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고나란 예전 작은 양철로 된 용기에 설탕과 소다를 넣어 연탄불에 올려놓으면 설탕이 녹는다. 그것을 철판 위에 붓고 비행기, 짐승 등을 조형한 강철로 만든 틀을 눌러 그 모형대로 따내던 또뽑기 놀이였다.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달고나는 전혀 다르다. ‘달빛아래 고색(古色)을 배경삼아 놀자꾸나.’가 달고나란다.

 

그렇다고 매번 달이 뜰까? 안 뜨는 날은 마음에 달을 하나 만들면 된다. 고색은 수원 화성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아름답다는 방화수류정 앞에 조성한 용연이 놀이터이다. 한 마디로 화성에서 가장 아름다운 방화수류정 앞 용연에서 한번 놀아보자는 것이다. 13일 토요일 8, 용연 주변에는 1,000명 정도의 관람객이 무대 맞은편에 자리를 잡았다.

 

 

용연 안에는 작은 인공섬이 있다. 그 섬에 가교를 설치하고 무대를 마련했다. 그 무대에서 한 시간 정도를 질펀하게 놀자는 것이다. 노는데도 격이 있다. 한 마디로 여긴 노는 물이 다르다. 수원문화재단에서 913일부터 1011일까지 매주 토요일 밤에 마련한 달고나는 국악과 다양한 장르를 결합시킨 공연이다.

 

남사당놀이와 춤이 결합된 젊은 놀이판

 

13일 오후 8시부터 무대에서 조명이 켜지면서 함께 태평소 소리가 들린다. 이어서 12명의 젊은 남녀들이 무대 위로 올랐다. 이 친구들 쉴 새 없이 춤을 추어댄다. 오빠는 강남스타일로 시작한 춤은 온갖 걸그룹들의 춤과 2000년대 박남정의 춤까지 정신없이 이어진다. 넌버벌 퍼포먼스 <The Club >이 만들어가는 무대이다.

 

 

이 친구들 복장을 보니 클럽께나 다녔던 친구들이다. 춤 또한 예사롭지가 않다. 시간여행으로 조선조 말기 남사당까지 이어진 놀이판은 결국 진도북춤과 소고춤, 그리고 난타와 버나, 살판 까지 들고 나왔다. 구경하는 사람들은 흥이 난다. 장단에 맞추어 손뼉을 치다가 손바닥이 얼얼한지 손을 흔들기도 한다.

 

젊은 사람들이 참 재주도 많다. 클럽에서 노는 날라리들인 줄로만 알았는데 하는 양을 보니 풍물께나 접한 친구들이다. 한바탕 춤을 추고 난 뒤 한 젊은 처자가 호주전통 악기인 디저리두를 들고 자리에 앉았다. 디저리두 연주를 하는 동안 무대 위에 슬그머니 북을 갖다 놓는다. 두드림의 미학이라는 난타를 해보겠다는 심산이다.

 

 

이 사람들 어쩔 것이여? 밤새 놀아봐?

 

난타연주가 끝나자 사물패가 먼저 장단을 치면서 무대에 올랐다. 그리고 층이 진 아래무대에 젊은 처자 둘이 북을 메고 나온다. 진도북춤 한 판을 신바람 나게 출 모양이다. 난장을 펼칠 남사당의 장단에 진도 북춤 한판이라. 기대를 하게 만든다. 춤을 추는 선이 아름답다. 뒤편 방화수류정에서 예전 정조대왕도 이렇게 용연의 춤을 즐기지는 못했을 텐데. 그런 생각을 하니 미안한 마음도 든다.

 

탈을 쓴 이매가 나와 춤을 춘다. 춤이라고 하기보다는 젊음의 몸짓이라고 보아야 할 것 같다. 그래도 언젠가 몸에 익으면 제대로 된 몸짓 한 번 보여줄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이다. 버나잽이가 접시를 돌린다. 커다란 버나 하나를 들고 나온 친구가 사람들을 웃긴다. 이 친구들 나이에 비해 사람들을 즐겁게 만들 줄을 안다.

 

 

다시 처자 둘이 소고를 들고 나왔다. 사물에 맞추어 소고춤을 멋들어지게 춘다. 조금은 미숙한 면이 더 미소를 짓게 만든다. 살판을 하는 땅재주꾼들이 사람들을 즐겁게 만든다. 박수를 치는 사람들도 무대에서 재주를 펴는 사람들도 즐겁기는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열두발 상모가 무대에 올랐다. 걱정하던 일이 벌어졌다. 좁은 무대에 마음대로 돌리지 못하는 상모가 몸을 치감는다.

 

그래도 관객들은 아랑곳 하지 않는다. 이미 이 젊은이들의 놀이판에 푹 빠져들었기 때문이다. ‘오늘 어디 밤새 한 판 벌려봐라는 소리들을 하지만, 1초도 쉬지 않고 이어진 클럽 판의 무대는 꼭 한 시간 만에 조명이 꺼져버렸다. 마음속에 아쉬움만 남겨 놓은 채.

 

기온이 30도를 웃도는 날씨에 공연 관람을 하는 구경꾼들도 그늘로만 찾아든다. 우리 전통춤은 의상이 화려하다. 화려한 만큼 여러 겹을 끼어 입기도 한다. 그냥 가만히 서 있어도 땀이 줄줄 흐르는데, 이 무더위에 여러 겹으로 된 의상을 입고 춤을 춘다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토요일마다 행궁 정문인 신풍루 무대에서 열리는 토요상설공연. 다양한 공연들을 접할 수 있는 이 상설무대는, 토요일 오후 2시부터 한 시간 정도가 공연이 된다. 이날 경기전통춤연구회가 관객들에게 선보인 춤은 모두 네 가지이다. 축원무, 교방굿거리, 소고춤과 화관무로 관객들로부터 많은 박수를 받았다.

 

 

춤이 좋아 모인 사람들

 

경기전통춤연구회(회장 성희자, 여, 58세)는 20명의 회원을 갖고 있다. 이 연구회에는 무용 전공자 6명이 함께 공연에 임하고 있으며, 비전공자 역시 10년 가까이 춤을 추워온 사람들이다.

 

“저희 경기 전통춤 연구회는 원래 춤누리 무용단으로 활동을 시작했어요. 그러다가 경기전통춤연구회가 태동을 하게 됐고, 춤누리 무용단은 아직도 계속 활동 중이고요. 춤누리 무용단에도 전공자가 3명 정도 끼어서 춤을 이끌고 있어요.”

 

성희자 회장은 원래 춤을 전공하지는 않았다고 한다. 그저 춤이 좋아서 젊을 때부터 춤을 추기 시작했고, 결혼을 하고 아이가 생기자 자연히 춤에서 멀어지게 되었다는 것. 아이들을 키워놓고 난 후 춤에 대한 미련을 버릴 수가 없어, 35세에 다시 춤을 추기 시작했다고 한다, 벌써 23년 째 춤을 추고 있는 것.

 

 

“그동안 내로라하는 선생님들을 찾아다니면서 춤을 배웠어요. 춤을 배우느라 팔도 안 다닌 곳이 없을 정도예요. 어느 선생님이 춤이 좋다고 하면 쫓아가서 배우고는 했죠. 지금은 청소년문화센터에서 월, 수, 금 회원들과 함께 춤을 추고 있어요.”

 

무더운 날 춤을 추고 나면 속까지 시원해

 

춤을 추고나면 분장실로 사용하는 곳으로 달려가 옷부터 훌훌 벗어 버린다. 땀이 많이 흐르는 탓도 있겠지만, 몇 겹으로 끼어 입은 의상으로 인해 견딜 수 없는 무더위 때문이다. 분장을 한 얼굴과 팔 등에도 땀이 흐르고 있다. 회원들은 이 무더위 속에서도 그렇게 행궁을 찾아 온 관객들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춤이 아름답다고 했던가? 그 아름다운 춤 뒤에는 이렇게 고통을 안고 가는 춤꾼들이 있기 마련이다.

 

“올해 저희가 상설공연은 행궁 광장에서만 5회 정도 하게 돼요. 저희가 분기별로 3~5회 정도 봉사공연을 하니, 일 년이면 20회 정도 공연을 하죠. 이렇게 무더운 날은 사실 회원들에게 정말 미안하기도 하고요. 그러나 춤이 좋아서 모인 사람들이라, 다들 열심히 하고 있죠.”

 

의상을 벗고 손 부채질을 하고 있던 한 회원은 ‘이렇게 땀을 흘리고 춤을 추고나면 속까지 다 시원해져요’란다. 일 년에 몇 번 정도는 단원들이 돈을 모아 음식 등을 장만해 봉사와 공연을 하기도 한다는 경기전통춤연구회원들. 무더위 속에서 지쳐있는 회원들에게 기념촬영을 하자고 말을 하기도 미안하다. 하지만 기꺼이 나와서 포즈를 잡아주는 회원들을 보면서, 전공자들도 그렇지만 비전공자들도 이미 아마추어가 아니란 생각을 한다.

 

 

“저희 경기전통춤연구회는 2년에 한번 정기공연을 하고 있어요. 올 해가 공연을 하는 해라 11월 1일 청소년문화센터 온누리아트홀에서 정기공연을 가져요. 올해는 그 준비로 회원들이 많이 힘들지만, 그래도 춤이 좋아서 모인 사람들이라 모두 열심히 따라주죠.”

 

춤이 좋아서 모인 사람들. 그리고 30도가 넘는 무더위에도 아랑곳 하지 않고, 관람객들을 위해 땀을 흐리는 사람들. 화려한 의상을 입은 겉으로만 아름다운 것이 아니다. 그 속까지도 아름다운 사람들에게 큰 박수를 보낸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