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136호인 경주 남산 미륵곡 석조여래좌상(慶州 南山 彌勒谷 石造如來坐像)’, 경북 경주시 배반동 산66-2에 소재하고 있다. 신라시대의 보리사 터로 추정되는 곳에 남아 있는 이 석조여래좌상은 전체 높이 4.36m, 불상 높이 2.44m의 석불좌상으로, 현재 경주 남산에 있는 신라시대의 석불 가운데 가장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다.

 

이 석조여래좌상은 뒤편에 조성한 광배의 뒷면에도 선각으로 된 약사여래불을 조성했다. 광배 뒤편에 새긴 약사여래불이 처음부터 조성을 한 것인지는 확실치 않으나, 이렇게 앞으로는 석조여래좌상을 조각하고 뒤편에도 선각으로 약사여래불을 조성한 경우는 보기 드문 예이다.

 

마귀를 쫓는 항마촉진인의 내력

 

이 석조여래좌상의 머리칼은 작은 소라 모양을 하고 있으며, 머리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인 육계가 높게 솟아 있다. 얼굴은 둥근 편인데 은은한 웃음을 띤 표정이 사람의 마음을 푸근하게 만든다. 법의는 양 어깨를 감싸고 있으나 힘없이 축 늘어진 느낌이며, 군데군데 평행한 옷 주름을 새겨 넣었다.

 

결기부좌를 한 형태로 좌정한 석조여래좌상의 손모양은, 오른손을 무릎 위에 올려 손끝이 아래로 향하고 왼손은 배 부분에 대고 있다. 이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인데 다소 연약해 보인다. 옛날 석가모니가 성불하기 전에 정각산의 선정굴에서 내려와, 보리수 아래 앉아 결가부좌하고 다시 선정에 들어갔다.

 

 

선정에 든 석가모니를 본 제6천의 마왕 파순은, 만약 석가모니가 성불하여 부처가 된다면 일체의 중생이 구제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석가모니가 성불을 하고나면 마왕의 위력이 중생들에게 못 미친다고 생각을 해, 염욕, 능열인, 가애락이라는 3인의 미녀를 보내어 석가모니를 유혹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가 번번이 성공하지 못하자 마계의 모든 군사를 동원했다. 마왕 파순은 칼을 석가모니에게 겨누면서 "비구야, 나무 아래 앉아서 무엇을 구하는가. 너는 신성한 금강보좌에 앉을 자격이 없는 자이다." 라고 소리쳤다. 이 말을 들은 석가모니는 "천상천하에 이 보좌에 앉을 수 있는 사람은 오직 나 한 사람뿐이다. 지신(地神)이여 이를 증명하라." 고 하면서 선정한 오른손을 풀어서 오른쪽 무릎 위에 얹고 손가락으로 땅을 향했다.

 

그러자 지신이 땅에서 튀어나와 마왕 파순을 물리치며 석가모니의 말을 증명하였는데, 이 때의 수인이 바로 항마촉지인이다. 항마촉지인은 항마인, 촉지인 등의 명칭으로도 불리고 있는데, 이 수인은 오직 석가모니만이 취하는 수인이다.

 

마귀는 쫓고 중생은 고치고

 

불상의 뒤편에 조성한 광배는 장식적이다. 광배에는 작은 부처상인 화불과 보상화, 넝쿨무늬 등을 화려하게 조각을 하였다. 광배 뒤편에 선각으로 약사여래불을 조성한 경우는 밀양 무봉사와, 남원 만복사지 석불입상 등에서 보이는 특이한 경우이다.

 

 

경주 남산 미륵곡 보리사 터에 소재한 석조여래좌상. 전면은 항마촉지인을 한 여래좌상이 세상의 악한 기운을 쫓고, 뒤편에는 약사여래불을 조성해 중생을 질병에서 구제하고 있다. 이렇게 앞뒤로 조성한 석가여래와 약사여래로 인해,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편해지기를 바란 것일까?

 

내년 봄, 꽃이 피는 계절이 돌아오면 날을 잡아 경주일대를 한 번 돌아보리라 마음을 먹는다. 남산 여기저기 산재해 있는 수많은 부처님들을 만나보기 위해서.

충북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에 소재한 덕주사는, 신라 진평왕 9년인 서기586년에 창건되었다. 창건 당시에는 ‘월형산 월악사’였다. 신라 경순왕을 마지막으로 고려에 패망한 뒤, 경순왕의 첫째 딸인 덕주공주가 이곳에 들어와, 높이 13m의 거암에 마애불(보물406호)을 조성했다. 신라의 재건을 염원하며 덕주공주가 일생을 마친 뒤로, 산 이름은 월악산으로 절 이름을 덕주사로 개명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덕주사에 관한 문헌상의 기록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 찾을 수 있다. 「덕주사는 월악산 밑에 있다. 속설에 전하기를 덕주부인(德周夫人)이 절을 창건했으므로 덕주사로 이름 지었다.」는 기록이 있다. 『대동지지(大東地志)』의 충주 산수조에 의하면「동으로 45리에 있어 청풍 경계를 이룬다. 상, 하덕주사가 있다.」 고 하여 지금의 마애불이 있는 절터를 상덕주사라 하고, 이곳으로 올라가는 초입에 있는 지금의 덕주사를 예전에는 하덕주사라고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덕주사가 있는 곳을 ‘절골’이리 불렀다.

 

예전에는 하덕주사라 불렸던 현재의 덕주사를 절골이라 했고, 상덕주사인 마애불사지는 윗절이라 했다. 현 덕주사의 경내에는 남근석 3기가 서있다. 절 안에 이렇게 많은 남근석이 서 있는 곳은 매우 흐ㅟ귀한 현상이다. 그런데 왜 적주사에는 남아를 낳기를 기원한다는 남근석이 서 있는 것일까?

 

덕주사는 남아선호 신앙이 깃든 곳이다. 서쪽 언덕 산 밑에는 네 기의 부도와 장대석이 있다. 6.25 때 불탄 뒤로 1963년에 지암화상이 5칸인 법당을 중창하였으며, 1985년 성주화상이 현재의 법당을 다시 중창하였다. 충주댐으로 수몰된 한수면 역리에서 고려시대에 조성 된 약사여래입상을 이곳으로 옮겨왔다.

 

 

월악산은 명산 중 명산

 

산 정상을 ‘영봉’이라고 부르는 곳은 백두산과 월악산 밖에 없다. 그만큼 월악산은 명산으로 꼽힌다. 월악산을 수산리 쪽에서 바라보면 누워있는 여인의 얼굴과 같은 형상이라고 한다. 하기에 월악산은 여산신이 지키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대소산에는 모두 산신이 있는데, 영험한 산인 지리산, 계룡산, 월악산 등이 여산신이다.

 

 

산의 명칭에 ‘악(岳)’ 이라는 글자가 들어가는 산은 ‘큰산’이요, 음기가 강한 산이라고 한다. 그러한 음기를 누르는 것이 바로 남근석이다. 덕주사 경내에 남근석이 많은 까닭은 바로 그런 음기를 누르기 위함이라고 한다. 또한 음기가 강한 곳에 남근석을 세우고, 그곳에 치성을 드리면 아들을 낳는다는 속설이 있다.

 

덕주공주의 염원은 아니었을까?

 

덕주사는 바로 많은 사람들이 이 음기를 누르는 남근석에 정성을 들여 득남을 기원하는 곳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단지 그것만이였을까? 덕주사 경내에 있는 남근석을 바라보면서 혹 이 남근석에는 ‘덕주공주의 염원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즉 이 남근석에 치성을 드려 많은 여인들이 아들을 낳아 강한 신라를 기대한 것은 아닐지 하는 생각이다.

 

 

충주댐으로 수몰된 한수면 역리에서 모셔온 석조약사여래입상은 충북유형문화재 제196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고려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이 약사여래입상은 몸체에 비해 머리가 크다. 대좌는 따로 만들었으며, 두발을 윗면에 조각하고 몸체를 얹었다. 옛 정금사 터라고 전하는 곳에 있던 것을 이리로 옮겨 봉안하였다고 한다.

 

 

명산 중 명산이라는 월악산에 자리하고 있는 덕주사. 그 경내에서 볼 수 있는 남근석들. 지금도 그 남근석에 비손을 하는 부인들이 상당수가 있다고 한다. 천년 세월이 지난 지금도 덕주공주의 염원이 이루어지려는지. 속모를 새 한 마리 울며 날아간다.

경북 경산시 와촌면 대한리 산44번지에 자리한 약사여래불. 속칭 ‘팔공산 갓바위’ 라고 부르는 해발 850m의 험준한 팔공산 남쪽 관봉의 정상에, 병풍처럼 둘러 쳐진 암벽을 배경으로 만들어진 좌불상이다. 관봉을 ‘갓바위’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그것은 이 불상의 머리에 마치 갓을 쓴 듯한 넓적한 돌이 올려져 있어서 유래한 것이다.

7일 아침 일찍 남원을 출발했다. 예정으로는 갓바위를 거쳐, 동화사와 또 한 곳을 둘러보리라 한 것이다. 그러나 이건 또 무슨 일인가? 88도로 좁은 길에서 버스가 그만 고장이 나, 오도 가도 못하고 1시간 이상을 지체했다. 대체된 버스를 갈아타고 출발을 했으나. 예정보다 근 1시간 이상을 지체한 것이다.


9세기에 조성된 당시 최고의 걸작품

10여일이 가깝게 몸살감기로 진이 다 빠져버렸다. 갓바위 주차장에 버스를 대고 걸어 올라가는 길이 그리 험할 줄이야. 벌써 7차례나 갓바위를 올랐다. 여느 때 같으면 한 걸음에 오르던 갓바위다. 그러나 기운이 쇠할 대로 쇠한 뒤라, 조금만 계단을 올라도 숨이 차다. 몇 번을 쉬면서 겨우 갓바위에 올랐다.

보물 제431호 갓바위 부처님은 약사여래불이다. 민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인 육계가 뚜렷하다. 머리 위에 커다란 돌을 이고 있어, 갓바위라 부른다고도 한다. 언제보아도 갓바위 부처님은 근엄하다. 얼굴은 둥글고 풍만하며 탄력이 있고, 눈 꼬리가 약간 위로 치켜 올라가 있다. 귀는 어깨에 닿을 듯 늘어지고, 굵고 짧은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다.



어깨는 일반적인 석불에 비해 위로 약간 올라간 듯하다. 넓은 어깨는 반듯해서 당당하고 건장하다. 그러나 신체의 부위는 가슴이 평판적이라 조금은 둔한 느낌을 준다. 두 손은 무릎 위에 올렸는데, 조금은 투박한 듯하다. 오른손 끝이 땅을 향한 ‘항마촉지인’과 유사한 손모양은 석굴암의 본존불과 닮았다. 그러나 불상의 왼손바닥 안에 조그만 약함을 들고 있는 것을 보면 약사여래불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수능이 시작되면 바빠지는 갓바위 부처님

불상이 자리하고 있는 대좌는 4각형인데, 앞면과 옆면으로 법의 자락이 내려와 대좌를 덮고 있다. 불상의 뒷면에 병풍처럼 둘러쳐진 암벽이 광배의 구실을 하고 있으나, 뒷면의 바위하고는 떨어져 따로 존재하고 있다. 풍만하지만 경직된 얼굴, 도식화된 옷주름, 평판적인 신체는 8세기의 불상과는 구별되는 9세기 불상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지칠 데로 지쳤지만 우선 손을 모으고 참배를 한다. 앞에 놓인 자리에 앉아 겨우 고개를 숙인다. 많은 사람들의 서원을 비는 소리가 조금은 정신을 차리지 못하게 만든다. 자리들을 차지하느라 일행을 불러대는 사람들도 있다. 수능 100일전부터 갓바위 부처님은 몹시 바빠지신다.

자녀들의 좋은 성적을 기원하기 위한 부모들의 마음은 한결같다. 자신의 아이가 좀 더 나은 점수를 받게 해달라고 마음속으로 빌 것이다. 바위에 손과 이마를 대고 비는 사람들도 보인다. 이곳에서는 어떤 형태로 기원을 하든지, 아무도 간섭을 하지 않는다. 비는 사람들마다 각자 자신의 서원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갓바위 부처님은 늘 바쁘시다. 그 수많은 사람들의 마음속을 들여다보셔야 하기 때문이다. 그 서원을 일일이 귀담아 들으시고, 그것을 들어 주시려면 아마 쉴 틈도 없을 것이다. 그렇게 갓바위 부처님은 늘 표정 하나 변하지 않고, 사람들의 원을 들어주시나 보다. 오늘도 사람들은 갓바위 부처님께 서원을 한다. 그 많은 중생들을 일일이 내려다보고 계시는 갓바위 부처님.

“얘야, 나 요즘 엄청 바쁘거든. 네 서원은 네가 알아서 이루어라”

전북 남원시 왕정동 482-1에 소재한 사적 만복사지. 만복사지 한편에는 전각이 한 채 있다. 이 전각 안에는 보물 제43호인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이 자리하고 있다. 만복사지를 세 번이나 찾아갔는데, 이상하게 이곳을 찾을 때마다 해가 떨어질 시간이다. 그래서 항상 전각 안에 있는 석불입상의 사진은 늘 그늘이 드려져 있다.

이 석불입상은 만복사 절터 전각 안에 서 있는,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높이 2m 정도의 석불입상이다. 만복사는 고려 문종(1046∼1083) 때 창건된 사찰인데, 이 석불입상도 창건 당시 조형된 것으로 보인다.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만복사에는 동쪽에 5층의 전각, 서쪽에 2층의 전각이 있고, 그 안에 35척의 금동불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런 기록으로 보아 창건 당시 만복사의 사세는 매우 큰 절이었음을 알 수 있다.


손과 발이 없어진 채 발견돼

이 석불입상은 민머리의 정수리에 상투 모양의 육계가 둥글게 솟아 있다. 얼굴은 자연스럽게 살이 오른 타원형으로, 눈과 코, 입의 형태가 자연스러워 원만한 인상을 보여준다. 법의는 둥근 칼라와 같은 독특한 옷깃이 보인다. 신체의 굴곡은 어깨에서 팔로 내려오며 곡선을 그리고 있는데, 유려하게 처리하였다. 11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이 석불입상은 고려 초기의 뛰어난 작품이다.

이 석불입상은 발견 당시 발 아랫부분이 땅에 묻혀 있었으며, 광배도 후에 발견이 되었다. 최근 묻혀있던 부분을 들어내고, 깨어진 광배도 복원작업이 이루어져 어느 정도 원래의 모습을 되찾았다. 이 석불입상은 오른팔은 들어 손바닥을 보이고, 왼팔은 아래로 내려서 역시 손바닥을 보이고 있던 것으로 보인다. 손은 따로 끼울 수 있도록 만들어 놓았는데, 지금은 모두 없어진 상태이다.




이 석불입상의 얼굴은 원만하게 조형이 되었으며, 목 뒤에는 칼라와 같은 문양이 새겨져 있다. 그리고 끼울 수 있도록 제작된 손은 사라져버렸다.

석불입상의 뒤편에 붙인 광배는, 머리광배와 몸광배로 구분되어 있다. 윗부분이 없어진 머리광배에는 활짝 핀 연꽃잎과 연꽃줄기가 새겨져 있고, 몸광배에는 연꽃줄기만이 새겨져 있다. 바깥쪽으로는 불꽃무늬가 조각되어 있으며, 좌우에는 각각 2구씩의 작은 화불을 새겨 넣어 아름다움을 더하고 있다.

뒤편에도 선각이 된 불상을 새겨

손과 발이 사라진 만복사지 석불입상. 얼굴 부분에서도 눈 부분이 조금 손상이 되었으며, 끼울 수 있도록 제작된 팔이 보이지가 않아 불편해 보인다. 아마 팔과 다리가 제대로만 있었다고 해도, 이 석불입상의 가치는 더 있었을 것이다. 발밑을 받치고 있는 받침돌은 팔각형의 납작한 돌을 놓고, 그 뒤에 연꽃으로 장식한 둥근 돌을 얹었다.


받침돌과 광배에 새겨진 화불
 
이 석불입상의 뒷면에도 선각으로 처리한 불상이 조각되어 있다. 이 불상은 한 손에 약병을 들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약사여래불로 추정이 된다. 이렇게 바위의 양편을 이용한 석불의 조형은 매우 드문 형태이다. 두 손이 사라진 만복사지 석불입상. 그 손은 어디로 간 것일까? 아름다움을 위해 손을 끼울 수 있도록 제작한 석불입상이, 오히려 두 손을 잃는 계기가 되었나 보다.



뒷면에 선각처리한 불상은 약병을 들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약사여래불로 추정한다.

이번 답사에도 석양에 그늘이 드리운 석불입상을 찍는 바람에, 제대로 된 사진을 만들어 내지 못했다. 실력이 있는 블로거라면 당연히 아름다운 사진을 만들어 내었겠지만. 그저 자료 정도를 찍는 실력밖에 없으니 어찌하랴. 다음에는 오전에 찾아가 보아야겠다고 굳게 다짐을 하고, 그늘을 길게 끌며 만복사지를 떠난다.


완주군 구이면 원기리 모악산 중턱에 소재한 대원사는, 백제 의자왕 20년인 660년에 창건된 천년고찰이다. 대원사 대웅전에는 전북 유형문화재 제215호로 지정된 대웅전 삼존불이 있다. 중앙에 석가모니불을 비롯하여 왼쪽에는 아미타부처님, 그리고 오른쪽에는 약사여래부처님이 자리한다. 목조로 조성된 이 삼존불은 조선후기의 불상 양식을 따른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삼존불은 1670년에 조성된 것으로, 회감 보혜스님 계보의 맥을 잇고 있는 스님들이 조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중 약사여래부처님은 중생의 병을 치료해주고, 생명을 연장해주는 의왕부처님이다. 모든 사람들의 마음의 안락을 가져다주기도 한다.

모악산 대원사 대웅전에 모셔진 삼존불. 좌측부터 아미타불, 석가모니불, 약사여래불이다 

약사여래부처님 손은 약손

어제(9, 17) 오후 모악산 산사에 볼일이 있어 산을 올랐다. 잠시 밖을 나가기만 해도 카메라 하나는 꼭 지참을 한다. 지난 번 산에 오르다가 렌즈를 박살내고 나서, 가급적이면 산에 오를 때는 작은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지참한다.

산을 올라 산사에 도착을 했는데, 대웅전 지붕 위에 벌떼가 까맣게 날고 있다. 무슨 일일까? 올 해는 한봉을 치는 분들이 모두 망했다는 소리를 한다. 날이 너무 뜨거워 벌들이 다 날아가 버렸다는 것이다. 절집에도 10여개의 벌통이 있었는데, 모두 다 비인 상태였다. 그런 차에 저렇게 벌이 날아왔으니 반갑기도 하다.

약사여래불 오른손 목안으로 벌떼들이 까맣게 드나들고 있다.

그런데 그 벌들이 연신 대웅전 안으로 날아 들어간다. 궁금하여 따라 들어갔더니, 이게 무슨 일일까? 세분의 부처님 중 오른쪽에 좌정한 약사여래 좌상의 오른편 손의, 손 목안으로 벌들이 들락거린다. 그 안에 새롭게 집을 지은 것인가 보다. 이런 일이 있을까? 그런 모습을 보면서 얼른 카메라를 들이댔지만, 마음에 들지 않았는지 몇 놈이 공격을 한다.

벌침은 약이라는데, 따갑기는 해도 동영상으로 촬영을 하였다. 예전 어릴 때 배가 아프다고 하면 어머니가 손으로 배를 쓰다듬어 주시면서 ‘엄마 손은 약손, ○○배는 똥배’라고 하시던 생각이 난다. 그렇게 하면 희한하게도 살살 아프던 배가 가시고는 했다. 약사여래 부처님 손 목안으로 들어가는 벌들을 보면서 그 생각이 난다.



저 벌들도 올해 무더위에 많이 아팠던 것일까? 그래서 약사여래부처님 손 안으로 들어가 치료를 받으려고 했던 것은 아니었을까? 괜한 생각을 하면서 키득거리고 웃고 있는데, 갑자기 뒷덜미가 따끔하다. 헛된 망상 버리고 정신 차리라고 벌이 한 대 쏘았나보다. 이래저래 약사부처님한테 머리를 조아려야 할 것만 같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