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산(麗岐山)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농촌 진흥청 내에 위치하고 있는 해발 104.8m의 산이다. '화성성역의궤'에는 '여기산(如岐山)'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산세가 크지 않고 산의 모습이 기생의 자태와 같이 아름다워서 '여기산(麗岐山)'으로 불렀다고 한다. 산의 정상부에는 토축산성이 조성되어 있는데, 해발 104.8m로부터 10m 아래에 쌓여 있는 것이 특색이다. 전형적인 머리띠 모양의 테뫼식으로 성 길이는 약 453m이다.

 

전철 화서역에서 구운동 방향에 있는 여기산 공원은 축구장, 게이트볼장, 익스트림 스포츠 연습장 등 체육시설과 산책로가 조성돼 있는데, 경기도는 팔달구 화서동 436 일대 서호저수지 332997, 여기산 선사유적지 225828를 경기도 기념물 제200호와 201호로 지정하였다. 여기산 서호방면에는 우장춘 박사의 묘와 그의 석상이 위치해 있다.

 

 

땀을 흘리며 돌아 본 여기산

 

8일 오후 2. e수원뉴스의 김우영 주간과 함께 여기산에 올랐다. 여기산에는 화성을 축성할 때 돌을 뜨던 부석소와 토축산성이 있어, 직접 눈으로 확인을 해보고 싶어서였다. 여기산 입구에서 확인을 받은 후 천천히 산으로 난 소로로 접어들었다. 주변에 서 있는 나무들에게서 숲이 주는 향이 짙다. 비가 내린 뒤라 그런지 잎들이 유난히 푸르다.

 

천천히 걸어 오른 길 우편에는 우장춘 박사의 석상이 자리하고, 좌측에는 묘가 있다. 그곳을 지나 높지 않은 산 정상으로 오르다가 숲길로 접어들었다. 산성을 확인하고 싶어서였다. 이곳 여기산은 수원으로 들어갈 수 있는 길목이다. 산성이 이곳에 있다는 것은 예부터 이곳이 중요한 거점이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자연녹지인 여기산은 1979~1984년에 숭실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조사를 한 곳이다. 이곳에서는 철기시대와 삼국시대 전기에 사용했던 토기종류들이 상당수가 발굴이 되었으며, 생활용구인 철기류 등도 꽤 조사되었다. 또한 주거지 내부에서 검게 탄 볍씨들이 발견이 되어, 서호일대에서 벼농사를 지었음도 확인되었다.

 

 

화성 축성 때 돌을 뜬 곳 발견

 

숲을 지그재그로 돌면서 옛 토축산성의 흔적을 찾아보고 있는 중에 거대한 암벽을 만났다. 여기산은 화성 축성 당시에 돌을 뜬 곳으로 알려지고 있었으나, 그동안 소개된 돌은 길가에 보이는 작은 바위였다. 이렇게 큰 암벽은 아직 소개되지가 않았는데, 주변에는 큰 바위덩어리들이 놓여있는 것으로 보아 돌을 뜬 곳임을 알 수 있다.

 

절개된 바위를 자세히 살펴보니 나란히 난 쐐기구멍이 보인다. 이렇게 바위에 쐐기구멍을 내고 그 안에 나무를 집어넣은 후 물을 부어놓으면 나무가 부풀어지면서 바위를 쪼개는 것이다. 커다란 암벽이 마치 칼로 자른 듯하다. 어떻게 이 큰 바위덩어리를 이렇게 반듯하게 쪼갤 수가 있을까? 선인들의 지혜가 놀랍기만 하다.

 

 

천년 세월을 지키고 있는 토축산성

 

산을 한 바퀴 돌아 정상부근으로 오르다 보니, 한 눈에도 토축산성임을 일 수 있는 흙더미가 나란히 뻗어있다. 이 토축산성은 아마도 삼한시대나 삼국시대 때 쌓은 것으로 보인다. 높지 않은 산이지만 이곳은 주변에 광활한 농경지가 조성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아, 군사적으로도 상당히 중요한 곳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토축산성을 따라 걷다보니 산 정상이 나타난다. 그 위가 평평하게 조성되어 있는 곳이 군사지휘소가 있었을 듯하다. 두 시간 남짓 돌아본 여기산. 여기산을 돌아 내려오는 길에 시원한 바람이 땀을 식혀준다. 농촌진흥청이 이곳에 자리한 것도 우연히 아니란 생각이다. 아주 오래전부터 농사를 지었던 곳이었기 때문에.

 

서호 폐사 야생 큰기러기 바이러스 검출..수원시 긴급 방역활동 나서

 

조류인플루엔자(AI)가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수원에서도 AI가 발견돼 수원시가  서호 인근 예찰과 소독 등 방역조치를 강화하는 등 AI확산 방지를 위해 설연휴 비상근무에 들어갔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지난달 28일 수원시 화서동 농촌진흥청 내 서호에서 폐사한 채 신고된 야생 큰기러기에 대한 정밀검사 결과, AI 'H5N8'형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1일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서호저수지 및 공원주변에 대해 방역 실시와 함께 시민들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으며, 농촌진흥청 안산 방면에 2개소에도 통제초소를 설치 해 통행 차량에 대한 소독을 실시하고 있다.

또 시는 총10개반 50명 규모의 ‘수원시 특별방역대책본부’를 24시간 운영하면서 축산농가 및 소하천 등 취약지역에 대한 방역과 예찰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야생 큰기러기가 폐사한 수원 서호에 멀지 않은 곳에는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연구용 토종 종계 730여마리, 입북동 메추리 농가 1개소에서 6만여마리 등 15개 농가 등에서 6만4천여수의 가금류를 사육하고 있다. 

한편, 보고를 받은 수원시장은 설 연휴인 2월1일 현장을 방문, 방역상황을 살펴보고 관계 공무원들에게 타지역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철저한 방역을 지시하고 시민들에게도 서호 지역의 출입을 금지해달라고 당부했다. 

 


 

조류독감 AI가 전국적으로 확산이 되고 있는 가운데 수원의 서호 등에 날아든 철새로 인한 AI의 확산으로, 조류독감의 방역망이 전반적으로 검토를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수원 서호는 시민들이 운동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이용하는 곳이기 때문에, 더 철정한 방역과 시민들의 출입통제 등이 요구된다.

(사진 수원시 정책홍보담당관실 이용창, 김기수)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농촌진흥청을 끼고 서호라는 별칭으로 불리는 축만제 쪽으로 가다가 보면, 서호가 시작되는 곳 좌측에 정자 한 기가 서 있다. '항미정(杭眉亭)'이라는 현판이 걸린 정자. 이 정자는 조선조 순조 31년인 1831년, 당시 화성유수 박기수가 건립했다고 전해진다.

 

건립한 지 180년이 지난 이 항미정은 현재 수원시 지정 향토유적 제1호이다. 항미정이라는 정자의 이름은 중국시인 소동파의 시구 중 '서호는 항주의 미목 같다'고 읊은 내용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하지만 '항미'라는 말 그대로를 풀어보아도 미인의 눈썹이요, 물의 가장자리라는 뜻이니, 굳이 중국의 시인까지 끌어들일 필요는 없는 것이 아닐는지.

 

 

항미정에 오르다

 

토요일 오후. 그동안 항미정을 몇 번이고 찾아가려 했으나, 번번이 시기를 놓쳤다. 항미정과 축만제를 한 바퀴 돌아볼 심산으로 길을 나선다. 농촌진흥청 정문을 바라보고 우측으로 조금 담을 끼고 가면, 축만제로 들어가는 냇가 옆의 길이 보인다. 항미정은 그 길 끄트머리 서호가 시작되는 곳에 있다.

 

 

 

항미정에 오르면 축만제인 서호가 한눈에 보인다. 아마도 이 축만제의 풍광을 보기 위해 지은 듯하다. 축만제는 조선 정조 23년인 1799년 농업용 저수지로 축조됐다. 당시에 만석거와 만년제, 축만제 세 곳에 저수지를 조성했는데, 그 중 서쪽에 있어서 서호라고 불렸다.

 

예전부터 서호는 낙조와 겨울철새 들이 찾아드는 곳으로 유명했으며, 잉어가 많이 잡히는 곳으로 명성을 얻었다. 아마 화성유수 박기수도 이곳 서호에 낚싯대를 드리우고, 넘어가는 해를 보면서 시 한 구절을 짓지는 않았을까?

 

 

정자 뒤편에 달아낸 것은 무엇일까?

 

항미정은 정면 네 칸에 측면 한 칸 반으로 지어졌다. 그러나 정자를 바라보면서 우측 한 칸은 두 칸으로 지어져 'ㄴ'자 형태의 정자로 보인다. 홑처마 목조건물로 지어진 항미정은 기둥 위에 사각형의 도리를 얹은 납도리집이다. 정자를 보면서 우측 세 칸은 누마루를 깔고, 좌측 한 칸은 마루를 높여 반 칸을 앞으로 더 달아냈다.

 

주추는 모두 마름모꼴의 사각형 주추를 사용했으며, 좌측 끝은 주추를 높인 장초석을 이용하였다. 뒤편에는 판문을 내었는데, 좌측에도 측면에 판문을 달아냈다. 그저 평범한 정자의 모습이다.

 

그런데 정자 뒤편으로 돌아가니 흡사 통로를 만든 듯한 구조물이 보인다. 두 칸을 덧달아 낸 이곳은 무엇일까? 그곳을 바라보면서 아무리 궁리를 해보아도 정확한 답을 내릴 수가 없다. 혹 이곳을 통로로 해서 그 뒤편에 건물과 연결이 된 것은 아니었을까? 그도 아니면 혹 유수를 비롯한 사대부가들이 정자를 차지하고 앉아있을 때, 그 밑에 육방관속이라도 편히 쉬기 위한 장소는 아니었는지.

 

 

일반적인 정자와는 조금은 다른 항미정. 마루에 잠시 올라앉아 본다. 서호의 주변을 걷는 많은 사람들의 모습이 보인다. 저들도 이 항미정의 풍취를 알고는 있을까? 이렇게 항미정의 마루에 앉아 옛 선인들의 숨결을 느껴본다. 아마도 옛 분들도 이렇게 마루에 올라앉아 서호의 낙조를 보면서, 세상 시름을 잊지는 않았을까? 이곳에 세상 시름을 내려놓는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