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에는 열녀와 효부, 효자각 등이 서 있어 더 엄숙해

 

마을에서는 이 나무의 나이가 얼마나 되었는지 알 수가 없다고 한다, 누구는 천년이라고 하고, 누구는 1,200년이라고 한다. 그보다 훨씬 더 오래되어 우리나라 최고령 은행나무라고도 한다. 영월군 영월읍 하송리에 소재한 천연기념물 제76영월 하송리 은행나무에 대한 마을사람들의 이야기이다.

 

수백 년만 되었다고 해도 사람들은 입을 벌린다. 그 세월이 가늠이 되질 않아서이다. 그런데 1,200년이라는 세월이 지났다는 소리에, 나무가 그렇게 신령스러워 보일 수가 없다. 나무의 높이는 29m, 가슴높이의 둘레가 14.5m에 밑동의 둘레는 13.8m에 이른다, 가지는 동서로 22.5m에 남북으로 22m나 된다고 하니 가히 일품이다.

 

답사 길에서 만난 영월 은행나무. 지나는 길에 이정표를 찾아들어간 마을에서 만난 은행나무는 한 마디로 대박이었다. 답사를 하다가 보면 가끔 이렇게 생각지도 않았던 문화재 등을 만나기도 한다. 그럴 때는 흡사 로또라도 맞은 듯한 기분이다. 영월의 은행나무를 보았을 때도, 마치 어린아이처럼 좋아했던 것은 그런 이유에서다.

 

하송리 은행나무는 처음에는 이곳에 대정사(對井寺)’라는 절이 있었고, 그 앞에 서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절이 사라지고 주택이 들어서면서, 지금은 마을 가운데에 위치하게 되었다. 마을 사람들 이야기로는 이 은행나무의 원래 줄기는 죽어 없어지고, 새롭게 난 줄기가 지금의 나무가 되었다는 것이다.

 

 

영험한 은행나무로 마을에서 신목으로 제사를 지내

 

이 나무에는 옛날부터 커다란 뱀이 살았어.”

뱀을 보신 분이 있으세요?”

어른들이 그렇게 이야기를 하니까 그런 줄로 알고 있지

이 나무는 얼마나 살았다고 해요?”

천 이백년도 더 되었다고 하네. 아마 그보다 더 오래되었는지도 모르지

 

이 마을 사람들은 이 나무가 워낙 영험한 나무라, 음력 712일에 이 나무에 와서 치성을 드리면 아들을 얻을 수 있다고 믿는다. 그래서인가 나무 주변에는 가급적이면 얼씬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혹시 은행나무에게 불경을 저지르지 않기 위해서이다. 지금은 나무 주변을 축대를 쌓고 보호를 하고 있다.

 

신령한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 그 나무의 수령조차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그래도 마을주민들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은행나무로 기억을 하고 싶어 한다. 잎이 떨어지기 전의 모습은 어떠할까? 내년에는 여름철 은행잎이 무성할 때, 다시 한 번 찾아보아야겠다. 그것도 음력 712일에. 아들을 점지하는 나무라면, 그보다 더한 것도 치성을 드리면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서

 

 

주변에 효자와 열녀각이 자리하고 있는 뜻 깊은 마을

 

이 나무가 더 신령스러워 보이는 것은 은행나무가 서 있는 하송리 한편에 작은 전각이 나란히 서 있다. 온양방씨 열녀각, 경주이씨 효부각, 그리고 김지룡 효자각과 엄윤 효자각이다. 은행나무의 수령만큼이나 오래도록 이곳에 터를 잡고 살아왔던 사람들이 많다보니 그 오랜 세월 효자와 열녀가 없었겠는가?

 

열녀 온양방씨는 17세에 엄병수에게 시집와 4달 만에 남편을 여의고 시부모까지 보양하면서 살았다. 고종 10년인 1873327일에 정려문이 세워졌다. 4달만에 남편과 사별했으니 자손도 없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부모까지 조양했다고 하니 가히 그 효성을 어찌 칭찬하지 않겠는가?

 

효부 경주이씨는 김지학의 처로 가족들이 출타 중에 시아버지의 병환이 위독하자 자신의 손가락을 깨무는 단지요법으로 시아버지의 목숨을 구했다. 효부각은 고종 4년인 1867420일에 정문이 새워졌다. 요즈음을 살아가는 우리네들에게는 단지 옛이야기로 치부하기에는 그 정성이 갸륵하다.

 

효자 엄윤과 효자 김지룡 역시 우리가 본받아야 할 인물들이다. 답사길에서 우연히 만난 은행나무와 열녀, 효부, 효자각. 이런 뜻 깊은 것들을 만나면 피곤함이 가시고 발걸음이 가벼워진다. 글을 쓸 수 있다는 것아 아니라, 아름다운 인물들을 소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세상을 살아가는 대는 그 시기마다 삶의 척도를 재는 가치관이 다르다. 지난 과거에 삶을 이 시대에 맞추어 왈가왈부 한다는 것 자체가 무리 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다. 하기에 어떤 사람이 어느 시기에 어떤 삶을 살았는가는, 그 시대적 배경이나 역사적 배경을 배제할 수가 없다.

 

우리는 흔히 근본이니 뿌리라는 말을 쓴다. 무슨 시시콜콜한 말이냐고도 하겠지만, 그런 것을 지난 삶에서는 결코 무시할 수가 없었는가 보다. 전북 장수군 산서면 하월리에는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71호인 절열양정씨지려가 있다. 작은 정면 한 칸, 측면 한 칸의 전각에 節烈兩丁氏之閭라는 현판을 달고 있다.

 

 

전각 안에 걸린 두 사람의 여인

 

말 그대로 하자면 두 사람의 정()씨가 굳건한 마음으로 절개를 지킨 것을 기리기 위해 문을 세운다는 것이다. 이 두 사람은 과연 누구였으며, 어떤 일들이 있었을까? 한 칸의 정려각은 조선조 후기에 세운 전각이다. 주변은 흙을 조금 높게 돋우어 놓았다. 그리고 그 안에는 좌우로 갈라 두 사람의 정려가 있다.

 

이 정려는 절개와 지조를 지킨 두 사람의 여인을 기리기 위한 것이다. 두 사람 모두가 정씨이기 때문에 양정씨라고 표현을 했다. 이 정려각은 조선조 경종 3년인 1723년에 세웠으며, 그 뒤 순조 19년인 1819년에 고쳐 지었다. 단칸 팔작지붕으로 마련한 양정씨 정려는 그저 어느 곳에서나 흔히 볼 수 있는 그런 모습이다.

 

 

지난 47, 장수군 지역의 문화재를 답사하다가 만난 양정씨지려. 마을 입구에 서 있는 작은 전각 하나는, 그냥 무심히 지나치기에 십상이다. 그러나 작은 것 하나에도 눈길을 떼지말아야 하는 문화재 답사에서는, 그런 소소한 것도 확인을 해야만 한다.

 

죽음으로 가문을 지켜내다

 

이 두 사람의 여인은 정황(1412 ~ 1560)의 후손들이다. 정황은 조선 중기 전북 남원 출신의 문신으로, 본관은 창원이다. 자는 계회, 호는 유헌, 시호는 충간으로, 부친은 필산감역 정세명이다. 정황의 후손이라는 이 두 여인의 행적은 정려 안에 걸린 현판을 통하여 알 수가 있다. 안에는 두 사람의 이름을 적은 현판과, 뒤편에는 행적을 기록한 현판이 보인다.

 

 

한 사람은 1597년에 일어난 정유재란 때 왜적에게 봉변을 당하고, 스스로 물 속에 뛰어들어 목숨을 끊었다. 또 한 사람은 남편이 죽자 식음을 전폐하고, 남편의 뒤를 따라 죽음을 택했다. 옛날 이야기라고 해서 당시의 사상이 죽음으로 몰아갔다라는 생각을 하겠지만, 그 시대적인 배경이 그럴 수 밖에 없었을 것이란 생각이다.

 

정려에 써 있는 글귀를 보면 전각 안을 바라보면서 우측에는 절부라 기록을 하였으며, 사옹원 첨정 권백시의 처 창원정씨 지려이다. 좌측에 적힌 것은 열녀라 적었으며, 성균생원 풍천 노세기의 처 창원정씨 지려이다. 뒤편으로 들어갈 수가 없으니, 뒤편에 걸린 편액에 적힌 그 자세한 내막은 알 수 없음이 아쉽다. 다만 한 여인은 절부로 한 여인은 열녀로 기록해 절열지려라 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의 속내를 들여다보면 그럴 수 밖에 없었을 것이란 생각이다. 그 두 분의 여인들은 그길이 스스로를 지키고, 가문을 지킨다는 생각을 한 것은 아니었을까? 오랜 유교적 사고에서 온 행동이라고 일침을 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두 분의 여성은 그길이 최선이란 생각을 했을 것이다.

 

전각 앞에서서 머리를 숙이고, 두 여인의 명복을 잠시 빌어본다. 아픈 세상에 태어나 그렇게 죽음을 택할 수 밖에 없었던 비운의 여인들을 생각하면서.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