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아산시 신창면 읍내리 84에 소재한 대한불교 조계종 인취사. 인취사 극락전에는 조선시대의 아미타삼존불상이 모셔져 있다.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95호 아산 인취사 석조 아미타삼존불상은 중앙의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좌에는 관음보살이 우에는 지장보살이 자리하고 있는 삼존불이다.

 

중앙의 아미타불좌상은 선정인으로서 결가부좌하였으며, 육계가 크고 나발이 선명하고 오른팔에 편삼을 걸친 변형 통견식 법의로서, 아미타불의 전형적인 수인과는 다르게 표현되어 있다. 좌측의 관음보살상은 본존과 같은 착의법을 하였으며, 보관정면에 아미타불좌상의 화불을 조각하여 관세음보살임을 분명하게 표현하였다.

 

 

우측의 지장보살상은 고려후기에 유행했던 피건을 두른 모습으로서 무릎위에 올린 두 손에 보주를 잡고 있는 형태이다. 삼존불 모두 둥글고 작은 얼굴로서 형태가 비슷한 데 눈, , 입이 작으면서도 부드러운 느낌의 모습으로 지방적인 요소가 강한 표정을 보이고 있으며, 양식적 특징으로 보아 조선전기에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법흥왕 때에 창건했다는 인취사

 

인취사는 신라 법흥왕 때에 창건했다고 전하고 있으나 자세한 연대는 알 수가 없다. 눈이 쌓여 있는 날 찾아갔던 인취사. 그리 크지 않은 인취사 경내는 온통 흰 눈이 여기저기 쌓여있었다. 겨울에 사찰답사를 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더욱 절을 올라갈 때 한참을 걸어야한다면 바람과 미끄러운 길로 인해 애를 먹기도 한다.

 

인취사 경내에 들어서면 앞으로 탁 트인 전망에 마음까지 시원해진다. 극락전에 들려 참배를 한다. 고려 말부터 몽고와 왜구의 침입으로 고통을 겪은 민초들은 이승에서의 어려움을 해결해 준다는 관세음보살과 저승의 지옥에서 건져준다는 지장보살을 좌우협시불로 하는 아미타삼존불상을 조성하기 시작했다.

 

 

조선 초기 삼존불의 형태를 알 수 있어

 

이 인취사 석조아미타삼존불상은 조선시대 아미타삼존불의 시원적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한다. 금으로 채색을 하여 석조불의 느낌은 제대로 느낄 수 없지만, 그래도 조선 초기의 아미타삼존불상을 만났다는 것만으로도 마음 한편이 뿌듯하다. 오랜 시간 전국을 돌면서 수없이 만난 석불이지만, 볼 때마다 그 느낌은 전혀 다르다.

 

인취사는 절에 내력에 대해서 전하는 바가 없어 일설에는 고려 때 창건한 절로도 알려져 있다. 수많은 절들이 임진왜란 등 전화로 소실이 되면서 기록이나 문화재들이 소실이 되었다. 거기다가 수탈까지 해간 것들이 상당히 많은 양이기 때문에, 우리가 갖고 있는 문화재는 양으로는 많다고 하지만 질로는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고까지 한다.

 

 

문화재란 단순히 가치로 따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문화재는 그 시대의 사람들의 생활과 습속, 그리고 환경까지도 알아볼 수가 있기 때문이다. 전화로 인해 수많은 문화재들이 훼파를 당한 것도 마음이 아픈데, 거기다가 종교적 이념이 다르다는 이유로 지금까지도 문화재 훼손을 하는 것을 보면 우리는 문화국민이 절대로 될 수 없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눈길을 걸어 올라간 아산 인취사. 절 경내는 눈이 치워졌지만, 산으로 오르는 길에는 하얀 눈이 쌓여있었다. 그저 한가롭게 널찍한 경내를 돌아보면서 극락전에서 만난 강한 인상의 삼존불이 자꾸만 생각이 난다. 그만이라도 만날 수 있었다는 안도감이 들면서.

 

충북 괴산군 청안면 읍내리 청안면사무소 옆에 자리한 충북 유형문화재 제93호 청안동헌. 처음으로 청안동헌이 세워진 것은 조선조 태종 5년인 1405년이라고 한다. 청안현의 관아로 세워진 청안동한은 일반적인 동헌의 형태와는 다르다. 세월이 지나면서 여기저기 손을 보고 변형이 된 청안동헌은 여러 가지 구조기법으로 등으로 미루어 볼 때, 19세기 후반의 건물로 추측된다.

 

한편에 방을 드린 구조

 


청안동헌은 현재 청안면사무소 곁에 있어 찾기기 쉽다. 높은 네모꼴 주초를 사용하고 그 위에 둥근기둥을 세웠다. 목재는 소로로 수장한 굴도리를 썼으나, 부연을 달지 않고 보머리에 초가지 장식이 없는 검소한 형태로 꾸며졌다. 이런 모습은 관아건물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양식이지만, 현존하는 유적이 드물어 조선시대 관아건축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앞에서 청안동헌을 바라보면 좌측에 세 칸의 마루를 놓고, 우측에는 두 칸의 방과 반 칸의 다락이 있는 아궁이를 두었다. '안민헌(安民軒)'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청안동헌은  1913년부터 3년간 중수하여 일경(日警)의 청안주재소로 사용하기도 했다. 광복 후에는 청안지서장 사택으로 사용하면서, 건물구조가 많이 변형되었던 것을 1981년 복원 수리하였다.

 

현재 청안동헌은 동헌 한 동만 남아있어 과거의 모습을 찾아보기는 힘들다. 원래 관아에는 고을 원이 공무를 보는 동헌, 정당과 익실을 갖춘 객사, 수령이 기거하는 내아와 동헌의 입구인 아문 등이 있어야 하지만, 동헌을 제외한 다른 건물은 모두 남아있지 않다.

 

세칸으로 마루를 깐 대청은 뒤편에는 판자문을 내었다
 

대청의 외벽은 창호로 꾸몄다.

 

방을 네 개로 쪼갠 청안동헌

 

청안동헌의 특징은 우측으로 보이는 방이다. 대청마루에서 방문을 보면 교살불발기 창호로 꾸몄다. 우측의 문을 열면 다시 그 안으로 창호가 있고, 앞으로는 길게 마루를 놓았다. 밖의 창호에서 방을 가로질러 마루를 놓은 것이다. 방문은 밖과 안 모두 세살문으로 꾸몄다. 방은 밖에서 보면 큰 방 하나인 것처럼 보이지만, 안으로 들어가면 방을 네 등분하여 모두 4개의 작은 방이 있다.

 

대청의 뒤편에는 판자문으로 막았고, 측면은 세살문으로 처리해 들어 올릴 수가 있도록 하였다. 전체적으로 보면 전혀 꾸밈이 없이 검소하다. 아마 당시 이 건물을 지을 때 민가의 모범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우측 외벽은 별다른 구조물이 없이 아래 위, 좌우 모두 삼등분을 하여 나무를 가로질렀다.

 

대청에서 방으로 들어가는 문은 교살불발기 창호로 꾸며 운치가 있다.
 

방앞에는 툇마루를 놓고, 그 앞에 외문 창호를 달았다.
 

큰 방을 네개로 나누어 작은 방을 만들었다. 여러 용도로 사용하면서 나뉜 것으로 보인다.

 

방을 드린 우측 끝으로는 위로는 다락을 낸 반 칸 정도의 아궁이가 있다. 양편으로 아궁이를 내어 놓은 이 방은 네 개의 방을 덥히는 역할을 했을 것이다. 마루 밑은 바람이 통할 수 있도록 해 놓았으나, 현재는 전체를 돌로 막아놓았다.  

 

세심한 관리가 필요해

 

일반적으로 어디를 가나 동헌은 그냥 덩그러니 건물만 남아있다. 청안동헌도 예외는 아니다. 토요일에 답사를 간 청안동헌은 청안면의 직원 한분이 여러 가지 설명을 곁들이는 바람에 편하게 답사를 할 수가 있었다. 담을 사이로 있는 청안치안센터 건물 옆에는 커다란 고목이 한 그루 서 있어, 청안동헌의 역사를 말해주고 있다.

 

 

방 옆에는 반칸 정도의 한데 아궁이를 놓고, 외벽으로 처리를 하였다.

불이 타 위를 잘랐다는 나무. 청안동헌의 역사를 말해주고 있다.

 

고목은 밑동만 남아있고 잘려진 가지에 새 가지가 돋아나 있다. 안내를 하신 분의 이야기로는 이 나무가 불에 타 위를 잘랐다는 것이다. 그 옆에 있는 수령 300년의 회화나무도 오래 묵은 역사의 나무란다. 주말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찾아온다는 청안동헌. 문을 바른 창호지는 찢고간다는 사람들. 도대체가 이해가 가질 않는다. 곁에 면사무소인데도 훼손을 하는 사람들을 일일이 막아내기란 버겁다는 것이다. 언제나 사람들의 의식이 바뀌려는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