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완주군은 일개 지자체로서는 전통사찰이 가장 많은 곳이다. 완주군 운주면 완창리 대둔산 서남쪽 자락에 자리한 안심사는, 신라 선덕여왕 7년인 서기 638년 자장율사에 의해 창건이 될 사찰이다. 6·25 동란 이전만 해도 무려 30여 채의 전각과 13개의 암자를 가진 대단한 규모의 사찰이었다. 그러나 6·25 때 불에 타버리고 부처님 치아사리를 모신 적멸보궁 부도와, 안심사 비문만이 남아 있을 뿐이었다.

 

천년고찰 대둔산 안심사

 

 

토요일이라 그런지 나들이객으로 인해 길이 막힌다. 안심사를 찾아가기 위해 길을 나섰다. 답답하게 막히던 길이 전주 시내를 벗어나면서 시원하게 뚫렸다. 완주군 운주면은 충남 금산과 논산과 접해 있다. 운주면소재지를 지나 논산 양촌면으로 가는 지방도로에서, 좁은 마을길로 3km 이상을 대둔산을 향해 들어가다가 만나게 되는 안심사. 현재 안심사에는 대광전과 산신각, 삼성각, 요사가 있고, 적멸보궁이 있다.

 

적멸보궁은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탑이나 부도 등이 있을 경우, 전각에 부처님을 모시지 않고 유리 등으로 벽을 내어 탑을 바라볼 수 있도록 만든 전각이다. 안심사 계단 옆에는 대웅전을 세우기 위해 많은 돌들을 나열해 놓았다. 아마 이곳에 묻혀 있던 주초 등을 찾아낸 것인가 보다. 커다란 석물들이 여기저기 널려있는 것을 보니, 과거 안심사의 규모를 대충은 짐작할 만하다.

 

 

 

뛰어난 조각수법이 돋보이는 안심사 석조계단

 

보물 제1434호 안심사 석조계단은 부처님의 치아사리 1과와, 의습 10벌을 봉안하기 위해 조선 중기인 17세기 중반 이후 1759년 이전에 조성하였다. 안심사 석조계단은 1613년 조성된 대구 용연사의 석조계단과 친연성을 갖고 있으나, 조각수법 등은 용연사의 석조계단보다 월등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안심사 석조계단은 앞면과 옆면에 장대석 돌을 놓아 기단을 쌓고, 그 위에 비슷한 크기의 돌 판을 한 줄로 얹었으며 계단 면석에는 연화문과 격자 문양을 조각하였다. 계단의 중앙에는 석종형 부도가 서 있고, 네 귀퉁이에는 장군모양의 차림새를 한 신장상을 사방에 놓았다. 이 신장상들은 신체 부위와 갑옷의 조각기술이 뛰어나다. 앞쪽으로 서 있는 양편의 신장상은 조금 크며, 뒤편의 신장상은 조금 작다.

 

 

 

석종형 부도는 높이가 176cm 정도로 아래는 받침돌을 놓고, 그 위에 부도를 올렸다. 아래편의 받침돌에도 조형을 하였다. 위편 봉우리에 해당하는 부분에도 엷게 조각을 했다. 석조 조형물들은 그 조형 수법이 탁월하고 연화문과 격자문양의 조각수법은 장식성과 섬세함이 뛰어난 조형미를 표현하고 있다. 특히 신장상들의 표정이나 갑옷 무늬 등의 수법은 능에 세워놓은 문인상이나 무인상들보다 더 세련되며, 풍부한 양감을 표현하였다.

 

눈 부라린 신장상에 반하다

 

석조계단의 네 귀퉁이에서 사로 마주하고 있는 무인모습의 신장상. 아마도 사방을 둘러 부처님의 사리를 모셨다는 석종형 부도를 지키기 위한 것인가 보다. 신장상들은 크기에 관계없이 투구를 쓰고 칼을 양손으로 잡고 있다. 칼끝은 아래로 했는데, 금방이라도 무엇을 벨 수 있을 듯하다. 툭 불거진 눈에 주먹코, 굳게 다문 입에 어깨까지 내려온 귀. 얼핏 보아도 석장승과 석불을 혼합시킨 듯한 모습이다. 그러한 신장상들의 모습은 두려움보다는 오히려 친근감이 앞선다.

 

 

 

갑옷의 세세한 부분까지도 표현을 한 안심사 석조계단의 신장상. 어느 곳을 가보아도 이렇게 세밀한 조각수법을 보기가 어렵다. 그래서 안심사 석조계단의 가치를 더 높이는가 보다. 토요일 바쁜 걸음으로 달려간 대둔산 자락 안심사에서, 또 하나의 희열을 맛본다. 불거진 눈으로 사방을 지켜내고 있는 신장상들로 인해서.

전남 구례 화엄사, 하왐사상의 중심지로,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어 화엄종을 널리 알리던 절이다. 신라 후기에는 도선스님에 의해 크게 확장되었다. 회엄사가 더욱 그 사세를 떨친 것은 고려 문종 때이다. 전라도와  경상도에서 화엄사에 매년 곡물을 바치도록 허락해 주었다고 하니, 당시 화엄사의 사세를 알 수가 있다. 이는 고려가 국교를 불교로 했고, 화엄사는 화엄사상의 중심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당시 화엄사 일주문 밖에는 큰 창고를 짓고, 경상도와 잔라도에서 실어오는 곡물을 저장했다고 한다. 화엄사는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7년 만에 여러 건물들을 다시 세웠다. 그 뒤로도 여러 번의 보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많은 전각들이 중창되었다.



각황전 한편에 자리한 사자탑

화엄사 각황전 앞에 난 계단을 오르면 우측에 탑이 서 있다. 보물 제300호로 지정이 되어 있는 이 탑은 <화엄사 사자탑>이다.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의 조성한 독특한 석탑으로, 네 마리의 사자가 길쭉하고 네모난 돌을 이고 있는 모습이다. 이런 형태를 사찰에서는 '노주'라고 부르는데, 무엇으로 사용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가 없다. 일설에는 불사리를 모셔놓은 것이라 하기도 하고, 불가의 공양대로 쓰였을 것이라는 추측만 있을 뿐이다.

기단은 이층으로 꾸며졌으며, 위층 기단을 네 마리의 사자가 머리에 받침돌을 이고 그 위에 비를 받치고 있다. 그 모습은 각황전 뒤 효대에 있는 국보 제35호인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을 모방했으니, 조각수법 등은 이에 미치지 못한다. 조성시기도 사사자삼층석탑보다 뒤인 9세기경에 만든 것으로 보인다.





비의 형태로 만들어진 탑이 독특해

탑을 받치는 역할을 하는 기단은 2단이다. 아래층 기단은 문양이 없는 단순한 석재를 이용해 꾸며 놓았다. 소박하면서도 꾸밈이 없는 모습은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로 넘어갈 당시의 석조물인 듯 하다. 이 탑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인 위층 기단의 각 모서리에 사자상을 놓은 모습이다. 사자들은 비스듬히 밖을 바라다보고 있으며, 그 표정이 각각 다르다.

네 마리의 사자들은 연꽃받침 위에 앉아, 연꽃이 조각된 돌을 머리에 이고 있다. 아마 불교적인 형태를 강조하기 위한 조각품으로 보인다. 이런 조각을 보아 이 사자탑ㅁ이 사리탑이었을 것이란 조심스런 추정을 해본다. 네 마리의 사자가 몸돌의 받침돌을 이고 있는데, 탑신에는 직육면체 모양의 몸돌이 있다. 몸돌의 각 면에는 직사각형의 테두리를 둘렀으며, 그 안에 신장상을 조각하였다. 몸돌 위에는 1장의 판돌이 있는데, 밑면에는 연꽃이 새겨져 있고 윗면에는 반구형의 돌이 솟아 있다.



몸돌에는 네모나게 판 후 그 안에 신장상을 조각하였다.

무엇에 쓰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는 화엄사 사자탑. 아마 당시에는 소중한 절의 기물로 여겼을 것이란 생각이다. 수많은 불교 유물이 전하지만, 아직은 지식이 모두에 미치지 못함이 안타깝다. 사자탑을 돌아보면서도 여러가지 생각을 해보지만, 짧기만한 지식을 어찌하랴. 해가 떨어지는 시간에 더 지체를 못하고, 아쉬움으로 뒤만 연신 돌아본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