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시골마을을 돌아다니면서 마을회관을 찾아가고는 한다. 옛소리라고 부르는 우리 소리를 듣기 위해서다. 우리 소리란 생활 속의 소리다. 예전에는 모든 작업이 소리와 함께 이루어졌다. 그것은 소리를 하면서 노동에서 오는 피로를 조금은 가셔보고자 하는 뜻도 있으나, 그것보다는 힘든 세상살이를 소리를 하면서 잊고자 하는 데 있었을 것이다.

  

슬픈 여인의 시집살이 죽음으로 끝나

 

진주난봉가라는 소리가 있다. 이 소리는 유명하다. 모 가수도 이 소리를 불렀고, 전문소리꾼들이 소리를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렇게 꾼들에 의한 소리보다는, 연세가 지긋하신 할머니들의 곡조 없는 탄식조의 소리가 더 일품이다. 요즈음처럼 선율이 있는 노래로는 가치가 떨어질 수도 있지만, 자탄가조의 소리야말로 인생살이가 그 안에 있기 때문이다.

 

 

울도 담도 없는 집에 시집살이 삼년 만에

시어머니 하시는 말씀 애야 아가 며늘아가

진주낭군 오실 테니 진주남강 빨래가라

진주남강 빨래가니 산도 좋고 물도 좋아

우당탕탕 빨래하는데 난데없는 말굽소리

고개 들어 그곳 보니 하늘같은 갓을 쓰고

구름 같은 말을 타고서 못 본 듯이 지나간다

울도 담도 없는 집에 시집살이 삼년 만에

흰 빨래는 희게 빨고 검은 빨래 검게 빨아

집이라고 돌아와 보니 사랑방이 소요하다

시어머니 하시는 말씀 애야 아가 며늘아가

진주 낭군 오셨으니 사랑방에 들어가라

사랑방에 나가보니 온갖 가지 안주에다

기생첩 옆에 끼고 권주가를 부르더라

 

시집살이는 정말 어렵다. 그런데 그 시집살이 동안 낭군은 어디에 가 있었는가? 그리고 그 간 곳이 왜 하필이면 진주였을까? 이 소리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나타난다. 그런데도 왜 하필이면 '진주낭군'이란 표현을 했을까?

 

예전 진주에는 교방청이 있었다. 교방청이란 관아에 속한 무기(舞妓)들을 교육시키던 기관이다. 이 교방청에 속한 무기들은 춤, 소리, 악기뿐만 아니라 글과 그림도 배웠다고 한다. 현재 진주팔검무, 진주교방굿거리, 진주승전무 등의 춤은 모두 이 교방청에서 배울 수 있는 기능 중 하나이다.

 

그런데 이 교방청이 진주에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아마 이렇게 진주낭군이란 용어가 나오게 된 것은 <고려사 악지>에 보이는 진주의 사록 위제만과, 진주 기생 월정화의 이야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 든다. 고려사 71권 악지에 보면 '월정화는 진주 기생이다. 사록 위제만이 그녀에게 매혹되어 그의 부인이 울화가 나서 죽었다. 진주 사람들이 그 여인을 불쌍히 여겨, 살았을 때 서로 친하지 않았음을 안타까워하고, 사록이 여색에 빠졌음을 풍자한 것이다'라는 기록이 있다.

  

한사모시관에 전시된 베짜는 여인의 인형. 예전 여인들은 밤새 베를 짜 생계를 유지하기도 했다.

 

사랑방에 나가보니 온갖 가지 안주에다

기생첩 옆에 끼고 권주가를 부르더라

울도 담도 없는 집에 시집살이 삼년 만에

이것을 본 며늘아기 아랫방에 물러나와

아홉 가지 약을 먹고서 목매달아 죽었더라

이 말들은 진주낭군 버선발로 뛰어나와

내 이런 줄 왜 몰랐나 사랑사랑 내사랑아

화륫정은 삼년이요 본댁정은 백년인데

내 이럴 줄 내 몰랐다 사랑사랑 내 사랑아

너는 죽어 꽃이 되고 나는 죽어 벌나비 되어

남녀차별 없는 곳에서 천년만년 살고지고

 

이렇게 진주 낭군을 기다리던 본댁은 화류계의 여성으로 인해 죽어 버렸다. 여기서 이 진주낭군이란 소리가, 위제록과 월정화로 인해 창출된 소리라는 것이 믿음이 간다. 우리 여인네들이 부르는 소리에는 남편이 바람이 나면, 그 대상이 화류계 여성이 아닌 첩을 상징하는 '시앗'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진주라는 지역과 화류계 여인으로 인한 죽음이었다는 것이 진주낭군(진주난봉가)의 이야기다. 이렇게 허무하게 본댁이 죽고, 그나마 그 죽음을 보고 진주낭군이 정신을 차렸다는 것으로 소리가 끝을 맺는다. 하지만 이미 죽고 나서 후회를 한들 무엇 하리. 아마 그 죽음에 대해 책임을 면해보려고 했던 것이나 아닌지 모르겠다.

 

할머니들이 들려주시는 대반전의 소리

 

그런데 이 진주난봉가를 뒤집는 소리가 있다. 반전도 이런 반전이 있다니. 한 마디로 소리의 극치란 생각이다. 이 소리는 진주낭군이 바람을 피웠다는 것은 동일하다. 하지만 진주난봉가처럼 사설도 많지가 않다. 그러면서도 할 말을 다했다. 여기서 나타나는 것은 화류계 여성이 아닌 '시앗'이다. 그 시앗에 미쳐 진주낭군이 돌아오지를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본댁은 날마다 모시삼기를 하고, 베를 짜면서 날을 지새운다. 그러다가 편지를 한 장 받았다는 것이다.

 

주야공산 긴긴밤을 전지바탕 마주보고

무릎일랑 걷어제쳐 뽀둑비벼 삼은모시

서울님을 줄것인가 진주낭군 줄것인가

오동잎이 누러질때 감골낭군 줄것인가

편지왔네 편지왔네 진주낭군 편지일세

한손으로 받아들고 두손으로 펼쳐보니

시앗죽은 편지고나 옳다그년 잘죽었다

고기반찬 비리더니 소금반찬 고습구나

 

한산 모시관을 찾아가면 직접 작업을 하는 모습을 볼 수도 있다.


서방인 진주낭군이 보낸 편지를 받아보니, 그 밉상이던 시앗이 죽었다는 편지다. 그래서 고기반찬도 맛이 없던 시집살이가, 소금반찬까지도 고소해졌단다. 참 시앗이 무엇인지. 그 시앗이 죽어 시집살이가 좋아질 것이란 기대와 함께 절로 콧노래가 나온다. 이 정도면 우리소리의 멋이 무엇인지 알만하다.

 

세태가 변하면서 퇴폐산업이 극에 달했다고 한다. 집안에 있는 여인들은 막장드라마를 보면서 은근히 걱정을 하기도 한다. '우리 남편도 나가서 저런 짓을 할까?'라는 걱정 말이다. 그런데 이 소리를 들어보면 그 걱정하던 속이 확 풀린다. 그래서 지난 세월, 우리 할머니들과 어머니들이 참고 살았던 것은 아니었을까? 이 한 소리로 진주낭군의 본댁은 한풀이가 되었을 것이다. 여인들은 그런 맛에 산다. 시앗이 죽었다는 소리를 듣고 싶기도 하고. 그런데 요즈음도 시앗을 보는 간 큰 남자들이 있으려나

여자가 세상에 태어나서 성혼이라는 것을 하면 ‘시집살이’가 시작이 된다. 그 시집살이가 얼마나 고되었는지는, ‘시집살이 노래’의 사설을 보면 알 수가 있다. 오죽하면 ‘시집살이 개집살이’라는 말이 나왔을까? 그런데 말이다, 요즈음 이 말이 실감이 난다고 한다. 정말 개만도 못한 세상살이를 하는 분들이 있기 때문이다.

언젠가 소리를 취재하러 일 년 간을 경기도 지방을 돌아다닌 적이 있다. 신문에 연재를 하기 위해서였는데, 벌써 10여년이 훌쩍 지나버렸다. 그 때 어느 분께서 “요즈음은 시어머니 시집살이가 아니라, 며느리 시집살이를 한다.”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예전 시집살이란 그야말로 시어머니와 시누이 때문에 하던 시집살이였다.

한국민속촌에서 베짜기 시연. 이 기사와 관계없음

바뀐 세상풍속도, 이젠 살만한가?

성님성님 사촌성님 시집살이 어떱디까
동생동생 말도마라 시집살이 개집살이
시집살이 삼년만에 삼단같은 머리채는
짚덤불이 되었구나 곱디고은 내손일랑
두껍잔등 되었구나

시집살이 소리를 들어보면 과거의 우리 어머니들이 얼마나 심한 고통 속에서 살아왔는가 알 수가 있다. 새벽에 일어나 소여물을 쑤고 밥을 해서 가족들을 먹이고 나면, 텃밭으로 나가 일을 한다. 그런 다음 밭에 나가 일을 하는 사람들의 참을 준비한다. 그리고 집으로 돌아오면 빨래 등 집 안 일을 해야만 한다. 그리고는 점심준비에 또 일을 해야 하는 하루의 일.

오후가 되면 또 계속되는 일이 있다. 저녁이 되면 밥을 준비해야 하고, 저녁밥상을 물리고 나면, 바느질이며 길쌈을 해야만 한다. 하루 종일 일을 해도 모자라는 시간. 새벽녘이 되어야 겨우 잠자리에 들어 발을 뻗을 수가 있었다. 이런 시집살이를 해 온 것이 바로 우리네의 어머니들이었다.

그런데 이렇게 심한 일상을 견디며 살아온 시간. 이 시대에 또 다시 시집살이를 한다는 것은 무슨 일일까?

“예전에는 시어머니와 시누이 눈치를 보면서 시집살이를 했는데, 이젠 며느리 눈치를 보면서 시집살이를 해”

그렇단다. 세상이 바뀌어서 조금은 편안해 질 줄 알았는데, 이제는 며느리 시집살이를 한다는 이야기이다. 물론 모든 시어머니들이 다 그런 것이야 아닐 것이다.


개보다 못한 시어머니의 처지

아침에 나가면 밤늦게나 들어오는 것이 요즈음의 하루 일과이다. 하루가 어떻게 지나가는지조차 모르고 살아간다. 글 하나 쓰는 것도 시간에 쫒기면서 살아간다. 이런 나날이니 어디 마음 놓고 운동이나 제대로 할까? 모처럼 일요일에 잠시 바람을 쏘이러 나갔다. 오랜만에 한 낮에 천천히 걷는 길에서 모처럼의 여유를 느껴본다.

저만치서 다가오는 사람들의 모습이 보인다. 아마 저들도 나처럼 길을 걸으면 여유를 부리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두 사람을 보니 고부이인 듯하다. 속으로 참 사이좋은 시어머니와 며느리란 생각을 한다. 갑자기 바람도 불고 날도 쌀쌀해진 날이다. 그런데 노인의 옷이 이런 날씨에 좀 추울 것 같은 차림이다.

가까이 다가오는 사람들을 보니 젊은 여인은 옷을 참 따듯하게도 입었다. 그리고 품 안에는 애완견 한 마리가 안겨있다.

“어머니, 빨리 좀 걸으세요. 우리 아이가 춥데요”
“아이고, 숨차니 먼저들 어여 가”
“얘 감기라도 걸리면 어떻게 해요”

감이 온다. 시어미니와 며느리가 개를 데리고 산책이라도 나온 것이다. 그런데 날이 추우니 걸음을 빨리 못 걷는 시어머니를 재촉을 하는 것이다. 그 감기가 걸리겠다고 걱정하는 아이라는 것이 바로 품 안에 안고 있는 애완견을 말하는 것이다. 품 안에 안고 옷으로 감싼 개가 감기가 걸린다고, 시어미니를 닦달하고 있는 것이다. 목소리의 톤이 부드럽지가 않다.

추운 날 철에 안 맞는 얇은 옷을 입고 계신 시어머니. 거기다가 연세가 많으시니 걸음 도 늦다. 그런 시어머니를 보살피지는 못할망정, 개가 감기가 든다고 나무라는 며느리. 자신은 두툼하게 옷을 입고 있으면서도 어째 어른은 저렇게 챙겨드렸을까? 집안에서 키우는 애완견을 간수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 것이 아니다. 뻔한 젊은 며느리의 시어머니에 대한 마음 씀씀이다. 어른을 제대로 보필하지 못하는 사람이다. 개가 감기가 걸린다고 시어머니를 재촉하는 이 며느리. 이것이 요즈음 신 풍속도란다.

세상이 바뀌었다. 하지만 어른을 공경해야 하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다를 바가 없다. 그 숱한 세월을 고통으로 살아오신 분들이다. 이제 그 분들이 개만도 못할 대우를 받고 살아서야 되겠는가? 세상의 모든 며느리들에게 묻고 싶다.

“혹 당신의 집에는 개만도 못한 대우를 받고 있는 시어머니가 계시지는 않은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