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을 즐길 수 있는 아름다운 길 둘

 

경기도청의 벚꽃이 만개를 했습니다. 그런 길을 따라서 걷다가 보면, 사람들은 괜히 기분이 좋아집니다. 자연친화적인 길이나 흐드러지게 핀 꽃들이, 사람들의 마음을 치유한다는 것은 그래서인가 봅니다. 벚꽃 길을 벗어나 팔달산 위로 오르다가 보면, 진달래가 여기저기 소나무와 다른 색조를 띠며 피어 있습니다.

 

팔달산을 싸안고 있는 성곽. 화성은 그렇게 자연을 보듬어 안고 길게 누워 있습니다. 연분홍 진달래가 성벽에 기대다시피 피어 있습니다. 소나무 숲길을 따라 심호흡을 한 번 해봅니다. 짙은 솔향이 가슴으로 밀려들어 옵니다. 바로 이런 숲이 내음으로 인해 이 길이 좋아지는가 봅니다.

 

 

흙을 만나는 즐거움

 

사실 길이란 것은 어디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도심의 한 복판에서 먼지가 이는 흙길을 밟을 수 있다는 것은 큰 행복입니다. 그 길을 밟는 것만으로도 힐링이 된다고 하니까요. 천천히 화성의 바깥 길을 남쪽으로 따라 걸어봅니다. 걷다가 눈을 돌려보니 진달래가 지천에 깔려 있습니다.

 

419(), 역시 4월의 꽃답게 푸른 소나무 숲 아래 그렇게 수줍게 피어있습니다. 4월에 만난 진달래는 언젠가 헤어짐에 눈물을 흘리던, 아련한 여인을 생각나게 합니다. 이 계절만 되면 한 번씩 몸살을 앓는 것도, 진달래를 닮은 여인 생각이 나기 때문인가 봅니다. 저만큼 화양루의 지붕이 삐죽 얼굴을 내밀고 있습니다.

 

 

 

앞서가던 여인이 눈앞에서 사라졌습니다. 화양루 바깥 길을 돌아 다시 북쪽으로 성곽이 이어집니다. 그곳을 천천히 걸어봅니다. 화성을 바라보고 핀 작은 꽃들이 성벽을 기어오르기라도 할 것처럼 성을 향해 고개를 돌리고 있습니다.

 

자연을 만날 수 있는 화성 외곽 길

 

성벽 밑으로 까치 한 마리가 부리로 연신 땅을 쪼아댑니다. 아마 그곳에 무엇인가 먹을 것이라도 있는 모양입니다. 사람이 가까이 가도 도망갈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소나무 숲에는 진달래가 가득합니다. 그 색의 조화가 정말 오묘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누가 이렇게 아름다운 색채를 표현 할 수 있을까요? 자연의 신비가 경이롭게 느껴집니다.

 

 

화양루 밖에서 용도를 따라 걷다가 보면, 그 끝에 암문과 포사가 보입니다. 그리고 길에는 진달래들이 피어 있어, 코를 벌름거리면서 걸어도 봅니다. 팔달산의 봄을 마음껏 맡아보는 것이죠. 누군가 힐링을 하는 듯 붉은 진달래 틈으로 걸어갑니다. 이렇게 아름다운 길이 팔달산에 있습니다. 그것도 도심 한 복판에 말입니다.

 

어찌 수원이란 곳이 아름답지 않겠습니까? 이런 맨흙을 밟으면 걸을 수 있는 길이 지천에 널려있기 때문입니다. 물과 바람, 산과 숲, 그리고 자연과 이야기를 하는 성곽. 이것이 바로 화성 외곽 길입니다. 정말 걷고 싶은 그런 길입니다. 이 길만 걸으면 자연과 하나가 되어, 살고 있다는 것이 얼마나 큰 행복인가를 알 수가 있습니다.

 

 

사람과 자연이 만나는 곳

 

화성을 흔히 자연이라고 표현합니다. 그만큼 화성은 자연적 지리를 최대한 활용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느 한 곳, 자연을 벗어나지 않습니다. 그저 자신이 자연인 양, 그렇게 조용히 자리를 틀었기 때문입니다. 가파른 언덕을 내려오다가 보면 약수터가 보입니다. ‘팔달약수터’, 걷느라 마른 목을 축일 수가 있습니다. 이 또한 팔달산이 갖는 아름다움입이다. 그저 누구에게나 많은 것을 주기 때문입니다.

 

시원한 물 한잔을 마시고나면 성곽을 도로가 지나기 때문에, 아치형으로 성을 조형해 길에게 자리를 내준 곳이 있습니다. 이 아치형의 입구는 예전에 내 것이 아닙니다. 이곳은 19일에 벚꽃이 만개를 했다가, 이미 바람에 꽃잎이 날리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사람들은 그 아름다움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기에 바쁘고요. 벚꽃과 화성은 그렇게 하나인 양, 딱 달라붙어 있습니다.

 

 

봄을 즐길 수 있는 아름다운 길 둘은 화성의 외곽 길 중 남쪽길입니다. 팔달산 남쪽 끄트머리에 자리한 화양루에서 팔달문까지. 그렇게 자연과 숲, 꽃과 바람이 하나가 되어 걸었습니다. ‘힐링제대로 한 셈이죠.

길은 어디나 있다. 그리고 사람들은 그 길을 이용한다. 지금이야 차를 갖고 다니기 때문에, 차를 타고 휑하니 달려가 볼일을 보고는 한다. 그러나 예전에는 걷거나 말을 타지 않으면 다닐 수가 없었다. 그렇게 다니던 길이 이제는 나름대로 멋진 이름을 붙여 다시 태어나고 있다. 그 길을 걷는 재미에 빠지면, 길이 다시 보인다.

전주 이목대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4대조인 목조 이안사가 살던 곳이다. 시조인 이한 때부터 누대에 걸쳐 살던 곳으로, 조선개국을 칭송한 「용비어천가」에 이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고려 우왕 6년인 1380년 금강으로 침입한 왜구는 군선 5백 척을 진포(군산)에 대놓고 백성들을 괴롭혔다. 우왕은 수군을 총지휘하던 최영에게 명하여 이를 무찌르게 하였는데, 패전한 왜군은 퇴로를 찾아 남원으로 내려왔다. 이성계는 이들을 맞아 운봉싸움에서 대승을 거두고 돌아오는 길에, 오목대에서 개선 잔치를 베풀었다고 전한다.


조선개국의 뜻을 품은 길

한옥마을에서 오목대를 오르는 길은 나무계단으로 조성을 하였다. 오목대길은 가끔 산책을 나가기도 하는 곳이지만, 하필 가장 찜통이라는 날을 골랐다. 그래도 나선 길이니 어찌하랴 천천히 계단을 오르면서 돌아보니, 한옥마을의 지붕들이 줄을 지어 보인다. 사람들은 연신 한옥마을을 촬영하느라 카메라를 들이대고 있다. 마을을 찍기 좋은 장소를 골라, 사진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한 마음이 따듯하다.




이목대로 오르는 길은 나무계단이다. 위로 오르면 한옥마을을 내려다볼 수 있다.
한옥마을이 옛날 이야기의 한 장면처럼 펼쳐진다.

낮은 야산이지만 숲이 좋은 길이다. 여기저기 산책로를 만들어 놓아, 사람들이 다닐 수 있도록 배려를 해놓았다. 오목대로 오른다. 그 옛날 이성계가 운봉으로 출동하여 황산에 진을 치고 적과 싸우다가, 왜장 ‘아지발도’를 죽이는 전과를 올렸다. 이성계는 승전을 하고 귀경 도중 전주에 있는 종친들을 모시고 승전축하연을 이 오목대에서 베풀었다는 것이다. 이성계는 이 자리에서 한고조가 불렀다는 ‘대풍가’를 불렀다. 대풍가는 유방이 항우를 물리치고, 고향에서 종친을 모시고 읊은 시가 아니던가. 바로 한나라를 세우겠다는 마음을 은연중 내비친 시이다.

오목대를 비켜서면 이목대가 있다. 보호책을 둘러놓은 이목대 전각 양편으로는 배롱나무 두 그루가 문지기라도 된 양 꽃을 피우고 있다. 전각 안에 비석은 바로 고종황제가 친필로 썼다는 「태조고황제주필유지」라 쓰여 있다. 결국 이곳 이목대와 오목대는 조선이라는 한 나라가 출발하는데 있어, 그 뜻이 모인 곳이다.




오목대와 이목대. 오목대는 이성계가 승전을 하고 잔치를 벌인 곳이며,
이목대는 이곳이 이씨들이 살던 곳임을 알려주는 표지이다.

매미소리 시원한 당산 길

이목대를 지나면 아래로 내려가는 길이 있다. 나무계단을 따라 내려가면 시원한 숲길에서 매미소리가 시끄럽다. 아마 마지막 더위를 아쉬워하는 듯하다. 내리막길에 커다란 당산나무 한 그루가 보인다. 500년 동안 전주 한옥마을의 안녕을 기원해 온 나무이다. 매년 음력 정월 보름에 이곳에서 정결하게 제를 올린다는 것이다.



마을의 안녕을 비는 제를 올리는 당산나무

다시 한옥마을 들어가기 전에 양산재 길로 향한다. 여기저기 목책의자들이 정겹게 놓여있다. 이 찜통더위에 잠시라도 숨을 돌려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자리에 않는다. 여기도 역시 낙서는 빠지지 않는다. ‘윤진아 사랑해 - 남편’이란 글이 시야에 가득찬다. 얼마나 사랑하고 있을까? 이런데 낙서를 하면 그 사랑이 깊어지는 것일까? 괜한 헛웃음만 허공에 날리고 있는데, 더위에 날기를 지친 나비 한 마리 나뭇잎에 숨을 고른다.



쉴수 있도록 마련된 나무의자. 이 길에는 나무의자들이 많이 있다.
누군가 한 낙서와 따라오던 나비 한 마리가 같이 날개를 쉰다.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 1가 산 1 - 1에는 <소리문화의 전당>이 있다. 소리문화의 전당 뒤편 숲은 전북대학교의 학술림이다. 이곳은 더위를 피해 찾아드는 사람들로 여름이면 사람들이 찾아들어 꽃을 피운다.

이 학술림은 1964년 3월 5일 지정이 되었으며, 면적은 총 138,19ha이다. 전주시 덕진동, 송천동, 금암동, 인후동 일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주요 수종으로는 느티나무, 단풍나무, 상수리, 편백, 히말라야시다 등이 자라고 있다.


한 여름 최고의 피서지 편백나무 숲

소리문화의 전당을 뒤로하고 숲길로 접어들었다. 흙길을 밟으며 조금 걸어가니 삼거리에 이정표가 보인다. 장덕사 860m, 대지마을 430m, 오송제 360m 라는 푯말이 보인다. 운동을 하느라 숲길을 걷는 분들에게 길을 물어 편백나무 숲으로 향했다. 오송제(오송지)라 쓴 푯말을 따라 조금 걸어가니 사람들이 숲속에 앉아 더위를 피하고 있다. 편백나무 숲이다.



한 여름에도 더위를 느낄 수 없는 편백나무 숲

이곳은 하늘 높게 자라고 있는 편백나무가 빼곡 들어차 있다. 여기저기 사람들이 앉아 담소를 나누고 있고, 숲 안쪽에는 누구인가 텐트를 쳐 놓았다. 한편에는 자리를 펴고 책을 읽는 모습도 보인다. 다람쥐 한 마리가 사람들도 두려워하지 않고 뛰어다닌다. 길을 바꿔 작은 소로로 접어들었다. 풀 냄새가 싱그럽다. 발에 밟히는 땅의 감촉이 좋다. 맨발을 벗고 땅을 밟으니 축축하게 물기를 머금고 있다. 고운 흙이 발가락 사이를 비집고 올라온다.


음산한 플라타너스나무 숲

흙이 고운 길을 걸어 숲길을 벗어나니 차가 다니는 큰 도로가 나온다. 건너편을 보니 플라타너스나무들이 줄지어 서 있다. 길을 건너 플라타너스나무 숲으로 들어갔다. 그런데 영 기분이 안 좋다. 시내에 있던 가로수를 딴 수종으로 교체하면서 이곳으로 플라타너스나무들을 옮겨왔다고 한다. 촘촘히 심어 놓은 나무들은 성한 것이 별로 없다.

그 중에는 죽어 썩어진 것들도 있고, 아랫부분만 남기고 뭉텅 잘라진 것들도 있다. 거기다가 나무들을 너무 가깝게 심다보니, 가지들이 옆으로 뻗지를 못하고 위로만 자라났다. 한 마디로 음산한 풍경이다. 아마 비라도 추적거리고 내리는 날이면 아무도 이곳을 들어오지 않을 것만 같다. 동행을 한 분이 한 마디 하신다.


음산한 분위가가 나 대낮에도 사람들이 피하는 플라타너스 숲

“이 곳은 정말 기분 나빠요. 대낮에도 무엇인가가 자꾸 뒤를 따라오는 것 같아서요” 그럴 만하다. 어떻게 나무를 이렇게 만들어 놓았을까? 그래도 한 때는 전주시의 가로수 길을 시원하게 그늘을 만들었던 나무인데.

온갖 수종을 느끼면서 걸을 수 있는 길

숲을 한 바퀴 돌아 원점으로 돌아왔다. 대지마을 쪽으로 돌아와 반대편인 장덕사 방향으로 길을 잡았다. 더위에 이미 몸은 땀으로 흠뻑 젖었지만, 숲속의 향에 취해, 그런 것은 잊은 지가 오래이다. 편백나무 숲이 앉아 쉬는 사람들이 많다면, 이 길은 걷기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작은 꽃들이 여기저기 피어 지나는 사람들의 눈길을 끌어 다닌다.




걷다가 보니 하늘이 보이지 않는 컴컴한 숲길이 나타나기도 한다. 길은 어디나 있다. 숲길 역시 마찬가지이다. 어디나 펼쳐진 숲길은 나름 제멋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숲길은 늘 신선하다. 소리의 전당 뒤편 전북대학교 학술림. 1시간여를 땀을 흘리며 돌아본 길. 다양한 모습으로 다가오는 전주 소리의 전당 주변의 숲길에는 참 많은 이야기꺼리를 만들어준다. 그래서 길을 걷는 것이지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