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 대부북동 1058에 소재한 쌍계사는 1660년 경 취촉대사가 이곳을 지나다가 깜빡 잠이 들었는데, 다섯 마리의 용이 승천하는 것을 보고 그 자리에서 물이 나와 이 절을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그러나 사찰에 보관된 <정수암성조기(淨水庵成造記)>에 의하면 1689년 죽헌비구가 정수암을 중창하여 없어진 후, 1745년 그 자리에 다시 사찰을 세워 1750년부터 쌍계사라 불렸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사찰 내에서 만력4(萬曆四年 : 1576)에 제작된 기와가 발견되어, 16세기 후반부터 이 지역에 사찰이 운영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고개를 숙인 자세의 목조여래좌상

 

쌍계사 극락보전에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1호인 쌍계사목조여래좌상이 봉안되어 있다.극락보전에 봉안된 목조여래좌상은 높이 92cm로 좁은 어깨에 머리를 앞으로 숙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머리에는 소라모양의 나발이 촘촘하고, 지혜를 상징하는 육계가 높이 솟아 있다.

 

이 목조여래좌상은 이마 위에는 타원형의 중앙계주와 정수리에 원통형의 정상계주가 있다. 타원형의 얼굴은 이마가 넓고 귀가 어깨 위까지 내려올 정도로 길게 늘어져 있으며, 눈두덩이와 양미간이 각이 져 조선후기 제작된 불상의 전형적인 얼굴을 하고 있다.

 

 

두터운 법의자락은 오른쪽 어깨에 짧게 늘어져 반전하고, 팔꿈치와 배를 지나 일부 대의자락이 왼쪽 어깨로 넘어가게 조형하였다. 왼쪽 어깨의 법의자락은 수직으로 내려와 반대쪽 법의자락과 겹쳐져 유려한 U자형을 이룬다. 하반신을 덮은 법의자락은 중앙의 S자형 주름을 중심으로 좌우로 짧게 늘어져 있다.

 

법의 안쪽에는 복견의를 입고, 가슴을 가린 승각기를 끈으로 묶어 윗부분에 5개의 앙연형 주름이 있다. 불상의 뒷면은 법의자락이 목 주위와 등을 V자형으로 덮어 조선후기 불상의 후면에 나타난 표현과 차이를 가진다. 따로 제작한 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아미타수인이지만, 이와 같은 손의 자세는 조선후기 제작된 아미타불을 비롯한 약사불과 지장보살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대좌는 연꽃이 위를 향한 앙연의 연화좌와 삼단을 이룬 팔각대좌가 한 쌍을 이루고, 팔각대좌 중단에 하늘을 날고 있는 용과 천인이 화려하게 투각되어 있다. 조선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목조여래좌상은 고개를 앞으로 숙인 모습을 하고 있어 특이하다.

 

 

봄기운이 느껴지는 쌍계사 다시 돌아보고 싶어

 

절은 그 그곳에 있다. 산이 있어 산에 오르듯 절이 그곳에 있어 절을 찾는다. 문화재 답사를 하기 위한 순례지만 절을 찾아가면 꼭 한 가지 서원을 하고 다닌다. 하다보면 한 가지가 넘을 수도 있지만, 우리 주변의 모든 아픈 사람들. 그것이 몸이 되었던지 마음이 되었던지 그들의 아픔을 조금이라도 가시게 해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날도 여래좌상 앞에 가 머리를 조아리면서 마음속으로 간절히 서원한 것은 역시 다르지 않았다. 가진 자들의 끝없는 욕심 속에서 민초들이 조금이라도 행복해 질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을 서원한 것이다. 봄이 오는 길녘에서 찾아간 대부도 쌍계사. 그리고 극락전에 좌정하고 있는 마애여래부처님. 봄꽃이 흐드러지게 피었다는 소식이 전하는 날 다시 한 번 찾아가고 깊은 곳이다.

 

대부도는 경기도 안산시에 속해 있는 섬이다. 안산시는 공업단지가 가장 많은 곳으로 변해, 문화재들을 찾아보기가 쉽지가 않다. 그래도 몇 점의 소중한 문화재를 간직하고 있는 것을 보면, 우리나라 전역에 많은 문화재들이 있음을 실감할 수 있다. 안산시 대부북도에는 쌍계사라는 전통사찰이 자리하고 있다.

 

흔히 쌍계사하면 하동 쌍계사를 떠올리지만, 그 외에 여러 곳에 쌍계사라는 사명을 가진 사찰들이 있다. 안산시 대부북동 1058에 소재한 쌍계사는 1660년 경 취촉대사가 이곳을 지나다가 깜빡 잠이 들었는데, 다섯 마리의 용이 승천하는 것을 보고 그 자리에서 물이 나와 이 절을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그러나 사찰에 보관된 <정수암성조기(淨水庵成造記)>에 의하면 1689년 죽헌비구가 정수암을 중창하여 없어진 후, 1745년 그 자리에 다시 사찰을 세워 1750년부터 쌍계사라 불렸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사찰 내에서 만력4(萬曆四年 : 1576)에 제작된 기와가 발견되어, 16세기 후반부터 이 지역에 사찰이 운영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널찍한 경내에 봄기운이 완연해

 

4일 이른 아침부터 부산하게 준비를 하여 답사를 떠났다. 안산시에 소재한 몇 곳의 문화재와 쌍계사, 그리고 대부도와 연결이 되어있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선재도와 영흥도를 둘러볼 계획으로. 안산시 별망성지를 돌아 찾아간 쌍계사. 극락보전을 중심에 두고 한편에는 삼성각이, 그리고 또 한편으로는 약수가 나온다는 용바위를 보전하는 전각이 있다.

 

너른 마당에는 봄볕이 완연하다. 약간의 찬바람이 불고는 있지만, 절을 찾아가는 산길에는 벌써부터 농사꾼들의 작업이 한창이다. 최초로 창건할 당시에는 경기도 남양부지 서령대부도였다는 대부북도 쌍계사. 쌍계사에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1호인 쌍계사 목조여래좌상과 제182호인 쌍계사 현왕도, 그리고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10호인 아미타화상도를 소장하고 있다.

 

 

신비한 용바위, 유리 밑으로 물길이

 

극락보전에 들려 참례를 한다. 언제나 사찰을 들어서면 먼저 하는 의식이다. 꼭 돈독한 신앙심을 가진 것은 아니지만, 이렇게 문화재가 있음을 감사하는 마음 때문이다. 그리고 나와서 용바위가 있다는 전각을 살펴본다. 앞에는 병을 낫기를 기원하는 촛불들을 켜 놓았다. 용바위의 물길이 흐르는 곳은 유리로 막아 놓았다.

 

방석이 그 위에 올라가 있는 것으로 보아, 물길 위에서 앞에 걸린 용왕신의 탱화를 보고 절을 하는 모양이다. 하지만 조금은 섭섭한 생각이 든다. 그 몸에 좋다는 물을 한잔 떠 먹어보고 싶었는데. 이 물을 발견한 것은 정수암이라는 절을 처음으로 창건한 취촉대사가 발견을 하고 그 자리에 암자를 지었다고 전한다.

 

 

전하는 설에 의하면 취촉대사가 이곳을 지나가다 산 중턱에서 깜빡 잠이 들었는데 용 다섯마리가 승천하는 꿈을 꾸었다고 한다. 꿈에서 깬 취촉대사가 그 자리를 파보니 용바위 밑에서 맑은 물이 흘러나와 부처님의 가르침이라고 여겨 그 자리에 정수암이라는 암자를 세웠다는 것이다.

 

이 물에는 철분 및 탄산수가 많아 위장병 및 피부병에 좋다고 하여 많은 사람들이 약수물로 이용하고 있다고 한다. 쌍계사의 뒤편으로는 소나무 숲이 자리하고 있다. 이곳은 학생들의 자연학습장으로 이용되고 있는 듯하다. 개구리가 동면을 깨고 나온다는 경칩을 하루 앞둔 5일 찾아간 대부북도 쌍계사. 그곳에는 이미 봄이 발치 앞까지 와 있었다.

 

쌍계사는 언제 세웠는지 확실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현재 남아있는 유적으로 미루어 보면 고려시대에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영조 15년인 1739년에 세운 비가 남아있어 그 당시 절을 고쳐 지은 것으로 보인다. 쌍계사하면 사람들은 먼저 하동 쌍계사를 떠 올리지만, 대웅전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논산 쌍계사는 충남 논산시 양촌면 중산리에 소재하고 있다.

 

논산 쌍계사에는 많은 전설이 전하고 있다. 마치 전설을 만들기 위해 창건된 절인 듯하다. 그만큼 쌍계사의 전설은 한두 가지 아니다. 대개 어느 고찰이나 전설 한 두가야 있기 마련이지만, 쌍계사는 그런 정도가 아니다. 그저 쌍계사 주변 곳곳이 전설이 전한다. 그만큼 이 절이 창건 이후 유명세를 탔다는 뜻이기도 하다.

 

 

사부대중이 얼마나 많았기에

 

쌍계사에 전하는 전설 중에는 그저 허황된 소리 같은 것들도 전한다. 하지만 전설이라는 것이 전혀 맹랑한 것이 아니라고 한다면 쌍계사는 한 때 많은 사부대중이 기거를 했던 절임을 알 수 있다. 오죽하면 쌀을 씻은 뜨물이 큰 길까지 흘러내렸을까? 그 뿐만이 아니다. 대웅전에 있는 탱화를 파랑새가 붓을 입고 물고 그렸다고도 한다.

 

대웅전 앞에 낸 문짝의 꽃 창살은 가히 일품이다. 꽃 창살을 사용한 절들은 많다. 하지만 아마 도 어느 절도 이렇게 아름답지는 않을 것이다. 그 꽃 창살의 문양만 바라보고 있어도 기분이 황홀해진다. 쌍계사의 기둥 하나가 칡넝쿨로 만들었는데, 이 기둥을 안고 돌면 병을 앓지 않고 저승으로 간다고도 한다.

 

 

이런저런 이야기가 많이 전하는 고찰 쌍계사. 이 절에서 사용하는 북이 얼마나 소리가 크고 고랑을 쩡쩡 울린 것일까? 북의 가죽을 한 겹을 볏겨 냈다고 한다. 또한 절 동편 고개 밑에는 샘물이 있다고 한다. 이 샘은 약효가 뛰어나 피부병 등을 앓고 있는 사람들을 이 물을 마시기 위해 전라북도에서까지 찾아왔다는 것이다.

 

보물로 지정이 된 쌍계사 대웅전

 

보물 제408호로 지정이 된 쌍계사 대웅전은 절의 중심 법당이다. 대웅전은 건축 형식으로 보면 조선 후기 건물로, 영조 14년인 1738년에 지은 건물로 보인다. 그 뒤 1972년 보수공사가 있었고, 1973년에 단청을 다시 하였다.

 

쌍계사 대웅전의 규모는 정면 5칸에 측면 3칸이며,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짠 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다. 정면의 문은 정면 5칸을 모두 같은 간격으로 2짝씩 달아, 문살에 화려한 꽃을 새긴 꽃 창살로 마련하였다. 문의 꽃무늬는 연꽃, 모란을 비롯해 6가지 무늬로 새겨 색을 칠하였는데 섬세하고 정교한 조각 솜씨를 엿보게 한다.

 

 

대웅전의 건물 안쪽은 우물 정()자 모양의 우물천장으로 꾸몄으며, 석가여래삼존불을 모신 불단 위쪽으로, 불상마다 지붕 모형의 닫집을 만들어 엄숙한 분위기를 더해 주고 있다. 쌍계사의 대웅전은 예술 가치가 높은 문살 조각을 볼 수 있고, 조선 후기 건축사 연구에 소중한 자료로 평가를 받고 있다.

 

내가 30년 가까운 세월을 길 위에 서 있는 것은 이런 소중한 문화재를 만나게 되는 즐거움 때문이다. 문화재 하나를 만날 때마다 어떤 때는 즐거움으로, 어떤 때는 비통함으로 접하게 되지만, 그 안에 내재된 사고는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기에 또 바람따라 길 위에 늘 서있기는 하지만. (꽃 창살과 닫집은 문화재청 자료입니다)

경남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소재한 고찰 쌍계사. 지리산의 남쪽기슭에 자리한 쌍계사의 경내에 서 있는 8각 석등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8쌍계사석등(雙磎寺石燈)’으로 지정이 되어있다. 이 석등을 보면서 이해가 가질 않았다. 석등이란 세상을 밝힌다는 의미로 불을 켜는 화사석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쌍계사 석등에는 화사석과 지붕돌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석등이란 원래 3단으로 이루어진 받침 위에,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올리고 지붕돌을 덮는다. 그리고 그 위에 머리장식을 얹어야 하지만, 이 쌍계사 석등은 화사석과 지붕돌이 보이지 않는다. 언제 어떤 연유로 인해 이렇게 되었는지는 알 수가 없다.

 

석등의 의미는 매우 깊어

 

석등이란 절 안의 어둠만을 밝히는 것이 아니다. 석등은 부처님의 진리를 빛으로 시방세계를 비춘다는 뜻으로 조성한다. 이것은 곧 중생을 빛으로 깨우쳐 선한 길로 인도한다는 의미가 깊다고 하겠다. 또한 석등의 등불 하나하나는 부처님이 계시다는 수미산과 같고, 석등에 불을 켜는 기름은 넓은 바다를 상징한다고 한다.

 

하기에 사찰에서 조성을 하는 석등은 공양구 주에서도 가장 으뜸으로 여긴다. 하기에 석등은 언제나 부처님이 계시다는 대웅전과 부처님의 사리를 모시거나 부처님을 상징하여 조성하는 탑과 함께 조성을 하는 것이다. 하동 쌍계사 대웅전 앞에 있는 석등은 화사석과 보개석이 없기 때문에 그 원형을 알기가 어렵다.

 

 

 

조각만으로도 대단한 작품이었을 것으로 보여

 

경남 유형문화재 제28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쌍계사 석등은 화사석을 올리는 상대석 위에 복발과 보주가 놓여있다. 상대석 아래로는 팔각의 간주석이 놓여있으며, 그 밑으로는 아래 받침돌인 하대석이 놓여있다. 석등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화사석과 지붕돌이 사라져버려 처음의 형태는 알 수가 없다.

 

아래받침돌인 하대석에는 엎어놓은 연꽃문양인 복련을 둘렀고, 상대석인 위받침돌에는 아래와 대칭되는 솟은 연꽃문양인 앙련을 조각하였다. 가운데기둥인 간주석은 가늘고 길며 중간이 부러져 있던 것을 나중에 맞추어 놓았다. 처음에 얼핏 보면 흡사 두 개의 돌로 간주석을 조성한 것처럼 보인다.

 

 

불을 켜는 곳인 화사석과 지붕돌인 보개석이 없어진 자리에는, 상륜부에 올려놓았던 머리장식만 놓여 있다. 상륜부는 낮은 받침위로 연꽃봉오리 모양의 장식인 보주와, 엎어놓은 그릇모양을 한 복발 등이 남아있다. 이 쌍계사 석등은 가운데기둥의 단조로움과, 상대석과 하재석 등에 조각한 세련된 연꽃무늬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짐작된다. 또한 제대로 된 형태로 보존이 되었다고 하면, 뛰어난 걸작품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발길 닿는 곳마다 문화재

 

쌍계사는 신라 성덕왕 22년인 723년에 삼법, 대비 두 스님이 당나라 6조 혜능대사의 정상을 모시고 와서, 꿈의 계시대로 눈 속에 칡꽃이 핀 곳을 찾아 정상을 봉안하고 절을 창건했다고 전한다. 830년에는 진감해소 국사가 당나라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 두 스님이 지은 절에 영당을 짓고, 절을 크게 중창한 후 사찰명을 옥천사로 고치고 이곳에서 입적을 했다.

 

 

그 후 정강왕이 이웃마을에는 옥천사가 있고 산문 밖에는 두 내가 만난다고 하여 쌍계사라고 불렀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13교구 본사인 쌍계사에는 많은 문화재가 전하고 있다. 국보 제47호인 진감국사 대공탑비를 비롯해, 보물 제500호인 대웅전을 비롯한 보물 9, 일주문과 천왕문 등 지방문화재 20점 등 총 30점의 문화재가 있는 곳이다.

 

쌍계사를 일러 문화재의 보고라 하는 것도 그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발길 닿는 곳마다 문화재를 만날 수 있는 쌍계사. 그 경내에 서 있는 석등의 화사석은 언제 사라진 것일까? 쌍계사를 들릴 때마다 궁금증이 일어난다.

 

() 오늘부터는 하루에 한 개씩만 송고 하겠습니다. 단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동안 너무 급하게 달려온 듯합니다. 이제 좀 벗어나고 싶습니다.


쌍계사. 말만 들어도 가슴이 벅차다.
남들은 낮에 구경을 한다지만, 난 밤에 찾아갔다.

퇴근 후 남원에 들려 찾아간
'한국의 아름다운 길'이라는 쌍계사 벚꽃 길

밤이 늦었는데도 사람들이 북적거린다.
한편에선 사진을 찍느라
갖은 포즈를 취하고 있고

또 한편에서는 연인들의 다정한 모습도 보인다.

그러나 그런 것은 눈에 들어오지도 않는다.
흐드러지 핀 벚꽃과, 형형색색의 조명으로 아름답게 수를 놓은 듯한 벚꽃
그리고 바람에 날려 허공으로 날아오르는 꽃잎들.
정말로 환상적이다. 그 아름다움을 두고 갈 수가 없어 몇장을 들고 돌아왔다.

이날 쌍계사 벚꽃구경은 남원 선원사(주지 운천스님)의 자장면 봉사단월들의 노고를 위해
새로 마련한 버스를 이용해 다녀왔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