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위들이 널려있다. 그리고 한편이 절개한 흔적도 보인다. 이 바위들도 누군가 쪼아내 사용한 것인지, 아니면 오랜 세월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가 스스로 세상구경이 하고 싶어 쪼개져 구른 것인지 알 수가 없다. 그리고 그 위 솟구치는 벼랑위로 성벽이 보인다. 이곳은 왜 이렇게 높은 것일까? 바로 그 위에 서장대와 서노대가 있는 곳이다.

 

만일 이곳에서 전투가 벌어졌다고 하면, 적들은 정말로 힘들었을 것이다. 우선은 가파른 비탈이고, 거기다가 높기까지 하다. 옆으로는 숨겨진 암문이 있어, 도대체 어디서 병사들이 쏟아져 나오는 것인지 조차 분별하기가 힘들다. 그런데다 성 위에서 쏟아져 내리는 화살을 피할 수도 없다. 바로 서노대에서 쏘아대는 다연발 화살인 쇠뇌 때문이다.

 

 

바위야 니들은 왜 그곳에 있느냐?

 

이곳은 성벽 가까이 다가갈 수가 없다. 비가 오는 날 길도 미끄럽지만, 바위와 소나무들이 성벽 근처에 접근하는 것을 허락지 않는다. 이곳의 바위들은 정말 제멋대로이다. 그저 눕고 싶으면 눕고, 서고 싶으면 서 있다. 누가 무엇이라고 하지야 않겠지만, 그래도 오랜 시간을 제멋대로 생긴 채로 화성을 바라보고 있다.

 

나무도 바위도 그리고 사람도, 이 구간은 화성을 탐낸다. 비에 젖은 소롯길은 미끄럽다. 겨우겨우 비에 젖은 바위를 의지해 바위틈을 벗어난다. 갑자기 성벽이 급하게 아래로 내리닫는다. 그리고 그 성벽 위에 여장들도 함께 구르듯 한다. 나무들도 덩달아 성벽을 따라 아래로 내려간다. 화서문에 무슨 풍각쟁이라도 온 것일까?

 

 

포루의 으스스한 모습에 겁을 먹었을 것

 

급한 경사는 화서문까지 이어진다. 서장대에서 화서문까지의 길이는 630m 정도. 그 거리가 모두 내리막길이다. 조금 가면 서이치를 지난다. 굽은 소나무 한 그루, 치를 넘겨보고 있다. 화성 성 밖의 나무들은 왜 그리도 화성을 탐내는 것일까? 아마 이들도 전화(戰禍)를 피해보고 싶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철옹성인 화성 안으로 피신을 하고 싶음인지.

 

저만큼 서포루가 보인다. 화성의 포를 쏘아대는 5개 포루 중 한 곳이다. 성이 돌출된 치 위에 지은 구조물이다. 그런데 이 서포루의 형태는 색다르다. 딴 곳의 포루가 밑을 돌로 쌓고 그 위에 포사를 설치 한 것에 비해, 서포루는 아래부터 온통 검을 벽돌로 쌓아 올렸다. 그리고 그 위에 포사 역시 딴 곳과는 비교도 안될 만큼 견고한 모습이다.

 

 

저런 서포루의 모습을 본 적들은 어떤 생각들을 했을까? 아마도 그 으스스한 모습을 보고, 포를 쏘기도 전에 줄행랑을 쳤을 것이다. 치성의 발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서포루를 지난다. 그런데 이건 또 무슨 일인가? 배터리가 없다고 카메라에 불이 들어온다. 그리고는 화면이 사라져버렸다. 카메라마저 겁을 먹은 것일까?

 

 

세상은 참 살기 편해졌다

 

잠시 고민을 한다. 이제 화서문까지 남은 거리는 420m. 이처럼 비가 퍼붓는 날 지금까지 잘 견뎌왔는데, 배터리가 떨어지다니. 그러나 사람이 죽으란 법은 없는 법. 카메라 대신 지니고 있는 휴대폰을 사용하면 된다는 생각이다. 소형 카메라를 접어 주머니에 집어넣고, 대신 휴대폰을 꺼내들고 걷기 시작한다.

 

서이치를 지난다. 저만큼 성벽이 휘어진 곳에, 사방이 훤하게 트여있는 서북각루가 보인다. 서북각루 역시 치성 위에 설치한 구조물이다. 서북각루도 예전에는 사방이 모두 판문으로 막혀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온돌방까지 마련해 겨울에도 군사들이 따듯하게 쉴 수 있도록 마련한 곳이다.

 

 

서북각루 가까이 가니 빗길에 나그네 한 사람이 하염없이 서 있다. 아마도 저 나그네도 나처럼 이 비에 화성 길을 오를 것인지를 고민하는 듯하다. 서북각루를 지나면 소나무 몇 그루가 그림처럼 서 있다. 그리고 그 사이로 화서문이 보인다. 비는 그칠 줄을 모르고 더욱 세차진다.

 

9월 4일, 오늘의 발길을 멈춘다. 화서문 옆으로 지나는 차들이, 도로를 흐르는 물을 튀기고 지나간다. 화성을 겉도느라 어차피 다 젖었는데, 누구 탓해 무엇 하리오. 그러고 보니 나도 점점 화성을 닮아 가는가 보다.

서삼치를 지나면 성벽에 큰 통로가 보인다. 통로 앞에는 진달래 화장실과 화성관광안내소가 있다. 화성에서 중간에 밖으로 이렇게 출입을 할 수 있는 곳이 군데군데 있다. 그곳을 지나면 오르막길이다. 서장대를 향해 가는 길. 아마도 그 위에서 호령을 하던 옛 장용영의 장수들은 목소리도 우렁찼을 것이다.

 

성벽으로 달라붙는 적군을 무찌르려면 목소리께나 커야 호령을 할 것이 아닌가. 옛 성벽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이 구간은 전쟁도 피해갔을 것이다. 조금 걷다보니 오르막길에 소나무의 가지들이 앞 다투어 성벽을 오른다. 아마도 화성을 쌓고 전쟁을 했다면, 이렇게 성벽을 기어오르느라 수도 없이 곤경을 치러야 했을 것만 같다.

 

 

 

젖은 풀을 헤치며 걷다

 

갑자기 길이 미끄럽다. 조금은 정리가 되었던 길이 그저 편편한 흙길로 변했다. 비는 계속 뿌려대는데, 밟을 때마다 미끄럽다. 신발 안은 이미 물에 젖어 질척인다. 풀이 무성한 길을 걸으며 좌우를 살펴본다. 아무도 그곳엔 없었다. 그저 우산을 두드리는 빗소리와, 알 수 없는 새의 울음소리만이 숲을 지키고 있다.

 

미끄러운 길을 조심조심 걷는다. 자칫 한 발이라도 헛디디면 그대로 낭패를 보기 때문이다. 저만큼 성벽이 돌출이 된 치 위에 전각이 보인다. 서포루, 화성에는 두 가지의 포루가 있다. 바로 '포루(鋪樓)'와 '포루(砲樓)'이다. 전자의 포루는 군사들을 보호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고, 후자의 포루는 포를 쏠 수 있는 구조물이다.

 

 

 

난 말 없이 200년의 역사를 지켜보았다

 

병사들을 보호하고 쉴 수 있는 포루는 모두 5개소가 있다. 휴식공간이기도 한 포루는 성곽에서 돌출된 치성의 위에 올렸다. 휴식공간과 중간 지휘소 역할도 하는 화성의 포루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하나는 사면을 개방을 한 형태이고, 또 하나는 입구에 문을 내고 사면을 벽으로 둘러친 형태이다.

 

그 포루로 지나치면 커다란 노송 한 그루가 비를 맞고 고고히 서 있다. 성안을 들여다보고 서 있는 소나무는 주변의 시설은 아랑곳 하지 않는다. 이곳의 성벽은 모두 200년 전 정조의 명에 의해서 축성이 된 그대로이다, 다만 성위에 여장만 새로 올렸을 뿐이다. 그 소나무는 200년 동안 화성의 역사를 묵묵히 지켜본 듯하다. 마치 역사를 알고 있다는 듯, 그대로 그 자리에 서 있다.

 

 

 

화성의 성벽은 모두 병사들이 위장을 한 것

 

9월 4일, 빗길을 걷기 시작한지 한 시간이 지났다. 그냥 걸으면 얼마나 걸리려는지? 일일이 성돌과 대화를 하다가보면, 언제 시간이 지났는지 모른다. 굳이 시간을 알아야 할 이유도 없다. 그저 성벽을 쌓은 돌 하나하나를 다 어루만지지는 못해도, 눈으로 이야기는 해야 할 것만 같기 때문이다.

 

저만큼 성벽 위로 우뚝 솟은 서장대가 보인다. 이곳이 화성에서 가장 높은 곳이다. 그 위에서 장용영의 대장군이 정조에게 보고를 하고는 했을 것이다. 그 가까이가면 기단만 장대석으로 쌓고, 그 위는 벽돌로 쌓은 부분이 보인다. 검은 벽돌이 비에 젖어 더욱 윤기가 난다. 갑자기 한 무리의 군사들이 성벽을 뚫고 쏟아져 나온다. 혼비백산한 적들은 줄행랑을 치기 바쁘다.

 

 

 

 

“장군 큰일 났습니다.”

“무슨 일이냐?”

“저 화성의 성을 쌓은 돌은, 돌이 아닙니다.”

“이놈이 정신이 빠졌느냐. 도대체 그게 무슨 말이냐? 돌이 아니라면 도대체 무엇이란 말이냐?”

“저 돌처럼 생긴 것들은 모두 장용영의 군사들이 위장을 한 것입니다. 성벽이 갑자기 장용영의 군사들이 되어 저희를 공격했습니다.”

 

아마도 그랬을 것이다. 거긴 움푹 들어간 성벽 안에 교묘히 감춘 서암문이 있었다. 암문은 군수물자를 들이거나, 적의 배후를 공격할 수 있도록 만든 구조물이다. 서장대를 공격하는 적을 급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서암문을 지키기 위해, 가까운 곳에 서포루를 두었다. 서암문을 지나면 갑자기 성이 높아진다. 바로 위에 서장대와 서노대가 있기 때문이다.

 

조금 주춤했던 비가 갑자기 세차게 쏟아진다. 아마도 이렇게 비가 내리는 날 이곳에서 교전을 했다고 하면, 적은 단 한명도 살아남질 못했을 것이다. 빗속에서 앞이 잘 보이질 않는데, 뒤편에서까지 공격을 받는다면 이길 장사는 없다. 잠시 발길을 멈춘다. 서암문 안으로 들어가 비를 피해본다. 오늘따라 정말로 암문의 성벽들이 장용영의 군사들이 될 것만 같다.

 

 

또 다시 200년의 세월이 흐른 다음, 누군가 이곳을 돌면서 이야기를 하지 않을까? 그도 나처럼 이 성벽과 대화를 할 줄 알았으면 좋겠다는 바람이다. 그 마음 하나 주어 담아 발길을 옮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