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수원에는 모두 67점의 문화재가 소장한다. 이 중 국가지정 보물이 모두 11점으로, 보물 제14호인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와 수원화성 화서문, 팔달문, 방화수류정, 서북공심돈 등이 속해있다. 국가 사적은 3점으로 사적 제3호인 수원화성, 사적 115호 화령전, 사적 제478호 수원화성행궁 등 3점이다.

 

국가민속문화재는 장안구 파장동 행정복지센터 앞에 소재한 제123호 수원광주이씨 고택이 있으며, 경기도 유형문화재는 제69인 팔달문 동종(수원박물관) 26점이 있다. 경기도지정 무형문화재는 제8호인 승무·살풀이춤 등 4, 경기도기념물은 제19호 노송지대 등 8점이 소재한다. 경기도문화재자료는 제1호 수원향교를 비롯해 모두 8점이 있다.

 

 

일제 강점기 이후 근대에 생성·건축된 유물 및 유적이 중점적으로 등재되어 있는 등록문화재는 모두 6점의 등록문화재가 있다. 등록문화재 제597호인 팔달구 교동 741에 소재한 구 수원문화원 건물과, 등록문화재 제598호로 지정되어 있는 팔달구 매산로 119(교동, 가족여성회관)에 소재한 구 수원시청사 등이 있다.

 

이중 불교관련문화재는 보물 제14호인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경기도 유형문화재 재151호 봉녕사 석조삼존불, 152호 봉녕사 불화와 제221호 수원청년암 영산회상도, 경기도기념물 제225호 수원창성사지, 경기도문화재자료 제146호 수원청년암 아미타회상도, 147호 수원 청년암 신중도, 148호 수원 청년암 독성도, 149호 수원 청년암 산신도, 150호 수원 청년암 칠성도 등이 10점의 문화재가 소재하고 있다.

 

 

불교문화재를 돌아보는 것도 의미있는 여행

 

항상 문화재 답사를 하면서 느끼는 점이지만 의미없는 여행은 그만두라고 권하고 싶다. 요즈음 사람들은 기동력이 좋기 때문에 차를 몰고 어디든지 돌아보기 편하다. 하지만 그렇게 준비 없이 떠난 길에서 만난 모든 것이 얼마나 오래 기억에 남아있을까? 여행은 다녀온 후 10년이 지나도 그 당시의 모든 것을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하기에 난 여행을 떠나기 전에 철저하게 사전 준비를 한다. 그리고 가급적이면 주제를 정해서 여행을 하는 것이 좋다. 한 가지 테마로 인근에 있는 관광명소를 돌아보면(그곳이 문화재가 되었던지 명소가 되었던지) 후일 정리하기도 좋고, 테마가 있는 여행이기 때문에 오래도록 기억에 남기 때문이다.

 

수원여행을 하면서 경치가 좋은 곳이나 사람들이 많이 찾아가는 곳을 여행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보다는 한 가지 테마를 정해 돌아보는 것을 권장하고 싶다. 하기에 수원에 문화재로 지정된 많은 유산 중에 불교와 관련이 있는 곳을 돌아보기를 권한다. 문화재청 홈페이지나 수원시청 홈페이지를 들려보면 자료는 충분하다.

 

 

보물 진국국사 탑비와 봉녕사, 청년암 등 하루에 돌아볼 수 있어

 

13, 일찍 길을 니섰다. 방화수류정을 오르는 길로 들어서면 삼일상업고등학교로 오르는 도로 좌측에 진각국사탑비가 자리하고 있다. 진각국사탑비는 원래 광교산 창성사 터에 있었다. 이 탑비는 고려 우왕 12년인 1386년에 명승인 진각국사(1307 ~ 1382)의 행적을 기록한 탑비로, 진각국사는 충렬왕 33년에 출생하여 13세에 화엄종 반용사에 들어가, 19세에 상풍선에 오른 고려 말의 화엄종사이다. 왕은 <대화엄종사 선교도총섭>이라는 칭호를 주었다. 창성사가 폐사되어 1965년도에 이비를 현 위치인 방화수류정 인근으로 옮겼다.

 

탑비를 돌아본 후에는 인근 우만동에 소재한 봉녕사를 찾아가면 여행 동선이 편해진다. 수원시 팔달구 우만동 248번지에 소재한 비구니의 요람이라는 봉녕사는 비구니 승가대가 있는 절이다. 봉녕사의 용화각에는 고려중기의 석불로 보이는 석조삼존불상이 모셔져 있다. 이 석조삼존불상은 대웅보전 뒤편 언덕에서 건물을 지으려고 터를 닦던 도중에 출토되었다고 한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1호로 지정되어있는 석조삼존불상은 본존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보살입상을 배치하고 있다. 불상과 연화대좌는 각각 하나의 석재로 조성하였는데, 모래가 많이 섞인 화강암으로 조성하였다. 삼존불 모두 뚜렷한 이목구비가 보이지 않는데, 이는 오랜 시간 땅 속에 파묻혀 마모가 된 것으로 보인다.

 

봉녕사의 중심인 대적광전을 바라보고 좌측에는 약사보전이 자리하고 있는데 약사보전에는 경기도지정 유형문화재 제152호인 봉녕사 불화 2점이 일괄 지정되어 있다. 약사보전에 보존되어 있는 문화재는 바로 신중탱화와 현왕탱화이다. 봉녕사를 돌아본 후 조원동 광교산 자락에 위치한 청년암을 찾아보는 동선을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련암은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의 말사이다. 조선 정조 1년인 1777년에 비구니 청련이 심낙서 등의 시주를 얻어 창건한 사찰로, 1902년 영친왕의 생모인 엄비가 중창하였다. 청련암에는 여러 조선후기의 불화들이 전해지고 있다.

 

이 세 곳의 불교 관련 문화재를 돌아보는데 걸리는 시간은 차를 이용한다면 한나절이면 충분하다. 하지만 진각국사탑비를 제외한 봉녕사 불교문화재나 청련암 불화 등을 촬영하려면 반드시 먼저 종무실을 찾아들어가 촬영을 하겠다고 승낙을 받아야 한다. 요즈음 불교문화재 훼손이 자주 일어나기 때문에 모든 전각에는 CCTV가 설치되어 있다. 테마가 있는 수원여행, 더 날이 추워지기 전에 한 바퀴 돌아보기를 권한다.

수원시 팔달구 우만동 248에 소재한 봉녕사. 봉녕사는 우리나라 비구니 가람의 으뜸이라 칭한다. 봉녕사는 고려 희종 4년인 1208년에 원각국사가 창건한 절로, 창건 당시에는 성창사라 하였다. 1400년경에는 봉덕사로 개칭하여 오다가, 조선조 예종 원년인 1469년 혜각국사가 중창하고 사명을 봉녕사라 하였다.

 

혜각국사는 수원 광교산 일대에서 오래 생활을 해온 것으로 보인다. 광교산 중턱에 있었던 창성사에서도 혜각국사의 흔적이 발견이 된 것을 보면, 광교산 일대에 99개의 사암이 있었다는 이야기가 허튼 소리는 아니었을 것으로 보인다. 혜각국사는 세조로부터 스승으로 예우를 받았으며, 간경도감의 경전언해에 기여를 하기도 했다.

 

 

 

19세기 말에 활발한 불사가 이루어져

 

그 이후 봉녕사에 대한 기록은 자세히 전하지 않는다. 1971년 비구니인 묘전스님이 주지로 부임을 하면서 봉녕사는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된다. 묘전스님은 봉녕선원을 개원하였으며, 1974년에는 비구니 묘엄스님을 강사로 승가학원을 설립한다. 1979년에는 묘엄스님이 주지와 학장을 겸직하고, 1983년에는 승가대학을 설립했다.

 

1999년 6월에는 비구니 사원으로서는 처음으로 금강율원을 개원하였다. 수원에서 가장 오랜 전통사찰인 봉녕사에는 고려시대의 불상인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석조 삼존불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2호인 신중탱화와 현왕탱화가 모셔져 있다.

 

 

 

 

지난 10월 5일, 사찰음식문화대향연을 취재차 찾아간 봉녕사. 대적광전 앞으로 올라가 참례라도 해야겠다는 생각으로 발길을 옮겼다. 그런데 그곳에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꽃 잔치가 벌어지고 있었다.

 

석조와 어우러진 꽃들, 연화세계가 여기든가?

 

대적광전과 수령 800년이 지난 향나무의 모습만 보아도 사람들은 그 분위기에 젖어든다. 그런데 여기저기 놓인 석조마다 가득 꽃을 품고 있다. 그만 그 꽃구경에 취해버렸다. 정작 사찰음식대향연은 뒷전으로 미루고, 꽃에 반해버리다니. 아마도 누구보다 꽃을 좋아하는 마음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워낙 석조와 어울리는 꽃들이기 때문이다.

 

 

 

 

가끔 취재를 다니다가 보면, 이런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정작 취재를 할 것보다 더 좋은 소재를 얻었다고 한다면, 그도 그냥 넘겨버릴 수가 없으니 말이다. 이렇게 아름다운 모습을 많은 사람들과 공유를 한다는 것은, 더 없이 즐거운 일이 아닌가. 땀을 흘리며 꽃을 찍고 있다가 보니, 어느새 나도 그 꽃들을 닮아가고 있다.

 

그래서 꽃과 바람, 산천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마음이 늙지 않는다고 했는지. 대적광전과 향나무 인근에 꽃들을 촬영하고, 대적광전 앞으로 가 잠시 머리를 숙인다. 누군가 열심히 절을 하는 뒷모습이 보인다. 등 뒤로 땀이 축축이 배어있다. 아마 오랜 시간 저렇게 절을 하고 있는 것인지. 마음속에 간구하는 것이 있어 저리도 열심을 낸다면, 그 원이 이루어지지 않겠는가? 작은 내 마음 한 자락 덜어내어 그 절을 하는 이의 마음에 보태고 싶다.

 

 

 

아마도 아직 봉녕사에는 그 석조에 담긴 꽃들이, 찾아가는 이들을 반겨줄 것만 같다. 서리가 오기 전에는 시들지 않을 꽃들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아름다운 것을 더 많이 보여줄 수 없는 아쉬움이 크지만, 멀지 않은 길이라면 봉녕사를 찾아 꽃들과 대화를 해보기 바란다. 아름다움은 사물과의 소통에서 나온다고 하신 어느 노스님의 말씀이 오늘따라 더 생각이 난다. 그것이 바로 법문이었다는 것을.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