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은 무슨 용도로 사용이 되었을까? 단지 건물과 대지의 경계선이나 설치물의 주위에 두른 구조물일까? 담은 순수한 우리말이다. 한자로는 원(垣)·장(墻)·원장(垣墻)·장원(墻垣)·장옥(墻屋), 등으로 사용하며, 우리말과 한자가 합쳐진 말로는 담장 등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린다.

그 담 중에서 간단하게 구조물을 설치한 것이나, 안이 들여다보이게 만든 것을 울·울타리·바자울[笆子籬]·울짱·책(柵)·장리(牆籬)라 한다. 우리 소리에 보면 ‘울도 담도 없는 곳에...’ 라는 노래가사가 있다. 이렇게 울과 담은 그 형태에서 구분이 지어진다. 아마도 양반가의 높은 벽은 ‘담’으로, 민초들의 낮은 울타리는 ‘울’ 생각하면 맞는 뜻일 것이다.


담은 그 종류가 다양하다, 생나무를 심는 생울이 있는가 하면, 싸리나무 등을 엮어 막아놓은 울타리가 있다. 진흙에 짚을 썰어 넣어 이겨서 만든 흙담도 있고, 널판지로 경계를 두른 판장과 판담이 있기도 하다. 그 외에도 돌담, 영롱담, 꽃담, 와담 등 담은 그 재료를 무엇으로 사용했는가에 따라 구분하고 있음을 본다.

담장의 용도, 과연 경계로 구분하고 있는 것일까?

사람들은 담을 경계를 구분하거나 사람들이 사는 곳을 보호하기 위한 설치물로 구분 짓고 있다. 그러나 정말로 이 담이 경계를 막고 설치물을 보호하기 위함일까? 물론 그 말이 맞다고 생각을 할 것이다. 하지만 담과 울은 엄연히 다르다. 담은 경계를 가르고 안을 보호하지만, 울은 굳이 경계를 가르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담은 경계를 나누고 보호를 위한 것이지만, 울은 하나의 결성을 위한 보호적인 차원의 상징이라고 생각한다. 먹을 것을 담장 너머로 전해주는 모습을 볼 수가 있다. 그것이 차단이라면 이해가 안된다. 우리의 울은 바로 나눔이요, 소통이다.

민초들의 울과 가진 자들의 담은 극과 극이다

우리 민가의 담을 보면 막힘이 아니다. 문이라고 해보아야 싸리를 엮어 만든 문이다. 그리고 담장이라고 해보아야 어른 키의 목 밑이다. 누구나 안을 들여다 볼 수가 있다. 옆집과의 경계도 마찬가지다. 보호를 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서로 상통을 하기 위한 수단이다. 담장을 사이에 두고 사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민가의 담장이다. 사대부가의 높은 벽과는 그 차원이 다르다. 그렇다면 왜 우리 민가의 담은 이렇게 낮은 것일까? 그래야만 할 이유가 있었을까?



그것은 바로 소통이다. 사대부가들이 숨길 것이 많다면 민초들은 숨길 것이 없다. 어느 집이나 터놓고 돌아다녀도 잊어버릴만한 것도 별로 없다. 그러다보니 담을 높게 두를 이유도 없고, 안이 안 보이게 문을 만들어야 할 이유도 없다. 그저 허전함만 가리면 그것으로 족하다. 숨기고 감추고 속이는 그러한 담장이 아니라, 소통하고 열고 보여주는 그런 것이 바로 민초들의 울이다.

역사는 늘 담으로 사람들을 구분했다

민가의 담을 보면 끝이 없다. 그저 이집에서 저 집으로, 또 그 다음 집으로 울이 연결이 된다. 낮은 처마 밑으로 두른 담장은 그보다 많이 낮게 만든다. 나를 보여주겠다는 것이다. 나를 숨길 것도 없고 은밀히 숨어서 할 일도 없다. 그런데 이런 담장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다를 바가 없다. 즉 담은 어느 시대에서나 소통과 단절로 대두된다.



소통은 민초들이요, 단절은 가진 자들이다. 가진 자들은 보여주기를 꺼린다. 그리고 늘 은밀히 안에 틀어박혀 궁리를 한다. 대개는 그 안에서 서로 목소리를 죽여 몹쓸 짓을 연구한다. 그리고 더 많은 몹쓸 짓을 생각해 낸다.

민초들의 담장은 스스로 낮춘다. 스스로가 부끄러움이 없다는 생각이다. 그저 있는 대로 행하고 먹고 살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진 자들은 항상 숨기려고만 든다. 그러한 검은 사고들이 담장을 높게 만들었다. 그리고 스스로 그것이 위엄이라고 생각들을 했기 때문이다. 소통과 보여줌, 숨김과 차단. 이것은 긴 세월 속에서 변하지 않고 전해진 우리 ‘담’과 ‘울’의 철학이다.


(주) 이 글은 '오마이 뉴스'에 송고가 되었던 것을 다시 정리하였습니다

탱자나무의 수령이 550년이라면 ‘엄청 나네.’라고 말할까? 아니면 ‘꽤 오래 되었네’라고 말을 할까? 그러나 탱자나무가 550년이라는 세월을 살았다고 하면, 그것은 대단하다고 해야 할 것이다. 천연기념물 제78호인 강화 갑곶리 탱자나무가 수령이 400년, 제79호인 화도면 사기리의 탱자나무가 400년인 점을 보면, 천안향교 앞의 탱자나무는 그 수령상으로는 으뜸 일 것 같다.

우리나라에서는 탱자나무가 주로 영, 호남지방에 많이 분포하며 자란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탱자나무는 중국에서 전래된 것으로 추측하고 있으며, 열매와 껍질은 약재로 사용된다. 탱자나무의 줄기에는 무수한 가시가 돋아 있어, 과수원의 울타리용 등으로 적합하다.


탱자나무 하나로 글을...

누군가 나에게 이런 말을 한다. ‘딴 분들은 여러 가지를 엮어 한 개의 글을 올리는데, 왜 꼭 하나만을 갖고 글을 쓰느냐’는 것이다. 그런 말을 들으면서 웃고 말았다. 내 딴에는 꼼수일 수도 있다. 물론 주변에 많은 것을 엮어 글을 쓰면, 나도 편해서 좋기는 하다. 그만큼 글을 쓸 소재가 다양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꼭 그렇게 볼 것은 아니란 생각이, 하나만 갖고도 소개를 하자면 너무 많기 때문이다. 정작 한 가지 소재로 글을 쓰는 이유는, 현장을 다녀야 하는 나로서는 묶어서 글을 쓴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답사를 나가 1박 2일이나 2박 3일을 돌아다니면서 들고 온 자료가, 며칠 만에 밑천이 떨어진다면 어떻게 그 다음을 버틸 수 있을까 하는 점에서다.


보호수로 지정딘 탱자나무. 밑동을 보니 이 나무의 수령이 보인다.

550년 한결같은 탱자나무

수령이 550년이라는 적지 않은 세월을 살아 온 나무는, 천안시 유량동 190에 소재한 충남 기념물 제110호인 천안향교 입구 우측에 자리하고 있다. 일반적인 탱자나무들은 그 높이가 3m 정도인데 비해, 이 나무는 높이가 7.5m에 둘레가 1.3m나 되는 거목이다. 현재 충남 도지정 제110호 보호수로 지정이 되어있다.

향교를 찾아갔다가 문이 닫혀있어, 담 밖을 맴돌다가 우연히 만난 탱자나무다. 이럴 때 ‘수지맞았다’라고 하는 것인지. 나무의 밑동을 보니 나무가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저기 쇠기둥을 받쳐 놓은 것은 그만큼 가지가 넓게 퍼졌기 때문이다. 550년이란 세월을 살았으면서도 열매를 많이 달고 있다. 간수를 잘했는지 잎과 열매가 튼실해 보인다.



굵은 가지에는 세월의 흔적이 보이고, 잔가지들은 춤을 추는 듯하다. 세월의 춤을...

제멋대로 퍼져나간 줄기는 오랜 연륜을 말하는 듯, 여기저기 굵은 홈이 파여져 있다. 구불거리면서 자란 줄기가 마치 춤을 추는 것만 같다. 그 오랜 세월을 한 자리에 뿌리를 내리고 살았으니, 나무 스스로가 주변 환경과 어우러져 살아가는 법을 익히지나 않았을까? 그 앞에 서보니 한낱 인간이라고 떠들어 댄 것이 부끄럽기만 하다.

탱자나무에게서 배우는 세상을 사는 지혜는 무엇일까? 아마 변함없이 하던 일을 계속하라는 것은 아니었을까? 수도 없이 여기저기 기웃거리고 사는 인간들을 비웃는 듯한 모습이다. 그리고 구불거리는 가지들이 마구 웃는 것만 같다. ‘자연을 섬기지 못하는 인간들이 가소롭다’는 그런 웃음을. 오늘 이 탱자나무 한 그루가 세상 살아가는 방법을 알려준다. 언제나 그 자리에서 거친 풍파를 다 이겨내는 것만이 온전한 삶이라는 사실을.



오랜 세월을 지냈으면서도 아직도 많은 열매를 달고 있다. 자연은 그렇게 스스로를 지켜나간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