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영사는 경상북도 울진군 서면 하원리 천축산에 있는 고찰이다. 불국사의 말사인 불영사는 신라 진덕여왕 5년인 651년에 의상이 세웠다고 전하는데, 의상은 이곳의 산세가 부처님이 계신 인도의 천축산과 비슷하다고 하여, 천축산이라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이곳의 연못에는 9마리의 독룡이 살았는데, 이들을 주문으로 쫓아낸 뒤 구룡사라 하였단다.

 

그 뒤 서쪽 산 위에 부처님의 형상을 한 바위가 절 앞 연못에 비춰 불영사라 개칭을 하였다고 한다. 일설에는 당시 이곳 연못 위에 다섯 부처님의 영상이 떠오르는 모습을 보고 거기 살던 용을 쫓아낸 뒤 절을 지었다는 전설도 전한다. 불영사는 명승 제6호로 지정된 불영계곡을 끼고 조성된 아름다운 절이다.

 

많은 수난을 당한 불영사

 

불영사는 역사의 회오리 속에서 많은 아픔을 당한 절이다. 조선 태조 6년인 1397년에는 나한전만 남긴 채 화재로 모두 불에 타 버린 것을 이듬해 소운대사가 연산군 6년인 1500년에도 다시 소실된 것을 양성법사가 중건하였으며, 선조41년인 1608, 경종 4년인 1742, 고종 3년인 1899년에도 중건을 하였다.

 

불영사 경내에는 보물 제730호인 응진전, 보물 제1201호인 불영사 대웅보전, 보물 제1272호인 불영사 영산회상도와 지방문화재로 지정이 된 삼층석탑과 불영사 부도 등이 있다. 불영사 대웅보전은 기단 밑에 거북 돌을 받쳐 건물을 받들게 하였는데, 이는 불영사가 있는 자리가 화산이어서 그 기운을 누르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고른 균형을 보이는 삼층석탑

 

이 불영사 대웅보전 앞에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5호인 불영사삼층석탑이 자리하고 있다. 높이 3.21m의 삼층석탑은 2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후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크지는 않지만 고른 균형을 보이는 탑으로 통일신라 말기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한다.

 

불영사 삼층석탑의 아래 위층 기단의 각 면에는 모서리에 양우주를, 가운데에는 탱주인 기둥을 새겼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쌓아올렸으며, 몸돌의 각 면마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한 양우주를 가지런히 새겼다.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두었고,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 네 귀퉁이에서 살짝 올라갔다.

 

그런데 이 불영사 삼층석탑의 지붕돌의 형태는 2층 지붕돌의 낙수면의 기울기 등이 1층과 3층에 비해 약간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상륜부인 꼭대기에는 머리장식 받침인 노반을 놓고, 위로 엎어놓은 그릇모양인 복발과 연꽃이 활짝 핀 모습을 한 앙화가 놓여 있다. 불영사의 삼층석탑은 아담하지만 전체적으로 고른 균형을 이루고 탑으로, 기단의 조각수법과 지붕돌의 모습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 말기에서 고려시대 초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죽어서도 서원을 이루는 굴참나무

 

불영사를 들어가다가 보면 우측에 돌을 가득 쌓아올린 나무 그루터기가 보인다. 이 고목이 되어 쓰러진 나무는 한 때 천연기념물 제157호로 지정이 되어있던 불영사 굴참나무이다. 살아있을 때는 수령이 1,300여 년에 수고는 35m, 둘레가 6.2m에 이르던 거목이었으나 고사로 인해 지정 해제가 되었다.

 

 

이 굴참나무는 신라 진덕여왕 5년인 651년에 의상대사가 불영사를 창건한 기념으로 심은 나무였다고 한다. 천연기념물이었던 이 굴참나무는 썩은 몸통만 남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 위에 서원을 한 돌을 올려놓았다. 죽어서도 사람들의 서원을 들어줄 수 있는 천연기념물. 불영사 굴참나무는 비록 고사를 했지만, 그 의미는 세월이 지나도 달라질 것이 없는가 보다.

경기 여주군 금사면 외평리 454-1번지에 소재한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5호인 포초골 미륵좌불상. 이 불상은 연꽃무늬 대좌 위에 앉아있는 높이 1.7m의 석조미륵좌상이다. 고려 시대에 조성한 것으로 전해지는 이 좌불상은, 현재는 사찰 안 용화전에 자리하고 있다.

 

포초골 미륵좌불을 찾아본 것은 벌써 서너 번은 되었는가 보다. 처음에 찾아갔을 때는 전각에 단청도 하지 않은 채로 만났는데, 그 뒤에는 용화전에 단청이 되어있었다. 그리고 지난 해인가 찾아갔을 때는 먼저는 보지 못한 광배를 찾았다고 했다. 이렇게 갈 때마다 달라진 모습을 보인 포초골 석조미륵좌불이다. 문화재는 찾을 때마다 이렇게 다른 모습을 만나기도 한다.

 

 

머리에 갓을 쓴 석조 미륵좌불상

 

여주 금사면의 미륵좌불상은 민머리에 사각형의 갓을 쓰고 있으며, 네모진 얼굴에는 반쯤 감은 눈, 오똑한 코, 풍만한 양 볼과 짧은 귀가 표현되었다. 옷은 양 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왼쪽 어깨의 주름과 가슴에 묶인 띠 매듭은 정교하게 묘사되어 있지만 둔탁한 편이다.

 

무릎은 신체에 비해 크게 조성되어 안정감을 주고 있으며, 양 발목 사이에는 부채꼴 모양의 옷주름이 새겨져 있다. 오른손은 무릎에 대고 손끝이 아래를 향하고 왼손은 배 부분에서 손바닥을 위로 향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안정감이 있고 육중한 모습이다. 이런 형태의 석조 불상은 고려시대의 거대 석조불상의 형태에서 흔히 나타나는 모습이다.

 

중대석에 보살상을 새긴 연화대좌

 

일반적으로 미륵입상이나 좌상을 모신 전각을 용화전이라고 한다. 이 포초골 미륵좌불상이 소재하고 있는 절은 그 동안 상당히 불사를 많이 하였다. 하기에 용화전 주변도 정리가 되어있으며, 절 경내 곳곳에는 아직도 불사를 계속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가 있다.

 

 

 

 

포초골 미륵좌불상을 받치고 있는 연화대좌는 상·중·하대로 구성되어 있다. 상대에는 연꽃무늬를 새겼는데 꽃잎이 큼지막하여 시원한 느낌을 준다. 중대석에는 8각의 각 면에 보살상을 돋을새김 하였다. 이렇게 보살입상을 새겨 넣은 연화대좌는 그리 흔하지가 않다는 것에서 이 미륵좌불상의 독특한 형태를 볼 수 있다.

 

뒤늦게 발견이 된 광배

 

연화대좌의 하대에는 커다랗게 앙화가 새겨져 있다. 전체적으로 이 불상을 보면 4각형의 원만한 얼굴에 넓고 당당한 어깨, 그리고 둔탁한 옷주름의 표현 등을 볼 때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처음에 이곳을 찾았을 때 볼 수 없었던 광배는 나중에 주변을 정리하다가 땅 속에서 발견이 되었다고 한다. 광배응 몸 전체를 감쌀 수 있을 정도로 큰 편이며, 윗 부분이 배의 선미처럼 휘어져 있다. 광배에는 위편에 불꽃무늬가 새겨져 있고, 중앙에는 원을 중심으로 하여 각가지 문양을 새겨 넣었다. 고려 시대에 조성된 포초골 석조미륵좌불상. 4월 26일 오후에 찾아간 절집에서 만난 석불좌상은 그렇게 바라보는 사람을 마음 편하게 만들어 주고 있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