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마애불에 무엇을 빌었을까? 아마도 자식을 낳게 해달라고도 했을 테고, 누구는 꼭 아들을 낳게 해달라고도 했을 것이다. 또 어떤 이는 돈을 많이 벌게 해달라고도 했을 테고, 이웃집 아주머니는 서방님에 대한 간절함도 빌었을 것이다. 한 마을에서 그렇게 오래도록 신앙의 대상이 되었던 마애불이 있다.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에 소재한 수원박물관에 들러 기획특별전을 보고 나오다가 보니 박물관 마당에 석조물들이 보인다. 이것저것을 돌아보면서 일일이 촬영을 하다 보니, 박물관 입구 쪽에 전각이 있다. 그리고 그 안에 바위가 있는데 마애불인 듯하다. 몇 시간을 산으로 올라가야 하는 마애불을 촬영하기 위해서도 가는데, 평지에서 마애불을 만나다니 이게 웬 횡재인가?

 

 

일석에 조성된 특이한 삼존불

 

수원박물관 경내에 자리한 마애불은, 현재 수원시 향토유적 제13호로 지정되어 있다. 고려 중기에 조성한 것으로 보이는 이 삼존마애불은, 가운데 약사여래좌상을 두고 양편에 협시불을 조성했다. 일석에 삼존상을 조성하였는데, 중앙에 본존인 약사불은 연화대좌위에 좌상으로 새겨져 있고, 양쪽에는 협시상은 입상으로 조각하였다.

 

본존의 높이는 120cm 정도로 두광을 조성하고, 육계가 평평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마의 중앙에는 백호의 흔적이 보인다. 목에는 삼도를 조각하였으나 많이 마모가 되었다. 법의는 통견으로 표현을 하고 있다. 양편에 조각한 협시상은 입상으로, 높이가 100cm 정도이다. 흔히 동자상이 민머리인데 비해 이들 협시상은 머리에 관을 쓰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아마도 동자가 아닌 보살상으로 조성을 한 듯하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이 양편의 협시보살상은 바로 월광보살과 일광보살을 의미하는 듯하다. 이것은 약사여래가 주야로 쉬지 않고 중생을 돌본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양편 보살상의 법의는 통견이며, 수인은 미숙한 조각수법을 보이고 있다. 원래 이 마애불은 화서동 숙지산의 동쪽에 자리한, 동래 정씨들의 세거지 아래쪽에 자리하던 것을 2008년에 이전하여, 10월 1일 수원박물관의 개관일에 맞추어 일반인들에게 선을 보였다.

 

마을에서 기자신앙의 대상물로 섬겨

 

중앙에 새겨진 약사여래상. 약사불은 중생의 질병을 구완하는 부처이다. 동래 정씨들의 집안 부녀자들이 매달 초하루가 되면, 이 약사불에 와서 빌었다고 한다. 마을에는 아들이 없어 애를 태우던 사람이, 이 마애삼존불에 빌어 삼형제를 나았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그래서 이 약사불은 득남에 영험이 있다는 것이다.

 

 

그런 마을에서 전해지는 설화를 뒷받침하는 것이 바로 중앙에 조성한 약사여래좌상이다. 본존불은 결가부좌를 하고 앉아 있는데, 몸에 비해 머리가 크게 조성이 되어 균형이 잘 맞지 않는다. 귀는 어깨까지 닿을 듯 늘어져 있으며, 법의에서 보이는 옷 주름 등의 처리도 미숙하다.

 

일반적인 마애불과는 차이가 있어

 

이 약사여래마애좌상은 연화대 밑에 축대를 상징한 듯한 조각이 보인다. 양편에 서 있는 협시상의 발밑에도 역시 같은 처리가 되어있다. 크고 작은 돌을 이용해 축대를 쌓은 듯한 형상이다. 우측 손은 무릎위에 놓고, 좌측 손은 가슴께로 끌어올려 안으로 향하고, 우측 손은 무릎 위에 놓고 있다.

 

 

이 삼존불은 전체적으로 비례가 맞지 않고 있으며, 얕은 부조로 조성을 하였다. 그런데 이 약사여래좌상의 얼굴을 가만히 들여다보니, 누군가 코를 다 파낸 듯하다. 기자속에 부처의 코를 깎아다가 먹으면 아들을 낳는다는 속설이 있다. 아마도 누군가 아들의 점지를 간절히 원하여 이 동래정씨 집성촌에 서 있던 마애불의 코를 깎아낸 것이나 아닌지. 결국 부처님의 코와 아들하고 맞바꾸었다는 이야기이다.

 

오래도록 동래 정씨들이 섬겨왔다는 마애불. 그동안 얼마나 많은 아이들을 점지 한 것일까? 조금은 미숙한 조각이지만, 그 마음이 한없이 따듯하다. 이웃에서 편하게 만날 수 있는 그런 동네아저씨와 같은 편안한 상 때문이다.

강원도 원주시 봉산동에 있는 원주시립박물관 뒤편 계단 아래에 보면, 다리가 없는 석조미륵보살입상 한 기가 서 있다. 이 석조미륵보살입상은 1960년경 봉산동에 있던 옛 활터인 학봉정의 과녁 부근에서 출토되었다고 한다. 그 후 보현사 앞뜰로 옮겨졌다가 춘천 소재 강원도 향토박물관에서 보관을 하다가, 2001년 원주시립박물관으로 옮겨왔다.

정확히 알 수 없는 천왕사지 미륵보살입상




이 미륵보살입상은 천왕사 터에 있던 것이라고 전한다. <동국여지승람>에 보면, 천왕사는 봉산동의 옛 활터 부근에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 천왕사지가 어디인가는 정확하지가 않다. 다만 현재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49호로 지정되어 있는, 봉산동 당간지주가 천왕사에 서 있던 것이라고 하는 점으로 보아, 이 미륵보살입상도 인근에 있었던 것은 아닐까 생각한다. 천왕사는 신라 시대에 창건한 절이라는 것 밖에는 알려진 것이 없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이 미륵보살입상도 당간지주가 서 있는 천왕사지에 있던 것을 누군가에 의해 훼손이 되어, 옛 활터에 버려진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 미륵보살입상은 허벅지 아래의 다리가 훼손이 되어 정확한 크기는 알 수 없지만, 윗부분의 크기로 보아 성인들의 키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고려 초기 지역의 장인에 의해 조성한 것으로 보여

이 천왕사지석조미륵입상은 두발을 높게 감아 올려 망건을 쓴 것처럼 보인다. 옆에서 보면 관의 모양새가 확실한 것이, 미륵입상이기보다는 문인석에 가까운 머리의 제관 모양이다. 또한 가운데가 솟아있고, 옆으로 둥근 모양을 한 것을 보아도 확실하다. 이마의 중앙에는 백호가 있어 이 석조물이 석조미륵입상임을 알 수 있다.



미륵보살입상의 얼굴은 통통한 편이며 적당히 살이 붙어 있다. 눈과 코 입도 중앙으로 모여 있어 일반적인 불상의 형태와는 다르다. 그저 편안하고 풍요로운 모습으로 조각이 되었다. 귀는 석불의 귀들이 크게 표현한 데 비해, 일반적인 사람의 얼굴에서 보이는 형태로 표현을 하였다. 전체적인 얼굴의 모습을 보면 석불의 특징적인 형태를 벗어나 있다.

수인은 가슴께로 손을 올렸는데, 오른손은 엄지손가락을 추켜세우고 있다. 남은 손가락은 법의를 묶은 끈을 잡고 있는 듯하다. 왼손은 허리께에 대고 있는데, 손목을 꺾어 손바닥을 앞으로 펴 보이고 있다. 이 미륵보살입상의 특징은 양팔이 몸에서 떨어져 팔과 몸 사이에 맞닿는 부분이 뚫어져 있다는 점이다.



문인석에 가까운 조각수법이 특이해

오른쪽 어깨에서 흘러내린 법의의 주름은 가슴과 아랫배에서 U자 모양으로 감아 올렸다. 법의의 한 자락은 오른팔에 걸고 있는데, 그 모습이 자연스럽다. 또 다른 옷 주름은 가운데 배에서 나비매듭을 엮었으며, 부챗살 모양으로 퍼진 주름은 몸 아래 하반신으로 곧게 흘러내린다. 다리 부분이 훼손이 되어서 다리의 모습을 알 수는 없지만, 머리와 상반신의 모습으로 볼 때 발에는 목화를 신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원주지역에는 이 석보미륵보살입상 외에도 비슷한 크기의 세구의 석조보살입상이 남아있다. 이 세구의 보살입상도 고려 초기의 작품으로 보이는데, 이런 점으로 볼 때 이 미륵보살입상은 원주 지역을 활동 근거지로 삼은 장인에 의해서 조성이 되었을 것이다. 다리가 훼손된 석조미륵보살입상. 전체적인 조성기법이 일반적인 석불과는 다르게 나타나는 이 석조미륵보살입상에 관한 연구는, 앞으로 깊이 있게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받침돌의 중대석에 나한의 안면을 새긴 독특한 석불좌상. 그런데 이 받침돌의 석재가 제 짝들인지는 정확하지가 않다. 만일 이 받침돌이 제 것들이라면 이런 독특한 석불좌상을 찾아보기가 그리 쉽지는 않을 것만 같다.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이 석조여래좌상은, 현재 경남 거창군 거창읍 김천리에 소재한 거창박물관 경내 야외에 자리하고 있다

경남 유형문화재 제311호로 지정이 되어 있는 ‘송림사지 석조여래좌상’. 이 여래좌상은 마리면 말흘리 송림마을의 절터에서 발굴되었다. 처음에는 마리중학교에 보관되어 있다가, 박물관을 개관할 당시 이곳으로 옮겨온 것이다. 석조여래좌상은 민머리인 소발에 머리위에는 무엇인가 두건 같은 것을 쓰고 있는 듯하며, 얼굴에 자비로운 미소를 머금고 있다.


훼손이 심한 통일신라시대의 석불

이 석불좌상은 얼굴도 심하게 훼손이 되어 제 모습을 알아보기가 힘들 정도이다. 그러나 귀가 어깨에 닿을 듯 길게 표현이 되었으며, 눈은 가늘고 옆으로 길게 표현을 해 눈초리가 약간 위로 치켜져 있다. 코와 입은 그 형태를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훼손이 되어 있다. 법의는 양어깨에 통견으로 걸쳐 길게 늘어트렸으며, 여러 가닥의 주름으로 표현을 하였다.

소매 부분에는 여러 갈래의 좁은 주름을 만들었으나 훼손이 심하다. 손은 가슴께로 끌어올려 두 손을 마주 합장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길게 늘어진 소매 끝으로 나온 팔의 모습이나 손의 형태는 심하게 훼손이 되어 알아보기가 힘들 정도이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두 손을 가슴위로 끌어올려 손바닥을 마주한 것처럼 보인다.




중대석에 나한을 새긴 독특한 기법

이 석불좌상은 연꽃받침 위에 가부좌를 틀고 앉아있는 형태로 조형이 되었다. 그러나 두 다리는 앞면이 떨어져 나가 제대로 된 형태를 알기보기가 힘들다. 다만 가슴에 모은 손 밑이나 무릎 위에 보이는 법의의 형태로 볼 때 속옷을 입고 매듭을 묶은 듯하다. 이런 형태의 조형미를 보이고 있다면, 상당히 섬세하게 표현을 한 아름다운 석불좌상이었을 것이다.

이 석조여래좌상의 불상받침인 연화대는 송림마을에 있던 불상을 이곳으로 옮기면서 짜 맞춘 것이라고 한다. 하기에 이 세 부분으로 나눠진 연화대가 제 것인지 확실치가 않다. 현재 연화대는 상, 중, 하 세 부분으로 구분이 되어있는데, 하대석의 경우에는 훼손이 심하여 제 모습을 알아보기가 힘든 상태이다.



상대석은 넓게 원형으로 조성을 하였는데, 위가 넓고 아래로 비스듬히 좁아지게 하였다. 위 받침돌에는 위를 향한 앙련을 큼지막하게 조각하였다. 하대석의 경우 심하게 훼손이 되어 재 모습을 찾아보기가 힘들다. 하지만 만일 이것이 제 짝이라고 한다면, 그 주변을 앙련의 꽃잎이 아래로 향하게 새겨 넣었을 것이다.

이 석조여래좌상의 특징은 바로 가운데 돌인 중대석에서 찾아볼 수가 있다. 중대석에는 사람의 얼굴모양을 돋을새김 하였는데, 이 안면상은 나한상을 조각한 것이다. 이렇게 중대석에 나한상의 안면을 조각한 예는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이 나한상을 조각한 중대석으로 인해, 이 석조여래좌상의 조형미가 한층 뛰어나 보인다.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송림사지 석조여래좌상. 전체적으로 훼손이 심하여 자세한 모습을 찾을 수는 없으나, 그 모습 하나하나에서 뛰어난 신라의 석조미술을 알아내기에는 그리 어렵지가 않다. 다만 천년이 넘는 세월을 비바람에 씻긴 채 방치가 되어있었다는 것이 마음이 아프다.

심하게 훼손이 된 모습으로 두 손을 마주하고 있는 석불좌상. 아마도 우리 후손들의 무지를 용서해 달라고 비는 것은 아니었을까? 6월 10일 거창군의 답사에서 만나본 많은 문화재 중, 가장 마음 아픈 사연을 지닌 석불좌상이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