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악산에 오르면 꼭 한 가지 빠트리지 않고 하는 일이 있다. 바로 전북유형문화재 제71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대원사 용각 부도를 찾는 일이다. 고려 중기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이 용각 부도는, 용을 새겨 넣은 조각솜씨로 보아 당 시대의 고승의 부도로 여겨진다. 이 용각 부도를 찾아보는 것은 뛰어난 조각솜씨도 일품이지만, 찾아볼 때마다 조금씩 색다른 것이 눈에 보이기 때문이다.

 

두 마리의 용이 여의주를 다투다

 

이 용각 부도는 모두 세 부분으로 구분이 되어있다. 기단위에 옥신을 얹고, 그 위에 옥개석 상륜부를 올려놓았다. 상륜부는 부분적으로 손실이 되어 정확한 모습을 알 수가 없어 안타깝다. 백색 규암으로 조성한 이 부도는 석질이 연약하여 많이 마모가 되었다. 높이 187cm의 크지 않은 이 부도는 대석은 땅에 묻혀있다.

 

부도 옥신의 위아래에는 띠를 두르고 있으며, 하단의 띠 위에는 18개의 겹으로 된 연꽃을 둘러 새겼다. 중앙에는 두 마리의 용이 새겨져 있는데, 그 조각 솜씨는 가히 혀를 내두를 만하다. 섬세하게 하나하나 금방이라도 곧추세울 듯한 비늘이 온몸을 덥고 있는 용. 두 마리의 용은 그렇게 몸을 비틀고 탑신을 감싸고 있다.

 

두 마리의 용이 옥신을 휘감고 있다. 비늘 하나하나도 섬세하게 조각이 되어 살아 움직이는 듯하다.

두 마리의 용은 발톱을 세우고 여의주를 다투고 있다. 

 

머리는 뿔이 나 있으며 입 부분에는 길게 수염이 나 있는데, 이 또한 살아 움직이는 듯한 착각을 일으킨다. 두 마리의 용은 발로 여의주를 다투는 모습이다. 금방이라도 살아 승천을 할 만한 이 두 마리의 용은 몸으로 부도를 감싸고 있다. 고려시대 최고의 걸작품으로 꼽히는 대원사 용각 부도. 언제나 들러서 돌아보고는 하지만 늘 그 느낌이 달라진다. 그것은 계절이나 일기에 따라서, 그 용이 보이는 형태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그 모습이 정말 변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늘 이 부도가 달라진고 있다고 느끼는 것은, 용각 부도의 용을 볼 때마다 새로운 것을 찾아내기 때문인가 보다.

 

 옥신의 아래는 띠를 두르고 18개의 연꽃을 새겨 주위를 둘렀다

 

이것도 용처럼 생겼는데?

 

대원사의 향적당 뒤를 돌아 부도가 있는 산으로 발을 옮겼다. 대원사에는 모두 6기의 부도가 있다. 향적당 뒤편 모악산 중턱에 용각 부도를 비롯해 4기가 있고, 20m 정도 위에 2기가 있다. 부도는 제각각 그 모습을 달리하고 있다. 보호철책 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가 용각 부도를 돌아보다가 보니, 그동안 보지 못한 부분이 눈에 띈다.

 

용각부도 서쪽 하단부에는 흡사 새끼 용으로 보이는 조각이 있다. 머리와 뿔 등이 보인다.

 

이것이 도대체 무엇일까? 자세히 들여다보니 작은 용처럼 생겼다. 용각 부도에는 두 마리의 용이 여의주를 다투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그 한편 용머리가 있는 밑으로 영락없는 작은 용 한 마리가 있는 것 같다. 반대쪽으로 가서 살펴보았다. 그곳에는 모습을 정확히 알 수 없는 조각이 되어 있다. 그런데 이 모습은 용의 머리에 뿔이 난 듯한 모습이다.

 

옥신의 상부에도 띠를 두르고, 밑으로는 구름을 새겨 넣었다.

 

대원사 용각 부도를 갈 때마다 살펴보는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다. 볼 때마다 무엇인가 다른 점을 발견한다는 것. 그것이 정확하게 무엇인가는 몰라도, 문화재는 볼 때마다 새로운 것을 알게 될 때 재미를 느낀다. 그래서 하고 한날 온 땅을 돌아다니면서 문화재 답사를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가끔은 이런 것을 발견할 때마다 신기해 들여다보고는 하는 것도, 아직은 더 돌아다닐 힘이 남아있기 때문인가 보다.

 

부도를 돌아보고 내려오는 길에 괜히 혼자 헛웃음을 날린다. 참으로 허황된 생각을 혼자 했기 때문이다. '그동안 용이 새끼용을 낳았나?' 하는 생각 말이다.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은 참 다양하다. 어떤 사람들은 비가 오면 꼼짝도 하지 않는다. 이래저래 후줄근하게 되는 것이 싫다는 것이다. 하지만 난 정 반대다. 비만 오면 짐을 싸서 길을 나선다. 버릇치고는 참 희한한 버릇이다.

 

좋은 날은 방에 들어앉아 자료 정리를 하다가, 비만 오면 미친 듯 석조문화재를 찾아 길을 나서는 이유. 이런 나를 보고 비만 오면 살짝 이상해지느냐고 농담을 하는 사람들도 있다. 하기야 그럴 수도 있겠다. 좋은 날 두고, 하필이면 비가 오는 날 돌아다니니 말이다. 

 

비가 오는 날 모악산 용각부도를 보라

 

모악산에는 천년고찰 대원사가 있다. 대원사는 진묵스님이 술을 보고 '곡차'라는 말을 처음으로 사용했다는 절이다. 모악산 중턱에 있는 대원사는 금산사의 말사다. 금산사는 모악산 북쪽 김제에 있는데 비해, 대원사는 모악산의 남쪽 완주군 구이면에 자리하고 있다. 대원사는 매년 4월 둘째 주 토요일에, 수만 명이 모여드는 <진달래 화전축제>로 더 유명해진 절이다. 이 대원사 향적당 뒤편 산에는 부도 몇 기가 자리하고 있다.

 

 

평상시의 용각부도

 

그 중에 유난히 눈길을 끄는 부도가 한 기 있다. 용이 부도를 감고 올라가는 모습이 예사 부도 같지가 않다. 고려 때의 부도로 추정하는 이 용각부도는 정확한 조성 시기는 모르지만, 문양 등으로 보아 고려 때의 것으로 추정하는 것이다. 용은 이 부도를 감고 있다. 머리를 아래로 하고 있는 이 용은, 금방이라도 부도를 벗어나 승천을 할 것만 같다.

 

비가 오는 날 승천하는 부도의 용

 

그런데 이 부도의 용 문양이 날이 좋은 날은 확실치가 않다. 물론 자세히 들여다보면 용이 발로 여의주를 감싸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그러나 비가 오는 날 이 부도를 보면 전혀 다르다. 비늘 하나하나가 모두 들어나 보인다. 그리고 용은 금방 승천을 할 듯한 기세다. 바로 이런 것 때문에 비가 오는 날이 되면, 미친 듯 석조문화재를 찾아 달려 나가게 된다. 그 생생한 모습을 보기 위해서다.

 

 

비가오는 날 용각부도

 

이 용각부도 역시 마찬가지다. 비가 오는 날이면 섬세하게 조각을 한 용의 모습이 확연히 들어나 보인다. 살아서 움직이는 듯한 용의 모습. 힘차게 비상을 하기 위해 준비를 하는 듯 하다. 용의 문양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 때 고승의 부도로 보이는 이 용각부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71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용각부도의 문양이 드러나 듯, 나는 비가 오는 날이면 석조문화재를 찾아 길을 나선다.

 

국보 진전사지탑도 비가 오면 부처님이 일어나신다

 

비가 오는 날 답사를 나서는 까닭은 맑은 날 선명하게 볼 수 없던 탑이나 마애불 등의 조각이 선명하게 들어나기 때문이다. 남들은 이런 나를 미쳤다고 한다. 아무리 선명한 조각을 볼 수 있다고 비가 오는데 길을 나서느냐고 핀잔을 주기도 한다. 그러나 한 가지라도 더 섬세한 모습을 담아 여러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마음은 비도 어쩌지를 못한다.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둔전리에는 신라시대의 절이었던 진전사지가 있다. 이곳에는 국보 제122호 삼층석탑이 자리하고 있다. 진전사지 삼층석탑은 높은 2단의 기단 위에 삼층으로 조성을 한 통일신라 8세기 후반의 작품이다.

 

 

 

 

진전사지 삼층석탑은 그 조각 하나하나가 뛰어난 작품이다. 통일신라의 탑 중에서도 예술성이 뛰어난 작품으로 손꼽힌다. 1층 탑신에는 여래좌상이 각 면에 한구씩 조각이 되어있다. 진전사지 삼층석탑은 기단부 하단에는 연화좌 위에 광배를 갖춘 비천상을 조각하였다. 그리고 기단부 상단에는 팔부중상이 역동적으로 표현이 되어있다. 높이가 5m인 이 탑은 볼 때마다 감탄을 하게 만든다. 그저 평범한 돌을 이용한 조성한 신라시대의 탑. 그 조각 하나하나가 이렇게 비가 오는 날 만나면 돌을 박차고 뛰어 나올 것만 같다.

 

비가 오면 난 짐을 싼다. 그리로 문화재를 찾아 떠난다. 오늘 비가 오려나? 하늘에 가득 구름이 끼기 시작한다. 이제 비에 젖지 않게 갈무리를 잘한 짐을 싸 놓아야 할 때가 되었다. 비가 오는 날 꼭 보아야 할 마애불이 있어서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