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부터 비가 내린다. 세월은 사람을 기다리지 않는다고 하더니, 엊그제만 해도 덥다고 난리를 쳤는데 벌써 찬바람이 인다. 아침부터 내리는 비로 인해 날씨가 더 쌀쌀해질 것으로 보인다. 15일 오후, 이렇게 비가 내리는 날 사람들을 만나 인터뷰를 한다는 것이 썩 내키지가 않아 그동안 찾아보고 싶었던 평택 만기사를 찾았다. 이곳은 보물 제567호로 지정이 된 만기사 철조여래좌상이 있기 때문이다.

 

만기사(萬奇寺)는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동천리 548번지에 소재한다. 고려시대에 창건되었다고 하는 만기사 경내에는, 고려시대의 흔적은 찾아보기가 힘들다. 벌써 만기사를 다녀온지가 10년이 넘었다. 그동안 만기사는 많은 불사를 이뤄 가람 안에 전각이 늘어났다. 전형적인 산지가람 형태인 만기사. 주차장에서 걸어올라 천왕문을 지난다.

 

 

고려 태조 때 창건한 사찰

 

만기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의 말사이다. 낮은 산비탈을 깎아 3단으로 전각을 배치한 만기사는, 고려 태조 25년인 942년에 남대사에 의해 현재의 위치에서 1km 정도 떨어진 동천리에 창건하였다고 전해진다. 만기사가 고려 시대에 창건되었다고는 하지만, 그 시대를 입증할 만한 것은 보물로 지정이 된 철불인 철조여래좌상 뿐이다.

 

만기사에 대한 기록은 조선조 헌종 9년인 1843년에 기록한 <진위현읍지> 불우조에 기록이 보인다. 이 책에는 만기사에 대해서

만기사는 무봉산 아래에 있다. 절 북쪽에는 돌구멍에서 맑은 물이 샘솟는데, 맛이 달고 차다. 옛날 세조가 이 절 앞에 수레를 멈추고 우물에 가 물을 마시고 하교하기를 이 우물은 감천이나 감로천이라 하여라.’라고 했다고 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이 우물을 임금이 마셨다고 해서 어정이라고 한다 고 기록하고 있어, 만기사가 조선조에도 법맥을 이어온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도 만기사에 기록은 기내사원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지 등에도 나타나고 있다. 기내사원지는 진위현읍지의 기록을 예를 들어 만기사를 세조 때 중건되었다고 적고 있다. 이 밖에 보국사 창건문 등에도 만기사를 언급하고 있다. 이런 점으로 보아 만기사는 큰 사찰은 아니었으나, 조선조까지도 사세가 계속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1972년부터 사격을 갖추기 시작해

 

현재 만기사의 당우로는 보물 철조여래좌상을 모신 대웅전을 비롯하여. 삼성각, 무봉서원, 명부전, 종각, 감로당, 심우당, 원통전, 요사 등이 있다. 1972년부터 불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만기사는, 주지인 김혜송 스님이 대웅전과 요사, 삼성각을 지어 사찰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했다.

 

 

1974년에는 서요사를 신축하였으나, 1979년 동요가사 화재로 소실되는 아픔도 있었다. 1980년에는 동요사를 확장하여 중건하였고, 1981년에는 연못을 조성하였다. 1994년에는 기존의 대웅전을 대신하여 대웅전을 신축하였다. 만기사의 문화재로는 고려시대의 철불인 철조여래좌상이 유일하다.

 

길상좌를 하고 있는 단아한 철조여래좌상

 

높이가 1.43m인 만기사 철조여래좌상은 전형적인 고려시대의 불상양식을 나타내고 있다. 철불인 철조여래좌상은 현재는 금으로 도금하였다. 불상을 받치는 대좌는 없고 불신만 남아 있는 상태이며, 오른팔과 양 손은 새로 만들어 끼운 것이다. 원래의 것은 절 안에 따로 보관되어 있다고 한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정수리 부근에는 상투 모양의 육계가 큼직하게 있다. 갸름한 얼굴의 세부표현은 분명하고 목에는 3줄의 삼도가 뚜렷하게 표현되어 있다. 옷은 우견편단으로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어깨에만 걸치고 있으며, 어깨는 거의 수평을 이루면서 넓은 편이다.

 

 

부처가 보리수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을 때 자세라는 길상좌를 하고 앉았는데, 어깨 부분에서는 크게 접어 계단식의 주름을 만들었다. 팔과 다리 부분에도 주름을 표현하였는데 매우 형식적이다. 오른손은 무릎 위에 올려 손끝이 땅을 향하고 있으며, 이 자세는 깨달음을 얻을 때 자세인 항마촉지인이다.

 

상체가 약간 긴 편이나 전체적으로 비례가 알맞은 편이어서 안정감이 있다. 당당한 형태이지만 도식적인 옷주름의 표현과 단정해진 얼굴 등에서,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보물인 철조여래좌상을 만나기 위해 찾아간 평택 만기사. 잠시 멈추었던 비가 또 다시 내리기 시작한다. 아마도 이 비가 그치고 나면 날이 쌀쌀해질 텐데, 답사의 속도를 높여야만 할 것 같다.

오대산은 높이 1,563m로 태백산맥에 솟아 있는 산이다. 오대산은 주봉인 비로봉을 중심으로 동대산(1,434m)과 호령봉(1,042m), 상왕봉(1,493m), 두로봉(1,422m) 등 5개의 봉우리가 있다. 이 봉우리들 사이로는 중대라고 부르는 지공대와 동대로 칭하는 만월대, 그리고 서대로 부르는 장령대와 남대인 기린대, 그리고 가장 높은 곳에 있다는 북대인 상삼대 등 5개의 평평한 대지로 둘러싸여 있어 오대산이라고 했다.

 

또한 중대는 문수보살이, 동대는 관음보살이 상주하고 있으며, 서대는 대세지보살, 남대는 지장보살, 북대는 아라한이 상주하면서 설법을 하던 곳이라고 하여, 그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상원사와 세조, 그리고 문수보살

 

오대산 상원사는 대웅전이 문수전이다. 이곳에 모셔 놓은 문수동자상 때문이다. 국보 제221호인 목조문수동자좌상은 조선조 세조와 문수보살의 일화에서 비롯하였다. 1464년 조카인 단종을 폐위하고 죽음으로까지 몰고 간 세조가 즉위한지 10년 째 되던 해 등창(부스럼의 일종)을 얻게 되자 신미대사의 권유로 오대산으로 행차를 하였다.

 

상원사에 도착한 세조는 다음 날 상원사 밑 계곡을 흐르는 오대천에 몸을 담구고 있는데, 동자 하나가 길을 가고 있었다. 세조는 동자에게 등을 좀 밀어달라고 부탁을 했고, 동자는 세조의 등을 밀어주었다. 그런데 이상하게 몸이 날아갈 듯 가벼워졌다는 것이다.

 

세조는 동자에게 임금의 몸을 씻었다고 말하지 말라고 하였다. 그랬더니 그 동자가 웃으면서 ‘임금님도 문수보살을 보았다고 말하지 말라’고 했다는 것. 세조가 놀라 주변을 살펴보았으나 동자는 간 곳이 없고, 자신을 괴롭히던 등창이 말끔히 나았다는 것을 알았다.(국보 제221호 문수동자좌상/ 사진 평창군)

 

 

세조는 궁으로 돌아와 화공을 불러 자신이 만났던 동자를 그리기를 권유하였으니, 아무도 자신이 본 동자의 모습을 그려내지 못했다. 그런데 누더기를 걸친 노스님이 그려 온 동자의 모습이 너무도 똑같아 ‘누구시냐?’고 물었더니, ‘영산회상에서 왔노라’며 구름을 타고 사라져버렸다.

 

그 후 의숙공주와 효녕대군의 발원으로 세조의 만수무강을 빌기 위해, 문수동자상이 조성되어 1466년에 상원사에 모셔진 것이다.

 

세조가 의관을 걸었던 관대걸이

 

상원사 입구에서 상원사로 향하는 좌측에 보면 작은 석물 하나가 보인다. 옆에는 관대걸이라고 안내판이 적혀있다. 이 작은 석물은 기대석과 간주석, 그리고 그 위에 지붕돌을 올린 형태이다.

 

 

딱히 이 석조물이 무슨 용도로 조성이 되었는가는 알 수가 없다. 간주석도 그냥 네모나게 조성하였으며, 특별한 문양도 새겨 넣지 않았다. 이 관대걸이에 옷을 걸었다면, 주차장으로 들어가는 다리 밑을 흐르는 계곡물에서 세조가 몸을 씻지 않았을까?

 

볼품없는 석조물 하나로 인해 문수동자와 세조와의 이야기를 생각해내면서 다리 밑 계곡물을 바라본다. ‘참 맑기도 하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아마도 그 역사속의 이야기대로라면, 저 물에 몸을 씻으면 속세에서 든 병이 절로 낫지는 않을까? 5월 6일(일) 삼사순례를 하면서 들린 상원사에서 이야기 하나를 꺼내든다.

전북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산 2-1에는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67호로 지정된 정자가 자리하고 있다. 그리 높지 않은 둔덕의 윗부분 노송 숲 사이에 자리하고 있는 이 정자는, 조선조 세조 2년인 1456년 신숙주의 아우인 신말주가 지은 정자이다. 정자 이름을 ‘귀래정’이라고 불렀는데 이 정자 명칭은 바로 신말주의 호이기도 하다.

신말주는 세조가 조카인 단종을 내몰고 왕위에 오르자,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는 불사이군의 충절을 지켜 벼슬에서 물러나 순창으로 낙향하였다. 이곳은 신말주의 부인인 설씨의 고향이기도 하다. 신말주는 이곳으로 내려와 뜻이 통하는 노인 열 명과 ‘십노계’를 결성하고, 이 귀래정에 올라 자연을 벗 삼아 세월을 보냈다.


정자 주변에는 역사가 그대로 남아있어

서거정, 강희맹 등의 귀래정기와 시문 등이 즐비하게 걸려있는 귀래정. 현재의 간물은 1974년에 고쳐지은 것이라고 한다. 귀래정을 오르는 길에는 신말주의 후손들이 살았단 유지가 있으며, 보물로 지정된 설씨부인의 ‘권선문’과 신경준의 ‘고지도’ 등을 보관하고 있는 ‘유장각’ 등을 만날 수가 있다.

이 신말주의 세거지는 다시 한 번 거론하기로 한다. 노송이 높게 자란 언덕길을 오르면, 사방이 훤히 트인 곳에 정자가 자리하고 있다. 정면 세 칸, 측면 두 칸 팔작지붕으로 지어진 현재의 건물은 1974년에 다시 지은 것이라고 한다.



세거지를 지나쳐 숲길을 천천히 걸어 오르다 보니, 각종 새들이 여기저기서 푸득이며 날아간다. 아마도 저 새들도 이 노송 숲길이 꽤나 좋은가 보다. 정자는 그저 바람을 맞으며 앉아 글 한 수 읊조리기 좋게 지어졌다. 정자 곁에는 고목이 되어버린 고사한 소나무 한 그루가 서 있어, 옛 이야기를 생각나게 한다.

‘귀래정’ 아마도 신말주는 세조가 단종을 내몰고 왕위에 오르기 전부터, 처가인 이곳으로 돌아오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아니면 그 아픔의 역사로 뒤돌아 가고 싶지 않았는지도 모른다. 정자 마루에 걸터앉아 흐르는 띰을 닦아낸다. 노송 숲에서 불어오는 시원한 바람 한 줄기가 6월 18일의 후텁지근한 날씨에 절어버린 나그네를 반긴다.



주추만 보고도 반해버린 정자

정자를 찬찬히 둘러본다. 정자의 중앙에는 한 칸 방을 뒤편으로 몰아 들였다. 누마루를 깐 사방은 난간 하나 장식하지 않은 단출한 정자이다. 기둥은 원형기둥을 이용했는데, 주추를 보니 꽤나 아람답다. 주추를 보면서 혼자 빙긋 웃어본다. 주추 하나에도 사람이 반할 수가 있는 모양이다.

밑은 넓고 배가 튀어나오게 둥글게 만들고, 위는 조금 역시 둥글지만 배가 튀어나오지 않게 하였다. 그리고 그 주추 가운데를 파 목재를 고정시켰다. 이런 주추를 만난 것도 처음이지만, 그 주추가 참 아름답다는 생각이 든다. 아마도 이렇게 주추 하나를 조형한 것도 귀래정 답다는 생각이 들어서이다.




현재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67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그저 화려하지 않은 정자 귀래정. 그 누마루에 걸터앉아 일어나고 싶지가 않다. 처음 정자가 지어진지 벌써 550년 세월이 흘렀다. 아직도 신말주 선생은 옛 시절로 돌아가고 싶은 생각이 없는 것일까? 천천히 정자를 내려와 세거지로 향한다. 세거지 곁 마을 집에서 백구 한 마리가 짖어대며 낯선 나그네를 경계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