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를 지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소다. 소는 우리 농사에 있어서는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동반자다. 그래서 시골에서는 이 소 한 마리가 열 사람의 몫을 감당해 낸다고 한다. 봄에 모심기를 하기 위해서나 밭을 갈 때는 소에 쟁기를 달아 밭을 갈거나 논을 갈아야 한다. 이렇게 농사일을 할 때는 그냥 소를 모는 것이 아니다. 소와 상응하는 소리를 하면서 밭갈이를 한다.

 

어여~ 으라라차농사꾼이 논을 가는 소를 몰면서 하는 소리다. 이 소리를 할 때는 흡사 소와 이야기를 나누는 듯하다. 소를 짐승이라는 차원이 아니라, 같은 동질의 동반자라는 개념 때문이다. 그래서 친구와 이야기 하듯 소몰이 소리를 하는 것이다. 양평군 양동면에 사시던 최원산옹이 소모는 소리를 불러주시면서 이런 말씀을 하셨다.

 

"소는 짐승이 아녀. 소는 우리와 똑 같은 일꾼이여. 그래서 소리를 하면서도 이야기를 해야만 해. 왜냐하면 소는 사람들의 말귀를 다 알아듣거든."

 

 

하기야 그렇다. 지금처럼 기계화가 되지 않은 영농방법으로 농사를 지을 때는, 당연히 소에게 큰 의존을 해야만 한다. 그러다가 보니 소가 그저 가축이 아니라, 집안에서 함께 살아가야 하는 가족이라는 것에 대해 공감이 간다.

 

"사람들은 그저 소가 고기를 먹는 가축으로 생각하는데, 그건 정말 죄 받을 사람들 생각여. 소는 우리에게 고기를 주는 것이 아녀. 생각을 해봐. 소처럼 우리에게 많은 것을 주는 가축이 또 있는지. 평생을 논 갈고 밭 갈면서 정말 뼈가 노긋하도록 일을 해주고, 그 다음에 힘이 부족하면 인간을 위해 또 희생을 하는 거야. 이런 소와 같은 사람이 나랏일을 한다면, 우리나라가 참 좋은 나라 되지"

 

그때는 어르신의 이야기를 이해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제 살아가면서 보니, 어르신의 그 말씀이 정말 공감이 간다. 나랏일을 하는 사람이 소와같이 우직하게 해야 한다는 말씀 말이다. 그렇게만 한다면야 얼마나 좋을까?

 

 

쌍겨리는 두 마리의 소를 이용해 밭을 가는 농사법이다. 두 마리를 한데 묶어 일을 하면 그만큼 능률을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쌍겨리는 예부터 전해진 농사법이다. 단원 김홍도의 그림속에도 쌍겨리가 나온다. 대개 외겨리는 작은 천수답이나 좁은 논에서 사용하지만, 쌍겨리는 정리가 잘된 큰 논이나 밭에서 사용한다. 소가 논밭의 끄트머리까지 가면 "우여차~ 우르르르~" 하고 소리를 내면 뒤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그만큼 소를 부리는 농사꾼과 소가 마음이 상통한다는 소리다.

 

하지만 요즈음 세태를 보면 국민을 위하라고 표를 주어 뽑아놓은 사람들이 국민의 말을 듣지 않는다. 국민들마저 패가 갈라져 난리들을 피운다. 누군가 이게 나라냐?”고 물었단다. 그들이 그런 말을 할 자격이 있을까? “이게 국회냐?” 혹은 패거리를 나눈 이게 국민이냐고 누군가 질문을 했다면 그들은 무엇이라 대답할까?

 

주인이 소를 모는 소리를 들으면서 요즘 세태가 생각난다. 쌍겨리 소는 두 마리 중 한 마리만 삐걱해도 제대로 밭을 갈 수가 없다. 두 마리의 소가 함께 보조를 맞추어야만 제대로 일을 할 수가 있다. 소를 모는 사람이 주인이다. 나라의 주인은 누구인가? 바로 국민이다. 그렇다면 두 마리의 소는 누구일까? 이런 생각을 하면서 피식 웃고 만다. 이 시대에 여야라는 패를 갈라 기름과 물이 되어버린 한심한 작태들을 보면 이들을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사람이 살면서 항상 좋을 수는 없다. 하지만 밭을 갈 때는 쌍겨리와 같이 두 마리의 소가 서로 호흡을 맞추어야만 한다. 그리고 소를 모는 사람과 같이 서로 마음이 상통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사람이 살아가는 도리라는 것이다. 국민을 위한 나라의 운영도 동일하다. 함께 가야할 두 마리의 소가 제각각 움직인다면 나라라는 농사는 망치게 된다. 하기에 혼자 고집을 피우고 제멋대로 가는 빗뚫어진 소는 되지 말아야 한다. 이 시대에 정말이지 우리에게는 쌍겨리가 필요하다.

사람이 짐승에게서 배울 것은 하나 둘이 아니다. 특히 농촌에서 사람과 가장 가까이 있는 소에게서 배울 것은 더욱 더 그렇다. 흔히 소선생, 혹은 우선생이라고 하는 소는, 옛 선인들은 사람에게 가장 많은 것을 준다고 하였다. 그러기에 소 한 마리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그저 짐승으로만 여긴 것이 아니다.

 

소에게서 배우게 되는 세상살이. 그리고 주인이 시키는 대로 말없이 따라하는 우직한 그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조금은 어리석게도 보이지만, 그것이 주인에 대한 충심인지도 모르겠다. 소와 동행을 하고 있는 여인의 모습에서 세상을 배운다.

 


한강의 발원지인 검룡소를 돌아보고, 영월의 동강과 서강이 만나는 합수머리를 찾아가는 길에 만난 '소를 몰고 가는 여인'.  지금은 어디를 가도 좀처럼 보기 힘든 광경이다. 더욱이 차도 한 편으로 걷는 소는, 절대로 포장이 된 도로 위로 올라오려고 하지를 않는다.

 

소는 절대로 포장도로 위로 올라오려고 하지를 않았다.
 

버티면서 땅만을 밟고 있는 소. 우직함일까? 아니면 생명을 지키기 위함일까?

저 멀리 굽이길을 돌아설 때까지 한 번도 도로를 밟지 않고 땅으로만 걷는 소

 

소를 끌고 가는 여인이 잡아 끌어보아도, 도로 위로 올라오지 않는 우직한 소. 한낱 짐승이지만 예의를 아는 것일까? 아니면 도로 위로 오르면 생명이 위험하다는 것을 깨달은 것일까? 저 멀리 굽이치는 길을 돌아설 때까지 한 옆으로만 걸어가는 소와 여인. 그 광경이 참으로 아름답다.

 

동강과 서강이 만나는 영월읍의 합수머리. 다리쪽에서 흐르는 물이 서강이다. 사진 밑에 우측으로 오르면서 동강이 된다.

 

태백산 검룡소에서 발원한 물이, 정선의 아우라지를 만나 조양강을 이룬다. 그리고 이 물이 오대산에서 발원한 평창강(주천강, 서강)과 만나는 영월의 합수머리에서 남한강이라는 이름을 갖게 된다. 동강의 길이는 56㎞에 달하며, 서강은 영월군 한반도면 옹정리 선암마을에서 시작하여, 단종의 첫 유배지인 청령포를 감싸 안으며 영월읍 합수머리에서 동강과 만나 남한강으로 흐른다. 

 

합수머리 동 서강이 모여 큰 물을 이루면서 강의 이름이 남한강으로 바뀐다.

 

물이 맑고 경관이 아름다운 곳이 널려있다는 동강과 서강. 그리고 그 물이 합수머리부터 남한강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바뀌어 흐르는 구간에도 아름다움은 끝없이 펼쳐진다. 그러나 찢기고 할퀴어진 남한강은 이제 그 옛 모습을 다시는 찾아볼 수가 없다. 그래서 합수머리에서 바라보는 동, 서강과 남한강이 애틋하게 다가오는가 보다.

경남 양산시 상북면 대석리 1번지 천성산에 소재한 홍룡사는 신라 제30대 문무왕 13년인 673년에 원효스님께서 창건했다는 절이다. 당시에는 ‘낙수사(落水寺)’라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송고승전』에 의하면 원효스님께서 천문을 보니 중국 태화사 승려들이 장마로 인한 산사태로 매몰될 것을 미리 알고 구했다고 한다.

원효스님은 곁에 있던 판자를 하늘로 던졌는데, 그것이 당의 태화사까지 날아갔다는 것이다. 태화사 스님들은 갑자기 하늘이 컴컴해져 놀라 뛰쳐나왔는데, 그 순간 산이 무너지면서 절이 매몰이 되었다는 것이다. 놀란 태화사 승려들이 하늘에서 떨어진 판자를 집어보니 ‘해동원효 척판구중’이란 글씨가 적혀있었다고 한다. 즉 원효스님이 널판자 하나를 던져 많은 무리를 구했다는 이야기다.

홍룡폭포와 관음전

천명의 승려가 원효의 제자가 되다

이 일로 인해 천명의 중국인 승려가 신라로 와 원효스님의 제자가 되었다고 한다. 이에 원효스님께서는 천성산에 89개의 암자를 짓고, 이 승려들을 수용하였다는 것이다. 이 곳 홍룡사에서 바로 판자 한 조각을 던졌다고 하는데, 홍룡사는 원효스님과 의상대사가 관음보살을 친견했다고 전하는 곳이다.

홍룡사에는 홍룡폭포가 있어 더욱 유명하다. 이 폭포는 천룡이 폭포 아래에 살다가 무지개를 타고 하늘로 승천을 했다고 전해진다. 아름다운 홍룡폭포를 찾아 홍룡사를 찾아들어갔다. 산신각을 지나 계단을 오르니 홍롱폭포가 보인다. 80척에 달한다는 폭포는 물이 많이 즐었다. 폭포 좌측으로는 관음전이 자리하고 있고, 우축으로는 좌불상이 자리하고 있다.



천자형으로 흘러내리는 홍룡폭포

세 갈래로 나뉘어져 떨어지는 홍룡폭포, 깎아지른 듯한 절벽을 타고 흐르는 물은 가히 절경이다. 물이 많았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하지만 물이 없다고 그 아름다움이 어디로 가겠는가? 떨어진 물이 고인 소에는 낙엽이 떨어져 또 하나의 아름다움을 만들어 낸다. 어찌 인간세상에 이런 절경이 있을 것인가?

이리저리 각도를 재보지만, 그 아름다움을 다 담아낼 수가 없을 것만 같다. 무엇을 탓할 수 있으랴? 지금도 날이 좋은 날에는 물방울이 튀면서 무지개를 만들어 낸다고 한다. 하지만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했던가. 잔뜩 흐린 날 찾아간 홍룡폭포는 그렇게 소리 없이 암벽을 타고 내리기만 한다.



원효스님이 관음보살을 친견했다는 관음전에 들려 예를 올리고, 돌아내려오는 길에 몇 번이고 폭포를 돌아본다. 그저 저 맑은 물속에서 한 마리 천룡이 금방이라도 물길을 헤치고 하늘로 오를 것만 같다. 아마 이 아름다움은 또 몇 날 동안 나를 답사의 길로 내몰 것만 같은 느낌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