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무안군 무안읍 성동리에서 이건한 대가집

한국민속촌 안에 들어가면 몇 채 안되는 와가 중 하나가 제9호 집이다. 남부지방의 대가로 불리는 이 집은, 전남 무안군 무안읍 성동리에 있던 대가집을 그대로 한국민속촌으로 이건을 한 집이다. 이 집은 가옥 전체에 누마루와 툇마루 등이 고르게 배치가 되어있어, 호남지방의 특유의 집의 형태를 알아 볼 수가 있다.


이 집의 전체적인 꾸밈은 튼 ㅁ 자 형이다.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ㄷ 자 형의 안채가 자리하고 있으며, 좌측에는 ㄱ 자형의 사랑채가 있고, 우측에는 l 자형의 광채가 자리하고 있다. 거기에 문간채가 한편을 막고 있어, 전체적인 모습은 큰 ㅁ 자가 된다. 이 집의 특징은 집이 상당히 큰 집인데도 불구하고, 아기자기한 면이 돋보이는 집이다.

누마루의 여유, 대가 집의 특징

집안은 한꺼번에 다 소개한다는 것이 가끔은 버거울 때가 있다. 특히 ‘고래등 같다’고 표현을 하게 되는 집들은 대개가 그 안에 이야기도 많은 법이다. 그러다 보면 몇 번으로 나누어야 그 집의 모습을 제대로 소개할 수가 있을 듯하다. 한국민속촌의 9호 집 역시 그러한 집 중 한 곳이다.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좌측에 놓여있는 사랑채. 아마 이 집이 대개집이 아니라고 해도, 이런 사랑채 한 채를 갖고 있다면 세상 부러울 것이 없을 듯하다. 한편을 ㄱ 자로 달아내어 누마루를 놓았다. 누정과 같이 주추위에 기둥을 놓고 땅에서 떨어지듯 조성을 했다. 말은 사랑채의 누마루방이지만, 그대로 정자가 되는 그런 형태이다.

집안 여인들의 편의를 돕는 동선

누마루정에서 사랑채로 들어가는 앞으로는 길게 마루를 놓았다. 그리고 그 마루로 인해 모든 방에 연결이 되어진다. 이 대가집의 사랑채는 방을 앞뒤로 나누어 들인 것도 특징이다. 누마루 정자 뒤편으로도 마루를 놓고, 그 안편으로 방을 드렸다. 두 개의 방을 이어놓았으며, 그 다음은 다시 마루를 놓고 두 개의 방을 또 앞뒤로 드렸다.




그리고 부엌은 안채쪽의 사랑채 뒤편에 드리고, 부엌을 드나드는 곳 역시 안채 쪽에 가깝게 붙여놓았다. 이렇게 안채에서 쉽게 사랑채의 부엌을 이용할 수 있게 만든 것은, 안주인이 아랫사람들을 시켜 사랑채에 불을 떼거나 손들을 접대하기 쉽도록 배려를 한 것으로 보인다. 즉 여인들의 동선을 최대한으로 짧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안채를 보호하는 작은 배려도 돋보여

전남 무안에서 옮겨 온 이 대가집의 사랑채는 왜 방을 앞뒤로 놓았을까? 외부에서 방으로 들어갈 수 있는 입구는 앞, 뒤로 되어있다. 그리고 그 앞쪽의 입구는 집의 주인이 주로 사용을 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뒤쪽에 자리한 방은 입구를 따로 꾸며 놓았을까? 별도로 방으로 출입을 할 수 있도록 해놓았다.



이렇게 안채를 바라보지 않도록 방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바로 집안 여인들이 불편하지 않도록 배려를 한 것으로 보인다. 즉 사랑채에 외간 남정네가 묵더라도 안채의 여인들이 신경을 덜 쓰도록 한 것이다. 사랑채에 딸린 부엌도 안채에서 가깝게 한 것이나, 부엌을 출입하는 별도의 길을 마련한 것들도 모두 여인들을 위한 동선을 생각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택 한 채를 돌아보는 즐거움. 그 집의 형태를 그냥 지나치지 않고, 그 모양새를 찬찬히 살펴본다면 그 집안만이 갖고 있는 재미를 느낄 수가 있다. 그래서 고택답사가 즐거운 것이기도 하고. 아무튼 이 호남 대가집의 사랑채, 그동안 수많은 탈렌트들이 이곳에 발을 디뎠다. 일일이 열거를 할 수 없을 정도라고 하니, 이 집 민속촌으로 옮긴 덕에 별별 향수내를 다 맡는 듯하다.

축제장에 사람이 믾이 오면 그야말로 금상첨화다. 아무래도 축제장을 많은 사람들이 찾다가 보면, 그만큼 지역에 떨어지는 돈이 있을 테니까. 그러니 지자체마다 축제를 하고, 많은 돈을 들여 홍보에 열을 올리는 것이 아닐까? 지자체마다 축제비로 들어가는 예산이 엄청나다는 것은 이미 다 알고 있는 터. 적게는 수천 만원에서(이 정도면 동네잔치이고) 많게는 수십 억씩 들어간다고 한다.

이런 축제장엘 가면 우리같은 경우는 우선 여러가지를 돌아본다. 우선 짜임새는 잘 되어있는지, 주차시설은 제대로 갖추고 사람들을 오라고 하는 것인지? 또한 행사 내용은 충실한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돌아보는 것은 사람들에게 가장 신경이 쓰이는 화장실 문제이다.


"엄마, 나 어떻게 해 싸버렸어"

사람들은 오라고 잔뜩 선전을 해놓고, 화장실 하나가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았다고 하면 어떻게 생각을 해야할까? 아무리 좋은 축제장이라고 해도. 기본적인 생리현상 하나 해결을 할 수가 없다면, 과연 그 축제장을 다시 가고 싶을까? 남자야 그저 아무데서라도 잠시 '눈가리고 야옹'하는 식으로 적당히 해결을 할 수가 있다고 치자. 그럼 여성들은 어쩌라고. 즐지어서 싸든지 말든지 알아서 하라고.

지난 3일 사람들이 몰려든 곡성 심청제. 구 곡성 옆 앞에 모여든 사람들이 화장실 앞에 줄지어 서 있다. 꼬마 아이 하나가 울고 있는데, 바짓가랑이가 젖어있다. 남자 화정실이라도 데리고 들어갔어야 할 테지만, 젊은 엄마가 아이를 돌보니 그도 힘들었을 터. 아이는 그냥 징징거리고만 있다.


남자 화장실은 줄이 없는데, 여자 화장실은 줄이 늘어서 있다. 어디 산중 같으면 대충 골 깊은 곳에서 해결이라도 하겠지만, 벌떼처럼 몰려든 사람들 틈에서 그도 만만치 않은데 어쩌자고. 이렇게 준비도 하지 않고 사람들만 오라고 홍보를 하면 되는겨? 기본적인 생리현상을 해결 할 수 있을 정도는 해 주어야지. 이런 것이 바로 좋은 축제의 이미지를 버려놓는 것이란 것을 모르시는지.  

주변을 돌아보지 않아 또 다른 화장실이 있었는지는 모르겠다. 임시화장실이 있어도 심한 악취나 더럽게 되어있으면 사람들이 사용하기를 꺼려한다. 이런 경우 남자용도 여자들에게 임시로 개방을 하고, 남자들을 임시화장실을 사용하게도 할 수 있으련만. 꼭 저렇게 줄을 세워야만 했을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