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은 우리나라의 명창들이 태어난 곳으로도 유명하다. ‘전무후무한 대명창’이란 칭호를 듣던 이동백 명창이 종천면 도만리 출신이며, ‘한국 판소리는 김문에서 되다시피 했다고 극찬을 한 김성옥 - 김정근 - 김창룡, 김창진으로 이어지는 김문의 소리가문이 장항 빗금내에서 살았다. 이렇듯 우리문화의 보고로 불리는 서천은 마량리 동백숲으로 인해 더욱 유명하다.



 

서천군 서면 마량리는 유명한 동백나무 숲이 있어, 많은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서천 팔경 중의 한 곳으로 유명세를 타고 있는 마량리 동백나무 숲은 천연기념물 제169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수령 5백 여 년이 지난 동백나무 80주 정도가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마량리 동백 숲은 3월 하순부터 5월 초순까지 푸른 잎 사이에 수줍은 듯 피어있는 붉은 동백꽃을 마음껏 감상할 수 있다. 동백은 그 꽃이 피는 시기에 따라 춘백, 추백, 동백 등으로 구분을 한다. 열매는 삭과로 가을에 구형으로 익으며 3갈래로 벌어지는데, 그 속에는 진한 갈색의 씨가 들어 있다. 아직은 파랗거나 붉어지는 열매가 달려있다.

절경에 자리한 동백 숲

 


시원한 서해바대를 바라다보면 앞으로 고기를 잡는 어부들과 멀리 가물거리는 수평선에 떠 있는 무수한 고깃배들을 볼 수가 있다. 조금 가파르기는 해도 계단을 오르면 키가 큰 소나무 숲을 지나 동백 숲이 보인다. 동백 숲을 지나면 그 중간에 당집이 있다. 마량리는 지리적인 특성으로 인해 일출과 일몰을 함께 볼 수 있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동백나무 숲 안에는 풍어제를 지내는 사당이 자리하고 있고, 그 앞으로는 서해안의 경치를 조망할 수 있는 ‘동백정’이 자리하고 있으나, 현재 동백정은 보수공사 중이다. 이 동백나무 숲은 이곳에서 500m 쯤 떨어진 마을의 바람을 막아주기 위한 방풍림으로 조성을 하였다고 하지만, 그러한 전해지는 이야기는 별로 신빙성이 있어 보이지는 않는다.

 

일설에는 약 300여 년 전 이 지방에 부임한 고을 수령이 꿈을 꾸었는데, 바다 위에 떠 있는 꽃다발을 보았다는 것이다. 아침에 일어나 바닷가에 가보니 정말 꽃이 있어서 가져와 심었는데, 그 때 심은 꽃이 현재 동백나무 숲이 되었다고도 한다. 사람들은 해마다 음력 정월에 이곳에 모여 풍어제를 올리며, 고기잡이를 나간 어선들이 재앙이 없기를 빌고는 한다.


휘귀한 보호 숲 마량리 동백나무 숲


동백나무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나무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과 중국, 대만 등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한다. 마량리 동백나무 숲은 서해가 내려다보이는 낮은 언덕에 자리하고 있다. 동백은 우리나라에서는 남쪽 해안이나 섬에서 자란다. 마량리는 동백나무가 자랄 수 있는 북쪽 한계선상에 자리하고 있어, 식물분포학적 가치가 높다. 이곳의 동백나무들은 강한 바람을 받아 키가 작은 편이며, 3∼5m에 이르는 나무는 땅에서부터 줄기가 2∼3개로 갈라지면서 곁가지가 발달하여 나무의 모습이 둥근 모양을 하고 있다.


아름다운 꽃을 피우기 위해 철을 기다리고 있는 마량리 동백나무 숲. 정월에 시끌벅적하니 치러지는 풍어제와 함께 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저 멀리 나가있는 수많은 고깃배들이 만장을 느린 모습들을 그려보면서.

동백은 그 꽃이 피는 시기에 따라 추백(秋栢), 동백(冬栢), 춘백(春栢) 등으로 구분이 된다. 난 개인적으로는 추백이나 동백보다 봄철에 꽃을 피우는 춘백이 좋다. 겨우내 꽃을 피우고도 모자라 5월까지도 꽃을 피우고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많은 나무가 함께 뒤엉켜 있는 모습을 보면, 그 꽃에서 민초들의 어우러진 삶을 연상할 수 있어서 더욱 좋다.

내가 서천군 서면 마량리 산 14번지 일대에 있는 천연기념물 제169호인 ‘마량리 동백나무 숲’을 좋아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이다. 우선은 아름답게 꽃을 피우는 동백 숲도 있지만, 당집과 동백정, 그리고 서해바다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많은 볼거리가 한꺼번에 모여 있는 곳은 찾아보기가 쉽지가 않다.


5월을 아름답게 꾸미는 마량리 동백

지난 5월 4일 서천군 마량리 동백나무숲을 찾았다. 이곳은 80주가 넘는 동백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다. 100주도 채 안 되는 동백나무 군락이지만, 주변을 덮고 있는 모습을 보면 장관이 따로 없다. 이곳의 나무들은 강한 해풍으로 인해 키는 그리 크지 않다. 하지만 옆으로 퍼져나간 나뭇가지들은 오히려 무성한 숲을 이루며 아름다운 모습으로 자라나고 있다.

요즈음은 작은 나무들을 키워 더 넓은 지역에 동백 숲이 조성이 되고 있어 그도 볼만하다. 이곳에 동백나무를 처음 심은 것은 약 500여 년 전이라고 한다. 전설에는 마량리에 주둔하던 수군첨사가 꿈에 바닷가에 있는 꽃 뭉치를 많이 증식시키면, 마을에 항상 웃음꽃이 가시지를 않을 것이란 계시를 받았다는 것이다.



수군첨사는 진감인가 하여 바닷가에 나가보니, 정말로 꽃이 있었단다. 그것을 증식시킨 것이 바로 현재의 마량리 동백나무숲이라는 것이다. 동백나무숲 옆으로는 해송이 자라고 있는데, 이 두 숲이 방풍림 역할을 하고 있다.

서해를 내려다보는 동백정의 정취

사람들은 동백나무가지가 터널을 이루고 있는 계단을 오르며, 무엇이 그리 즐거운지 연신 웃음소리가 그치지를 않는다. 아마도 500여 년 전 이곳에 동백을 심은 수군첨사의 꿈대로, 이곳을 찾는 모든 사람들의 얼굴에 웃음이 가시지를 않기 때문인가 보다. 동백꽃이 땅에 떨어져 그림처럼 아름답다. 떨어져 내린 꽃도 이렇게 아름다운 줄은 예전에 미처 몰랐다.



바닷가가 내려다보이는 곳에 오르면 누각으로 된 동백정이 있다. 지난해인가 이곳을 찾았을 때는 보수공사 중이라 미쳐 정자에는 오르지를 못했다. 정자에 올라 서해를 내려다본다. 5월의 시원한 해풍에 몸을 맡긴 채, 한 없이 이곳에 머무르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다. 아마도 수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찾아, 이 절경에 세월이 가는 것을 모르고 머물지 않았을까?

연인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

나이 지긋한 연인들도 이곳을 오면 젊은이가 되나보다. 젊은 연인들보다 오히려 나이가 든 부부들이 더 많이 찾는 듯하다. 아마도 동백나무숲과 동백정의 정취 때문은 아닐는지. 동백나무숲만으로도 족하거늘, 동백정이 그 풍취를 더하고 있다.



멀리 작은 배 하나가 지나간다. 그런 모습을 보고도 글 한자 남길 수 없는 마음이 안타깝다. 정자에서 내려 동백나무숲 안을 들여다본다. 가지가 이리저리 서로 맞물리며 자라고 있다. 그저 이곳을 오면 민초들의 얼크러진 삶이 연상되는 것도, 이렇게 무성하게 자라고 있는 가지 때문이다.

늘 찾아오는 곳이지만, 늘 새로움을 느낄 수 있는 곳. 마량이 동백나무숲은 주변 절경과 어우러져 늘 미소를 머금게 한다. 아마도 500년 전의 이 전설은 앞으로도 영원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힘들고 지쳤을 때 이렇게 찾아와 새 힘을 얻을 수 있도록. 뒤돌아 오는 길에 누군가 동백꽃 세 송이를 울타리에 올려놓았다. 그것을 바라다보며 괜히 입가에 미소를 머금는다. ‘저 것만 보고도 글 하나는 쓸 수 있다’는 바보 같은 생각을 하면서.



양양군 서면 황이리, 양양에서 출발을 하여 구룡령으로 가는 길에 만나게 되는 선림원지는, 미천골이라는 계곡 곁에 자리하고 있다. 이 선림원지에는 4종의 보물이 자리하고 있다. 이 선림원지 한 편에 자리하고 있는 보물 제446호는, 홍각선사의 탑비 귀부 및 이수이다. 이 탑비는 홍각선사의 공로를 기리기 위한 탑비이다.

2004년 10월에 선림원지를 답사 갔을 때는 비 받침인 귀부와 머릿돌인 이수만이 남아있었다. 이번 11월 14일 답사를 할 때는 새롭게 조성을 한 비가 새워져있어 완전한 옛 형태를 보이고 있다. 비문이 파편만 남아 국립춘천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던 것을 재현하여 세웠다고 한다. 이 홍각선사 탑비의 재현된 비는 가로 94cm, 세로 173.5cm 정도로 1,340자 내외가 있던 것 중, 710자를 복원하였다고 한다.



새로 몸돌인 비를 세운 이번 답사 때의 모습과(위) 지난 2004년 10월 귀부와 이수만 있을 때의 모습(가운데와 아래)

통일신라 때 세워진 홍각선사 비

보물 제446호인 홍각선사 비는 통일신라 때인 정강왕 원년인 886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탑비는 비받침인 거북이인 귀부와 몸돌, 그리고 머릿돌인 이수로 구분한다. 홍각선사 비의 받침의 거북은 목을 곧추세운 용의 머리모양으로 바뀌어있다. 이런 형태는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기로 넘어가는 시대에 많이 보이는 형태이다.

이 거북이는 땅에 납작 엎드린 형태이며, 등에는 육각형의 귀갑문이 선명하게 남아있다. 네 발은 모두 날카로운 발톱을 갖고 있어, 거북이의 발톱이라고 보기보다는 용의 발톱에 가깝다. 이 거북이의 또 하나 특징은 바로 네발에 있는 수염 같은 형태이다. 발에서 나온 이 수염 같은 형태의 조각은 보기가 힘들다. 아마도 이 수염 같은 것은 날개를 대신한 것은 아닌가 생각이 든다.



다리에 붙은 저 조각은 수염인지? 혹은 날개를 상징한 것인지 궁금하다.

특징 있는 홍각선사비의 조각예술

귀부의 등에 붙어 있는 네모난 돌은, 비의 몸돌을 세우는 자리이다. 이곳에는 연꽃무늬와 구름무늬가 새겨져 있으며, 측면에는 소라형의 무늬 위에 안상이 새겨져 있다. 비머리인 이수에는 전체적으로 구름과 용이 사실적으로 조각되었고, 중앙에는 네모난 안에 ‘홍각선사비명’이라는 전액을 양각하였다. 그 주변에는 온통 운용문을 새겨, 신라 하대 석비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이고 있다.

비 머리에 보면 두 마리의 용은 서로 마주하고 입을 벌리고 있으며, 두 마리의 용은 머리를 아래로 하고 양편에 자리하고 있다. 비명을 사이로 대각으로 마주하고 있는 형태이다. 사실적으로 묘사가 되었다고 하지만, 그 힘찬 조각은 절로 감탄을 자아내게 만든다.



새로 조성된 몸돌인 비와 머릿돌인 이수의 앞과 뒤

홍각선사에 대해서는 자세히 전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비의 파편과 『대동금석서(大東金石書)』에 의하면, 홍각선사는 경서에 해박하고, 수양이 깊어 따르는 사람들이 많았다고 전한다. 비문은 운철이 왕희지의 글씨를 다른 곳에서 모아 새긴 것이라고 한다. 비문의 내용은 비명과 비문의 찬술 관련자, 홍각선사의 생애와 선사가 입적 후 비를 새우게 된 내력 등을 적고 있다.

처음 찾았을 때는 귀부와 이수만 남아 한편에 엎드린 듯 보이 던 홍각선사 탑비. 새롭게 조성을 한 탑비로 인해 제대로의 모습을 보여준다. 전국에 이렇게 비문이 사라진 수많은 문화재들이 제 모습을 찾을 수 있기를 고대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