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종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남양주 봉선사의 말사이며, 운길산 8부 능선에 자리하고 있는 조선 초기에 중창한 사찰이다. 소재지는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북한강로 433번길에 있다.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수되는 두물머리(양수리)를 내려다보고 있는 수종사는, 그 경계가 빼어난 사찰로 명성을 얻고 있다.

 

수종사라는 절 이름은 1458년 세조가 신병치료차 금강산을 유람하고 돌아올 때, 밤이 되어 이수두(二水頭=두물머리)에서 하룻밤을 묵게 되었다. 밤이 늦었는데 운길산 어디선가 은은한 종소리가 들려와 다음 날 숲 속을 둘러보게 하니, 천년고찰의 폐허 바위굴에는 18 나한상이 줄지어 앉아 있었는데 그 바위굴에서 물방울이 떨어지는 소리가 종소리처럼 들렸던 것을 알게 되었다.

 

이에 세조는 감동하여 왕명으로 지금의 자리에 절을 중창케 하고 절 이름을 수종사라 부르도록 하였다고 전한다. 조선 시대의 명문장가인 서거정은 수종사에서 두물머리를 내려다보고, 동방의 사찰 중 제일이라 했을 정도이다. 수종사 절 마당에서 내려다보는 북한강의 경관이 그 정도로 빼어나다.

 

 

8각으로 조성한 조선시대의 부도

 

수종사 경내에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7호인 남양주수종사부도(南楊州水鍾寺浮屠)’가 자리한다.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두는 탑이다. 수종사의 부도는 전체적으로 8각을 기본으로 하여, 2단을 이루는 기단 위에 탑신을 올리고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수종사를 다녀온 지도 벌써 한 달이 훌쩍 자났다. 하지만 문화재 답사라는 것이 다녀온 후 한꺼번에 모든 것을 다 기록할 수가 없으니, 이제라도 정리를 하는 수밖에. 수종사 부도의 기단부는 긴략하게 2개의 돌로 마련하였다. 일반적으로 부도의 경우 상, , 3단으로 구성되는데 비해 특이한 형태이다.

 

 

몸돌에 새긴 구름과 용, 장엄해

 

부도의 탑신인 몸돌은 둥근 형태가 변하여 거의 사각형에 가깝고, 용의 모습을 매우 도드라지게 새겨 넣었다. 구름과 함께 새긴 용은 섬세하지는 않으나, 그래도 장중함을 더하고 있다. 지붕돌은 두꺼운 편이고, 처마는 느린 U자형을 이룬다. 꼭대기에는 노반(머리장식받침) 위로 보주(구슬모양 장식)와 보륜(수레바퀴모양 장식) 등이 남아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

 

지붕돌 낙수면에 남아 있는 기록에는 <태종태후정의옹주사리탑시주○○유씨금성대군정통사년기미십월일입>고 적고 있다. 이 기록으로 보아 조선 세종 21년인 1439년에, 왕실의 뜻을 모아 이 부도를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부도 안에서 고려시대 청자로 만든 항아리와 은으로 만들어 금을 입힌 6각의 단지(보물 제259)를 발견하여,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태종의 다섯째 딸인 정의옹주의 부도로 알려진 수종사 부도. 두 마리의 용이 구름 위에서 여의주를 움켜잡고 비상하려는 용트림이 새겨져 있는 이 부도는, 화려하지는 않지만 운룡문 만으로도 장엄함을 엿볼 수가 있다. 원통형으로 조성한 탑신의 둘레가 218cm인 수종사 부도. 575년 세월을 그렇게 수종사에서 두물머리를 바라다보고 자리하고 있다.

 

찻집인 삼정헌 옆으로 다가가 두물머리를 내려다본다. 과거에는 수많은 배들이 드나들었을 두물머리. 지금은 그저 무심한 바람 한 점이 볼을 스치고 지나간다. 다산 정약용은 15세에 수종사에 노닐다라는 글을 지었다. 이곳이 다산의 놀이터였기 때문이다.

 

다래덩굴 드리운 비탈진 섬들이나

경내로 드는 길은 과연 어느 곳인고?

응달 숲 속에 아직 묻은 눈이 남아있고

양지바른 물가엔 아침햇살에 이슬이 반짝인다.

샘물이 솟아 땅은 표주박처럼 움푹하고

종소리는 메아리쳐 깊은 산속으로 흘러가네.

내 여기를 수없이 노닐었지만

그 그윽함을 아직 다 모르겠구나.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북한강로 운길산에 소재한 수종사.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로, 조선 세조 5년인 1459년에 창건되었다고 전해온다. 이 수종사 경내에는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이 자리하고 있다. 이 오층석탑은 보물 제1808호로 올해 94일에 지정이 되었다.

 

수종사 팔각오층석탑은 운길산 중턱에 위치한 수종사에 전해오는 조선시대의 석탑이다. 이 석탑은 원래 사찰 동편의 능선 위에 세워져 있었다고 전한다. 원래의 위치에서는 남한강과 북한강이 합수되는 양수리 지역이 훤히 내려다보여, 경관이 우수한 입지를 가지고 있었다. 현재 이 오층석탑은 석조부도, 소형석탑과 함께 대웅전 옆으로 옮겨져 있다.

 

운길산을 오르다

 

수종사 오층석탑이 보물로 지정이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수종사로 향했다. 915일에 찾아갔으나, 생태교통 수원2013으로 인해 아직 정리조차 못한 자료를 모처럼 뒤져냈다. 운길산을 오르던 이 날은 한 낮의 온도가 꽤 무더웠다. 그래도 문화재를 보기 위해 얼음물 한 병을 들고 걸어 올랐지만, 워낙 가파른 비탈이라 땀이 비 오듯 한다.

문화재 답사를 하면서 가장 맥이 풀릴 때는, 어렵게 찾아 간 문화재 앞에 공사 중이란 글씨와 함께 문화재를 가려 놓았을 때이다. 수종사 오층석탑도 주변에 천막을 친 것을 보니, 주변 정리를 하는 듯 한데 다행히 탑은 온전히 볼 수가 있었다. 조선초기의 석탑이라고 하니 500여 년은 족히 넘었을 석탑이 온전히 남아있다.

 

 

불상 등에서 1493년에 조성한 탑임이 밝혀져

 

수종사 팔각오층석탑은 평창 월정사 팔각구층석탑과 같이 고려시대 팔각석탑의 전통을 이으면서, 규모가 작아지고 장식적으로 변모한 조선 초기 석탑의 형태를 잘 보여준다. 이 탑에서는 1957년 해체수리 시에 1층 탑신과 옥개석, 기단 중대석에서 19구의 불상이 발견되었고, 1970년 이전 시에는 2, 3층 옥개석에서 12구의 불상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함께 발견된 묵서명을 통해서 이 불상들 가운데 태종의 후궁이었던 명빈 김씨(?-1479)가 발원조성하고, 성종의 후궁들이 홍치 6년인 1493년에 납입했다고 하는 불상 2(석가여래 1구와 관음보살 1)와 인목대비의 발원으로 조성된 금동불과 보살상들, 숭정원년인 1628년에 조각승인 화원 성인이 조성한 금동비로자나불좌상이 확인되어, 석탑 건립의 하한은 1493년이며 1628년에 중수된 것을 알 수 있다.

 

 

화려한 문양의 조선 초기 석탑

 

수종사 팔각오층석탑의 크기는 그리 크지 않다. 하지만 탑이 여러 형태의 문양으로 인해 화려해 보인다. 오층석탑은 지대석 위에 팔각의 대석을 올리고, 그 위에 불상의 팔각연화대좌와 같은 형식의 기단을 올렸다. 팔각 대석의 각 면을 2등분하여 장방형의 액을 새기고 그 안에 안상을 표현하였으며, 같은 형태의 안상은 기단의 받침과 탑신 받침에도 통일되게 새겨져 있다.

 

기단부는 상대 앙련석과 하대 복련석에 16엽의 연화문이 장식되어 있다. 연판에는 고려중기 때부터 유행했던 화려한 꽃머리 장식이 새겨져 있고, 팔각 중대석에는 각 모서리에 원형의 우주가 입체적으로 조각되었다. 5층의 탑신 역시 팔각 모서리에 원형의 우주가 새겨져 있고 옥개석에는 각각 3단의 받침이 새겨져 있다.

 

이 탑은 목조 탑을 석재로 옮긴 듯한 모습을 하고 있어 이채롭다. 옥개석 처마의 부드러운 곡선과 원형 기둥, 옥개받침 등이 목조 건축의 형태이다. 머리부분에는 합각지붕 형태의 삼각형 문양이 조각된 복발과 보주가 올려져 있다. 이 탑은 복장된 내용물에서 확인이 되듯, 왕실 발원의 석탑임을 알 수 있다.

 

 

수종사 팔각오층석탑은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많은 조선시대의 석탑 중에서 특별한 양식을 보이고 있다. 기단부는 불상대좌와 같이 조성하였고, 탑신부는 목조건축의 양식이다. 또한 상륜부는 팔작 기와지붕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이런 형식은 현재까지 조사된 조선시대에 조성된 석탑 중 유일한 팔각오층석탑이다.

 

9월 중순의 한 낮에 오른 운길산. 많은 사람들이 찻집에 들려 차 한 잔을 마시고 있지만, 갈 길 바쁜 일정에 오래 머물 수가 없다. 경내를 바삐 돌아다니면서 이것저것을 촬영을 한 후에 다시 하산을 서두른다. 전날 내린 비로 인해 물줄기가 시원한 소리를 낸다. 이 무더운 날에 그 물소리도 행복이려니.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