 배웅하였다고 한다. 보원사로 온 법인국사(法印國師)는 국사가 된 이듬해에 기부좌한 자세로 입적하였으며, 세수는 75세, 법랍은 61세였다.

 

 

형식에 치우친 듯한 귀부와 이수

 

법인국사의 탑비는 경종 3년인 978년에 세웠다. 대개 거북이의 몸과 용머리를 가진 비의 귀부는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를 거치면서 상당히 화려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의 탑비받침인 귀부 역시 거북모양이나, 머리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용의 목은 앞으로 빼고 콧수염은 뒤로 돌아 있으며, 눈은 크게 튀어 나와 있다. 등 위에는 3단 받침을 하고 비를 얹었으며, 비 머리인 이수는 네 귀퉁이에서 안쪽을 바라보는 용을 새기고, 앞·뒷면에는 구름무늬를 조각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귀부의 등에 새겨 넣는 문양이 없이 밋밋하게 구성을 하였다.

 

또한 비 머리인 이수의 용 조각도 형식에 치우친 감이 있다. 형태는 거대하고 웅장하나 조각기법이 단순하다. 거북의 앞발도 일반적으로 땅을 박차고 나가는 힘이 있는 표현이 아니라 형식적인 표현을 하였다. 하지만 이 법인국사 탑비는 원형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으며, 거의 훼손이 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서산 보원사 터에 소재하고 있는 보물 제105호인 법인국사 보승탑과 법인국사 탑비. 아마도 이 탑비는 법인국사의 보승탑을 세우고 난 뒤, 그 옆에 세운 것으로 보인다. 978년에 이 탑비를 세우고 ‘법인’이라는 시호와 ‘보승’이라는 사리탑의 이름을 내렸기 때문이다.

문화재 답사를 다니다가 보면, 그 문화재에서 기운을 얻고는 한다. 언젠가 문화재 답사를 하다가 만난 노스님 한 분이 이런 말씀을 하셨다. ‘자네는 그렇게 천년이 지난 것들을 보고 다니니, 그것에서 나오는 기운을 많이 받을 것이네’라는 말씀이셨다. 아마도 그런 기운이 답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517-2에는 강원도 문화재 자료 제45호인 흥법사 터가 있다. 이 흥법사 터에는 보물 제463호인 진공대사 탑비 귀부 및 이수와 제464호인 흥법사지 삼층석탑이 자리하고 있다. 이 중 진공대사 탑비는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활약한, 진공대사(869∼940)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이다. 비문이 새겨진 탑비의 몸돌은 깨어진 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놓아, 이곳에는 비의 받침돌인 귀부와 머릿돌인 이수만 남아 있다.

 

 

뛰어난 조각기술이 돋보이는 받침돌인 귀부

 

진공대사는 장순선사 밑에서 승려가 되었으며, 당나라에서 수도하고 공양왕 때 귀국하여 왕사가 되었다. 신라가 망하고 고려의 건국 후에는, 고려 태조 왕건이 그의 설법에 감응하여 스승으로 머물기를 원하였다. 그러나 진공대사는 이를 사양하고 소백산으로 들어가 수도하였다. 고려 태조 23년에 입적하니 태조가 손수 비문을 짓고, 최광윤이 당나라 태종의 글씨를 모아 비를 세웠다.

 

탑의 몸돌이 없어져 받침인 귀부 위에 머릿돌인 이수를 올려놓은 형태로 있는 진공대사 탑비 귀부 및 이수. 거북의 몸에 용머리를 한 고려 초기의 특이한 형태를 보이는 이 귀부는 용머리의 입에는 여의주를 물고 있다. 귀의 옆에는 물고기의 아가미가 벌어진 것처럼 펼쳐져 있으며, 귀는 위로 솟아 있다. 용의 머리 위에는 네모난 구멍이 나 있는데, 이 구멍은 용 뿔을 조각해서 끼웠던 것으로 보인다.

 

 

 

 

앞 뒤 네발로 바닥을 힘차게 딛고 있는 형태로 조각이 된 발은, 동적인 힘을 느낄 수가 있다. 목은 짧은 편이며 거북의 등껍질 무늬는 정육각형으로, 만(卍)자 무늬와 연꽃을 새겨 넣었다.

 

머릿돌의 조각솜씨 보고 절로 탄성이

 

비의 몸돌이 없어져 귀부 위에 이수만 얹혀 있는 진공대사 탑비의 머릿돌. 앞면 중앙에는 <진공대사>라는 비의 명칭이 새겨져 있고, 그 주위에는 구름 속을 요동치는 용을 조각하였다. 머릿돌에는 모두 여섯 마리의 용이 새겨져 있다. 중앙으로 용 두 마리가 서로 무섭게 노려보고 있고, 양편에 밖을 주시하고 있는 각각 한 마리씩의 용이 있다. 뒤편으로도 양편에 한 마리씩의 용이 있어, 전체적으로 네 마리의 용이 사방을 주시하고 있는 형태이다.

 

 

 

이 이수의 형태는 웅장한 기운이 넘치면서도 섬세하게 조각되어, 당시의 높은 예술수준이 엿보인다. 돌로 만든 조각품이면서도 생동감이 넘치는 진공대사 탑비의 받침돌과 머릿돌.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는 비의 몸돌은, 여러 개의 조각으로 깨져있어 부분적으로 비문을 알아보기가 힘든 상태라고 한다. 그러나 그 비문에는 진공대사의 생애와 업적 등이 기록되어 있다고 한다.

 

흥법사지 정비 아쉬워

 

원주 지정면에서 다리를 건너 양평군 양동 방향으로 가다가 보면, 좌측으로 문막으로 빠지는 새로 난 길이 있다. 이 길로 접어들어 조금 가다가 우측으로 난 소로 길로 따라 들어가면 흥법사지가 있다. 현재 흥법사지에는 보물인 삼층석탑과 진공대사 탑비 귀두와 이수만이 덩그러니 놓여있다. 주변을 살펴보면 여기저기 주춧돌이었을 석물들도 보인다.

 

 

 

 

탑 옆에는 누군가 밭을 일구었고, 막 쌓은 축대 주변에도 모두 밭을 개간했다. 조성된 석물로 보아 한 때는 많은 사람들이 찾았을 흥법사지. 그러나 이렇게 오랜 세월 방치가 되어있다는 것이 마음 아프다. 두 기의 뛰어난 보물이 서 있으면서도 아직 제대로 정비조차 되어 있지 않다. 진입로나 주변이 속히 정비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들어 우리 문화재의 우수함을 느낄 수 있도록.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