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학대사가 이곳에서 도를 닦고, 달을 보고 깨우쳤다고 하여서 ‘간월암’이라는 붙였다는 서산 간월도의 간월암. 무학스님은 20세 때 이곳이 들어와 토굴을 짓고 열심히 수도를 하다가 달을 보고 깨우침을 얻었다고 한다. 나옹스님이 ‘더 이상 배울 것이 없다.’고 하여 법호를 무학(無學)이라고 지어 주었다는 것이다.

 

이 간월암이 처음부터 간월도나 간월암으로 불린 것은 아니다. 처음에는 피안도 ‘피안사(被岸寺)’로 불리다가, 밀물 때가 되면 마치 섬이 연꽃과 비슷하다고 하여 ‘연화대’ 또는 낙가산 ‘원통대’라고 부르기도 했단다. 이렇게 부르던 것이 결국 고려 말에 이곳에서 수도를 하다가 깨우침을 얻은 무학대사로 인해 ‘간월암’이 되었다.

 

 

한 때 폐사가 되었던 간월암

 

세상은 참 이해하지 못할 일이 많다. 조선이 개국할 때 무학대사는 이성계의 끔을 해몽하면서 이미 이성계가 태조가 될 것을 알았다. 그리고 이성계에게 500일 기조를 시키고, 한양의 도읍터를 잡아주기도 했다. 더구나 한양터를 바을 때 그 문을 창여문이라 부르고 28칸을 지었으니, 조선이 28대로 마친다는 것을 예견했다는 것이다.

 

이성계가 조선을 개국하고 난 뒤, 간월암과 황도(태안) 등을 사폐지(절에 소유된 토지로 실질적인 절의 땅이다)로 주었다. 하지만 조선조 때 배불정책을 펴, 얼마나 많은 고초를 당했는가는 알고 있는 바이다. 조선의 개국을 도운 무학대사. 그리고 이성계에게서 두 곳의 섬을 사폐지로 받은 무학대사. 하지만 조선은 500년 동안 수없이 배불정책이 이어졌다.

 

 

결국 무학대사가 토글을 짓고 이곳에서 깨달음을 얻어 조선이라는 나라까지 개국이 되는 것을 도왔지만, 그 억불정책으로 인해, 간월암이 폐사가 되었다. 아마 조선의 왕이 28대를 전해 질 것을 알았다는 무학대사인데, 간월암이 훗날 당한 고초를 알지는 못했던 것일까? 그 후 1941년 만공선사가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만공선사는 이곳에서 광복을 의해 천일기도를 드리고 해방이 되었다고 하니, 이 절에 기운이 남다른 모양이다.

 

삼사순례로 찾아간 간월암

 

삼사순례, 하루에 세 곳의 절을 돌아오는 불교의식이다. 7월 28일(일)아침 일찍 버스로 수원을 출발했다. 수원시 지동에 소재한 고려암의 신도들이 삼사순례를 떠난 것이다.  출발하기 전부터 내리던 빗줄기가, 막상 고속도로에 들어서자 더 세차게 퍼붓는다. 오늘 들릴 세 곳의 절에 나름 문화재가 많이 있어 기대를 하고 떠난 길이다. 홍성 나들목으로 나서 천수만 방조제를 지나 간월암이 보이는 주차장으로 들어섰다.

 

 

비가 오는데도 바닷바람이 조금은 세찬 듯하다. 모자가 바람에 날려 몇 번이고 날아간다. 그래도 간월암으로 들어가는 길이 열려있어 다행이란 생각을 한다. 간월암은 조수의 차에 의해 섬도 되었다가, 육지와 연결이 되기도 하는 절집이기 때문이다. 물을 빠진 길에서는 사람들이 무엇인가 바위에 붙은 것들을 열심히 줍고 있다.

 

간월암으로 들어가니 마침 사시예불 중이다. 작은 섬 위에 옹기종기 앉은 전각들이 정겨운 곳. 벌써 몇 번째 이곳을 찾았지만, 올 때마다 늘 새로운 느낌을 받는다. 아마도 주변에 부는 바람과, 일렁이는 물살 때문인 듯하다. 잠시 예를 마치고 주변을 돌아본다. 한 무리의 사람들이 바닷가 쪽으로 지어진 작은 전각 앞에서 열심히 잘을 하고 있다.

 

무학대사의 신통력이 절을 지키는 것일까?

 

아마도 이 작은 전각이 바다 쪽으로 조성을 한 것을 보니, 용왕각인 모양이다. 열심히 절을 한 사람들이 모여 기념촬영을 하고, 마치 썰물처럼 간월암을 빠져나간다. 나오는 길에 절 입구에 사람들이 쌓아올린 돌탑을 보면서 잠시 고개를 숙인다. 이 돌탑을 정성으로 쌓은 사람들도 마음에 다 서원이 있었을 것. 나도 잠시 고개를 숙여 행로의 무사함을 빌어본다.

 

고려 말의 무학대사가 이곳에서 깨들음 을 얻었고, 그 이전에도 이미 피안사라는 절이 잇었다고 하면, 간월암의 역사는 500년이 훌쩍 지난 고찰이다. 하지만 옛 흔적이 보이지 않아 조금은 아쉽기도 하다. 하지만 이렇게 간월암이란 이름으로 또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는 절집이 있으니, 그도 다행이란 생각을 한다.

8월 19일 일요일. 아침부터 비가 오락가락 한다. 먼 길을 떠나기로 계획을 세웠으나, 비로 인해 모든 일정을 취소하고 대신 화성시 송산면 고정리로 향했다. 2000년도에 15,900,000㎡ 라는 넓은 면적을 지정한 천연기념물 제414호인 ‘화성 고정리 공룡알화석 산지’를 돌아보기 위해서였다. 2004년도에 이곳을 들려보았으니, 벌써 10년 가까이 지난 셈이다.

 

2004년도에 이곳을 들렸을 때는 차로 공룡알 화석이 있는 바위 앞까지 들어갈 수가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모든 곳을 출입을 통제시키고, 관람로를 따라서만 공용알 화석을 볼 수 있도록 조성하였다. 방문자 센터 주차장에 차를 두고, 왕복 3km 정도를 걸어야 공룡알 화석을 볼 수가 있다.

 

풀숲에 조형물로 만들어 놓은 공룡  ‘트리케라톱스’

 

1억 년 전 공룡의 주요서식지

 

화성시 송산면 고정리의 공룡알 화석 산출지는,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퇴적층(약 8300만∼8500만년 전으로 추정)으로 밝혀졌다. 이곳은 1999년 시화호 간석지가 조성되기 이전에는 섬이었던 삼한염, 중한염, 하한념, 한염, 개미섬, 닭섬 등 6∼7개 지점에서 공룡알화석 및 알둥지가 발견되었다.

 

지금은 이상한 돌로 땅위에 솟아오른 이 섬들에서는, 많은 공룡알 화석이 한꺼번에 발견이 되었다. 그동안 세계적으로 공룡알 화석이 발견된 곳은, 대부분 중국과 몽고 지역이었다. 그러나 이곳 시화호처럼 많은 공룡알 화석이 한꺼번에 발견된 것은 매우 드문 경우이다. 더욱 이 곳에서는 공룡의 뼈 조각도 여러 곳에서 발견이 되기도 해, 전문가들은 시화호 일대가 약 1억 년 전 공룡의 주요 서식지였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뻘에도 공룡알 화석이 있을 것으로 추정

 

시화호 화석지에서 그동안 발견이 된 것은, 가로·세로 50∼60㎝ 크기의 둥지 20여 개에서 둥지마다 5∼6개, 많게는 12개의 공룡알 화석이 발견되었다. 공룡알 화석은 보통 주먹 크기보다 작은 타원형으로 지름 11∼12㎝이고, 큰 것은 14㎝나 되며, 지금까지 모두 180여 개가 발견되었다. 현재 뻘로 덮여있는 부분에서도 뻘을 제거하면 더 많은 공룡알 화석이 발견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곳에서는 줄기에 마디가 있는 늪지 갈대 등의 식물화석과, 생물의 흔적이 있는 화석도 대량 발견되었다. 또한 이곳은 지금도 갯개미취, 꼬마부들, 칠면초, 갯방동사니, 범부채, 산조풀 등의 식물과, 너구리, 고방오리, 고라니, 멧토끼, 중대백로, 황로, 수리부엉이, 쇠백로, 황조롱이 등의 동물들도 상당수 서식하고 있다.

 

 

 

 

이곳 고정리 말고도 삼존리 등에서도 2006년 1월 26일 또 다시 15개의 공룡알 화석이 발견이 되었으며, 2008년 5월 30일에는 전곡항 방조제에서 공룡의 뼈가 발견이 되어 학계에서 비상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화성시에서는 이런 점을 들어 국립자연사박물관을 유치하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으며, 전문가들도 이곳이 자연사박물관의 최적지라고 이야기들을 하고 있다.

 

한반도에서 최초로 발견된 뿔공룡

 

‘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라는 명칭을 붙인 이 뿔공룡은 중생대 백악기인 약 1억 3천만년 전에 한반도에 살았던 공룡이다. 이 공룡은 2008년 5월 30일 화성시 전곡항에서 제 1회 세계요트대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화성시 공무원 김경하에 의해서 전곡 제방 환 전석에서 발견이 되었다.

 

2008년 5월 30일 화성시 전곡항에서 제 1회 세계요트대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화성시 공무원 김경하에 의해서 전곡 제방 환 전석에서 발견이 된 ‘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라는 명칭을 붙인 이 뿔공룡은 중생대 백악기인 약 1억 3천만년 전에 한반도에 살았던 공룡이다(위는 모형 아래는 뼈)

 

이 공룡은 한반도에서 최초로 발견된 뿔공룡으로,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신종이라는 것이다. 전체 길이는 약 1.7m~2.3m 정도이며, 꼬리뼈에 척추뼈보다 5배나 더 긴 신경돌기와 독특한 복사뼈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높고 납작한 꼬리는 물속에서 헤엄을 치는데 이용했을 것으로 보이며, 이족보행에서 출발해 사족보행으로의 진화과정을 거친 걸음걸이의 빔화를 밝히는데 중요한 단초가 되고 있다.

 

두 번째로 공룡알을 만나다.

 

방문자센터를 들려 자료사진을 몇 장 찍고 관람통로로 접어들었다. 이곳은 비가 오면 뻘이 질척거리기 때문에 목재를 이용한 탐방로를 이용해야 한다. 먼저 관람을 마친 사람들이 돌아오면서 하는 말들이 재미있다.

 

 

 공룡알 화석과 (위) 공룡알이 발견 된 옛날의 섬(아래)


 

“겨우 공룡알 화석 8개보자고 3km를 걸어야 한다는 것이 좀 황당하네.”

 

하지만 이렇게 공룡알 화석을 볼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큰 행복인 줄 그들은 모르는가 보다. 중간에 주변을 돌아볼 수 있는 조망대도 설치해 놓고, 중간중간 쉴 수 있는 의자도 조성해 놓았다. 처음으로 본다면 상당히 기대가 되었겠지만, 이미 한 번 자세히 보았기 때문에 그때보다는 설렘이 덜 하는 듯하다.

 

 

걷다가 보니 풀숲에 공룡 한 마리가 어슬렁거린다. ‘트리케라톱스’인 듯한 이 공룡을 찍고 공룡알 화석이 있는 곳으로 걸음을 재촉한다. 공룡알 화석을 돌아보고, 주변에 화석이 있던 옛 작은 섬들을 돌아본다. 하늘은 잔뜩 어두워지는 것이, 금방이라도 굵은 비를 한 줄기 쏟아낼 것만 같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