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은 191931일에 일어난 기미년 3,1만세운동 때, 수원 곳곳에서 한 달간이나 계속되어 산발적으로 일어났다. 특히 329일에 일어난 만세운동은 건강 검진을 받기 위해 병원으로 향하던 기생 33명이 주도를 하였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당시 기생들은 교방청 등에 속해있던 예인들이 기생단속령으로 인해 관기 등으로 전락하자, 기생조합을 설립하고 조직적인 활동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수원시 중심에 솟아있는 팔달산. 팔달산은 화성이 위치하고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팔달산은 수원시민은 물론, 전국 각처에서 수원을 찾아오는 많은 관광객들도 즐겨 찾는다. 이 팔달산에 ‘3,1독립운동기념탑이 서 있다. 이 기념탑은 196931일 세운 것으로 40년 세월이 지나면서 풍화에 많은 부분이 훼손이 되어 있다.

 

팔달산 3,1운동 기념탑 정비한다.

 

팔달문에서 화성 성벽을 따라 위로 오르면 서남암문이 나온다. 암문을 통해서 용도로 나갈 수가 있으며, 암문에서 우측방향으로 10m를 가면 3,1운동 기념탑과 대한민국독립기념비가 나란히 서 있다. 21일 오후 5시 경 수원시장을 위시한 몇 사람이 이곳을 찾았다. 그동안 많은 시간이 지나면서 훼손이 된 기념탑을 새로 정비를 하기 위함이다.

 

이번에 새로 정비가 되는 기념탑은 좌우에 새겨져 있는 부조를 청동으로 교체한다. 기념탑을 바라보고 좌측에는 3,1운동 당시 거기로 나와 만세를 부르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으며, 우측에는 유토피아를 표현한 부조이다. 또한 탑의 중앙에 자리하고 있는 상석은 비례가 안 맞아 한편으로 치우쳐 있는데, 이것을 고흥석 재질로 조금 크게 조성한다.

 

 

기념탑 가운데 3,1독립운동 기념탑이라고 쓴 게판도 글씨가 다 지워질 정도로 훼손이 된 것을 새로 제작을 하기로 했다. 또한 기념탑 우측에 마련한 기념탑을 설명하고 있는 안내문구도 브론즈 재질로 선명한 글씨로 교체한다. 탑 주변에 마련한 긴 의자도 샌딩 및 오일 스테인 도장으로 교체한다.

 

중포산에서 옮겨 온 기념탑

 

원래 3,1독립운동 기념탑은 196931일 우리 선열들의 국권을 회복하기 위해 항쟁한 성업을 빛내고 선열의 명복을 빌기 위해 마련한 것이다. 최초로 기념탑을 세운 자리는 일제치하의 수원경찰서 사범계 주임인 노구찌소위의 순국비를 허문 자리에 세운 것이다. 그것을 3,1동지회가 그 해 1015일 팔달산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탑의 뒤편에 보면 196931일 이 탑을 세울 때 이병희가 지은 <삼일독립운동 기념탑비문>이 적혀있다.

191931. 한국 민족의 울분과 감개가 멍울진 독립선언은 반만년 역사를 이어 온 배달겨레의 위대한 독립정신을 만방에 선양한 바 있으니 자유와 평화를 사랑하는 백의민족의 원한의 함성은 지축을 뒤흔들고 자유와 그것 아니면 죽음을 달라는 민족의 피맺힌 절규는 온 누리에 자유의 횃불을 밝힌 것이다.(중략)

 

나뭇잎 바람결 한 소리에도 영원한 민족의 생명이 천고의 기가 차오리다. 3,1은 민족의 얼이요 피요 구원의 샘터로 가리어지고 가꾸어지리니 정의의 채찍을 들고 길을 밝힌 그 드높은 3,1의 얼은 자유와 평화, 영광과 번영을 향한 줄기찬 민족의 전진 속에 살아서 움직이며 굳건히 다지어 지리다

 

 

선열들의 뜻을 기리고, 지금까지도 망언을 일삼고 있는 일본. 그리고 독도를 자기들의 영토라고 말도 안 되는 주장을 하며, 역사마저 왜곡하는 반인륜적인 도덕 불감증인 나라. 이러한 시기에 3,1독립운동 기념탑을 정비한다는 것은 큰 의미를 갖는다고 하겠다. 정비가 끝나면 많은 사람들이 이곳에 들려 선열들의 숭고한 정신을 이어받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 감을 자랑 마라.

일도창해하면 돌아오기 어려우니

명월이 만공산하니 쉬어간들 어떠리. -황진이-

 

송도 명기인 명월이 황진이가 벽계수의 마음을 떠보기 위해 지었다는 시조이다. 세월은 덧없는 것이라. 황진이의 시는 전하지만, 벽계수는 대체 어떤 이유로 첩첩산중 찾는 이 없는 외로운 곳에 유택을 마련했을까?

 

그러고 보면 이곳을 다녀온지도 꽤 시간이 흘렀다. 문막에서 원주로 가는 도로 우측 편에 보면 ‘동화사’라는 이정표와 함께, 벽계수 이종숙 묘역이라는 입간판이 있다. 안내판을 따라 들어가면 큰 돌 하나를 세워 세종대왕의 증손인 벽계도정 후손묘원이라고 썼다. 양편으로 밭이 있고 임도를 따라 조금 들어가다가 보면 벽계수 묘역이 우측 산길로 400m 라는 표시가 보인다.

 

 

찾는 이 없는 벽계수를 찾아가다

 

조금은 가파르다 싶은 산길을 따라 걷다가 보면 고묘가 한기 보이고, 그 앞에 벽계수묘역이 100m 전방에 있다는 표시를 본다.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동화리 산90번지, 바로 벽계수와 부인인 해평 윤씨가 함께 잠들어 있는 유택이다. 세종대왕의 증손으로 알려진 벽계수는 왕족이다.

 

세종대왕과 신빈 김씨 사이에서 영해군이 태어났고, 영해군의 차남은 ‘길안도정’이다. 이 길안도정의 3남이 바로 황진이와 의 애틋한 사랑이야기의 주인공이 될 뻔한 벽계도정 벽계수이다. 여기서 도정이라 함은 세자의 증손 혹은 대군의 손자나 세자의 아들 및 적증손 에게는 정3품 계자를 제수하고 도정이라고 했다. 벽계수 또한 도정이라는 품계를 제수 받았다.

 

 

 

현실과 거리가 먼 벽계수의 사랑

 

벽계수는 중종 3년인 1508년에 태어난 것으로 기록되고 있으나, 사망한 년대는 불분명하다. 품계는 명선대부에 올랐으며 휘는 종숙, 호는 현옹이었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였으며, 혼탁한 세상을 싫어하며, 빗대어 쓴 시가 많이 전한다. 35세인 1542년에는 관찰사를 역임하기도 했다.

 

사람들은 흔히 드라마 속의 벽계수를 기억한다. 황진이와 서로 사랑놀음을 하면서 밀고 당기는 가운데, 자신이 연모하고 있는 여인에 대한 애틋한 감정을 표출하기도 한다. 하지만 현실은 거리가 먼 것일까? 황진이는 송도 부근 성거산에 있는 화담 서경덕을 찾아가, 그를 유혹하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한다.

 

 

 

그리고는 다시 서경덕을 찾아가 스스로 송도에 꺾을 수 없는 것 세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박연폭포요, 둘째는 화담 서경덕이요, 셋째는 바로 황진이 자신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 유명한 송도삼절이 생겨난 것이다.

 

벽계수의 사랑은 플라토닉 러브일까?

 

그러나 막상 청산리 벽계수의 주인공인 벽계수는 황진이의 그 애간장을 녹이는 시조 한수로 그만 낙마를 하고, 황진이의 마음속에서 멀어졌다. 문막읍 동화리 산 속에 있는 벽계수 이종숙의 묘, 묘지 위에는 이름 모를 풀들이 자라있다. 앞에 석물 몇 기는 최근에 후손들이 세운 듯하다. 묘역 한편에 있는 석물을 보니, 꽤나 오래된 돌이다.

 

 

이곳으로 옮겨왔다는 묘역은 그렇게 하늘을 바라보고 있다. 묘역이 배향한 방향을 보니, 이 길로 가면 송도로 가는 방향은 아닐까? 한참이나 묘역 앞에 앉아 벽계수와 황진이, 그리고 주변 사람들을 기억해 낸다.

 

누군가 묘역 앞에 술병을 치우지 않고 갔다. 그럴 줄 알았으면 막걸리라도 한 통 받아올 것을. 내려오는 길에 숲속에서 나무 부딪는 소리가 나 쳐다보니, 커다란 노루 한 마리가 산등성이를 향해 치닫는다. 아마도 벽계수의 영혼이 그리운 황진이를 찾아 뛰어가는 것은 아니었는지. 그 사라진 숲만 쳐다보고 있다.

진주시 수곡면 효자리 산139번지에는, 주변이 송림으로 쌓인 곳에 옛 고묘가 자리하고 있다. 이곳은 가야시대의 토기 등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옛날부터 묘역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효자리에 있는 고분은 경상남도 기념물 제42호로 지정이 되어있으며, 조선 태종 때 사온서 직장을 지낸 하현의 무덤이다.

수곡면에 있는 효자리 고분군은 수곡초등학교로 향하는 도로 옆에 형성된 요산마을의 서남쪽에 있다. 해발 70m 전후의 낮고 평평한 구릉에 있는 이 고분은, 계단을 조성해 놓아 오르기에 편하다. 6월 10일 오후, 진주에 들릴 때마다 찾아가고 싶었던 곳이다. 진주 수곡은 진양 하씨들의 유적이 많은 곳이기 때문이다.


조상들의 유적을 돌아보다.

개인적으로는 조상의 고묘이다. 하기에 기대를 걸고 계단을 올랐다. 오르는 계단 주변에는 잡풀이 무성해, 자손으로서 낯이 뜨겁다. 시간만 허락한다면 풀이라도 베어내 정리를 하고 싶은 생각이다. 저만큼 고분이 보이는데 여기저기 계단 주변에 석재들이 널려있다. 어디에 쓰였던 것인지는 확실치 않지만, 이곳에는 예전부터 많은 고분들이 있었다는 것으로 보아 그런 곳에 쓰였던 석재들이 아닐까?

이곳에 있는 분묘는 조선조 태종 때 사온서직장을 지낸 하현과 부인 포산 곽씨의 묘이다. 하현(河現)의 묘는 화강암을 이용하여 높이 15cm, 길이 210cm의 지대석을 쌓고, 둘레돌인 갑석을 갖춘 팔각형의 호석을 마련하였다. 그 위에 흙으로 봉토를 완성한 형태를 하고 있다. 묘의 앞에는 비석과 상석, 좌우에는 높이가 170cm 정도의 문인석이 배치되어 있다.



‘사온서’란 고려시대에 궁중에서 쓰는 술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이었다. 고려 문종 때 설치된 ‘양온서’를 충렬왕 34년인 1308년에 사온서로 고쳤으며, 직장이란 정7품의 벼슬을 말한다. 공민왕 5년인 1356년에 그 명칭을 다시 양온서로 고치는 등, 여러 번 이름이 바뀌면서 조선시대로 이어졌다.

조선조 초기에 마련한 유례가 드문 분묘

이 고묘는 팔각형으로 조성을 하였다는 것도 특이하지만, 특히 갑석의 모서리마다 반전된 귀를 나타내고 있다. 이런 형태는 마치 석탑의 옥개석과 같은 형태이다. 외형이 이러한 형태의 분묘는 유례가 드물 뿐 아니라, 축조연대가 조선조 초기가 확실하기 때문에 이시기 묘제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먼저 머리를 조아려 조상에 대한 고마움을 표하고 난 뒤, 주변을 찬찬히 살펴본다. 고묘 주변의 마을은 진양 하씨들의 세거촌이다. 이곳에는 이 고묘 외에도 몇 기의 고묘가 더 있다고 한다. 주변을 돌담으로 둘러치고 앞으로는 트여있는 고묘 주위에는 울창한 소나무 숲이다. 그저 모르는 사람의 눈으로 보아도 명당이란 생각이다.

비석 앞에 놓인 두 개의 상석 측면에는 탱주와 같은 중앙 기둥을 새겨 넣었다. 그리고 앞쪽의 상석은 화려한 문양이 새겨져 있다. 모든 것들이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고묘에서 볼 수 있는 형태와는 많은 차이가 난다. 왜 조상님들은 이렇게 팔각으로 된 고묘를 이곳에 조성했던 것일까? 당시의 묘라고 해도 이런 형태는 찾아보기가 힘들다.




다시 찾아와 조상님께 대한 예를 올려야겠다.

진주시 수곡면 효자리는 많은 문화재가 전하고 있는 곳이다. 500년 세월을 그렇게 자리를 지키고 눈앞으로 펼쳐지는 들판을 내다보고 있는 선조. 이곳을 찾아오다가 보니 마을에 양조장 하나가 있었는데, 사온서 직장을 지내셨다는 것을 알았다면 막걸리라도 한 병 사들고 올라올 것을 그랬다고 뒤늦은 후회를 한다.

오래 앉아 있을 수는 없는 답사길. 다음에는 꼭 술 한 병 사들고 찾아와, 조상님에 대한 예의를 갖추겠다고 다짐을 한다. 내려오는 길에 자꾸만 뒤를 돌아다보는 것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후손으로서의 예가 부끄럽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