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여 간에 걸친 보수공사를 마친 팔달문이 그 모습을 드러냈다. 조선후기인 1794년에 세운 화성의 남쪽 문인 팔달문은, 사방팔방으로 길이 열린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이름이다. 그 이름은 팔달산에서 따왔다. 화성의 네 곳의 성문 중 동쪽문과 서쪽 문에 비해 북쪽문과 남쪽 문은 더 크고 화려하게 꾸몄다.

 

팔달문은 돌로 쌓은 무지개 모양의 문은 왕의 행차 시에도 가마가 드나들 수 있을 만큼 널찍하게 내고 위에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중층 문루를 세웠다. 문루 주위 사방에는 낮은 담을 돌리고 바깥쪽으로는 반달형 옹성, 좌우에는 적대 등 성문 방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시설을 두었다.

 

 

우진각 지붕으로 꾸민 팔달문

 

팔달문은 도성의 문루처럼 우진각 형태의 지붕과 잡상 장식을 갖춘 문루로서 규모와 형식에서 조선 후기 문루 건축을 대표한다. 옹성은 우리나라 성곽에서 일찍부터 채용되었던 방어 시설로서 서울성곽의 동대문, 전주성의 풍남문 등에서도 볼 수 있는데, 팔달문의 옹성은 규모와 형태면에서 한층 돋보인다.

 

414일 오후에 팔달문을 찾았다. 그동안 몇 번인가 촬영을 하려고 했지만, 공사가 마무리가 되지 않아 미루고는 했다. 바람이 세차게 부는 일요일 오후였지만, 그 바람으로 인해 기가 나부끼는 모습이 오히려 보기가 좋다. 차들이 지나다니는 곳에서 촬영을 하느라 조금은 힘이 들었지만, 이렇게 웅장한 팔달문을 볼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하다.

 

 

공사 실명제 석판이 가장 뚜렷해

 

196493일에 보물 제402호로 지정이 된 팔달문은, 화성의 시설물 중에서 서문인 화서문(보물 제403), 방화수류정, 서북공심돈 등과 함께 보물로 지정이 된 시설물이다. 그동안 갑갑하게 공사 때문에 가려져 있던 팔달문이, 모든 공사를 다 마치고 말끔하게 새로 시민들의 품으로 돌아왔다.

 

문을 지나 옹성 쪽으로 나가다가 문의 겉 벽면에 있을 공사실명제 판을 찾아보았다. 이 실명제 판은 4개문에 다 있지만, 장안문은 6.25 때 폭격을 맞는 바람에 깨어졌다고 한다. 대신 그 내용을 적어 옹성 안에 비로 제작을 해두었다. 팔달문을 바라보고 오른쪽 문 벽에 있는 실명제 판에는 감동 전 목사 김낙순, 전 부사 이방운 등 85의 기술자가 팔달문의 조성에 참여를 했다고 적고 있다.

 

 

꿀이 흘렀다는 팔달문

 

문 안에는 커다란 나무 하나가 바닥에 놓여있다. 바로 문을 닫고 빗장을 지를 때 사용하는 비녀이다. 그 크기만 해도 팔달문의 장엄함을 알 수가 있다. 안으로 들어가 옹성의 벽을 바라다본다. 참 단단하게 지어졌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지금은 양편의 성곽이 끊어져 아픔을 더하고 있지만, 그 문 하나만으로도 대단하다.

 

바람이 갑자기 세차게 불어 옹성의 문이 삐그닥거린다. 만일 그 소리를 과거에 적들이 들었다고 하면, 그 소리만으로도 두려움에 떨었을 것만 같다. 함께 팔달문의 구경에 나섰던 김우영 e수원뉴스 주간이 이야기를 한다.

 

 

여기 어디쯤인가 성문 벽에서 무엇이 흘러 내렸데요. 그것을 손가락으로 찍어 먹어보니 달았다는 거예요. 성돌을 들어내고 안을 들여다보니, 그곳에 벌들이 집을 짓고 살고 있었다고 해요

 

팔달문은 생명을 살리는 문이라는 것이다. 정조대왕이 강한 국권을 만들기 위해 전국의 선비들을 모아 장사를 시작했던 곳. 팔달문 앞의 장시는 그렇게 시작이 되었다고 한다. 아마도 그런 장시에 몰려드는 사람들의 흥청거림이 있어, 꿀벌조차도 그 안에 집을 지은 것은 아니었을까?

 

 

모든 공사를 마치고 장엄한 모습을 드러낸 팔달문. 주변을 돌아보다가 보니, 성문 벽 밑에 풀 한포기가 자라고 있다. 그렇게 공사를 하고 있는 동안도 생명이 그것에서 움튼 것이다. 비록 위로 올라갈 수는 없었지만, 주변을 돌아보는 것만으로도 새로운 감흥을 불러온다. 시민의 품으로 돌아온 팔달문, 팔달문을 자랑하기에 주저함이 없는 것은, 새롭게 치장을 한 팔달문을 만났다는 감흥 때문이다.

서원은 조선시대 성리학의 연구와 교육을 목적으로 지방에 세운 사학을 말한다. 16세기 후반부터 세워지기 시작한 서원은 려말선초에 존재하던 서재의 전통을 잇는 것이었다. 서재와 달라진 것이 있다면 서재는 학문을 연마하던 곳인 데 비해, 서원은 학문만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선현을 모시는 사묘로서의 기능을 함께 갖고 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향교에 비해서 서원은 그 규모 등에서 작은 것들이 대부분이다. 각처에 산재한 서원에는 어린 학동들이 학문의 터득을 위해 모여들었다. 서원은 대원군 때 전국에 있는 것들이 대부분 헐리게 된다. 아마도 서원철폐령이 내리지 않았다고 하면, 지금보다 몇 배나 되는 서원이 남아있었을 것이란 생각이다.

 


계절이 배어있는 곳, 거북이와 대면하다.


정읍시 북면 보림리에 위치한 남고서원은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76호로 지정이 되어 있다. 그저 별다르지 않은 이 남고서원은 가을이 배어 있는 곳이다. 남고서원은 호남의 성리학자인 이항과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김천일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조선조 선조 10년인 1577년 처음으로 세워져 숙종 11년인 1685년에는 사액서원으로 선정이 되었다.


사액서원이긴 하지만 여느 서원과 마찬가지로, 고종 8년인 1871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따라 헐리고 말았다. 그 후 김천일의 후손들이 1899년에 다시 세웠다. 이항의 문집목판을 소장하고 있는 남고서원은 현재는 이항, 김천일을 비롯하여 김점, 김복억, 김승적, 소산복 등의 위패를 추가로 모시고 있다.


손을 맞는 두 마리의 거북이가 반기다.


가을이 되면 서원의 담 안에 가을빛이 아름답다는 남고서원. 외삼문을 들어서 뒤를 돌아보면 괜한 웃음을 짓는다. 문을 잠구는 빗장걸이가 두 마리의 거북이가 대신하고 있다. 그저 '별것이 아니다'라고 돌아설 수도 있겠지만 괜히 눈길을 끌고 싶은 것인지. 좌측 거북이는 머리를 쥐어박았는지 무엇이 보기 싫었는지 머리를 졸아들었다.

 

 


외삼문 곁 작은 쪽문도 재미있다. 돌담 사이에 난 쪽문은 그저 어른 한 사람이 통과할 만하다. 마음을 넉넉히 먹지 않으면 짜증이라도 날만한 그런 크기다. 왜 이렇게 작은 협문을 통해서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였을까? 아마도 자신을 이렇게 작게 내려놓으란 소리인가 보다. 남고서원이 재미있는 모습들이다.


가을빛이 아름다운 남고서원


올봄과 지난가을 두 차례 남고서원을 찾았다. 서원 안으로 들어가면 서원 강당건물이 있고, 뒤로는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가 서 있다. 서원의 뒤로는 이항 등의 위패를 모신 문경사가 자리하고 있다. 봄에 찾아갔을 때는 그리 아름답지는 않았다고 기억을 한다. 하지만 가을에 찾아가는 남고서원의 멋은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들이다.

 


바람이라도 불라치면 우수수 떨어지는 노랑 은행잎들이 하늘거리며 떨어지는 것이 마치 춤을 추는 듯하다. 그런 가을 정취를 느끼며 글을 읽는 학동들의 모습이 주마등처럼 스쳐간다. 작은 시골에 소재한 서원이지만 이 남고서원이 왜 철폐령에서까지 제외가 되었는지, 나름대로 수긍이 간다.


유난히 서원이 많은 정읍이다. 아마 그만큼 이곳은 양반들이 선호하는 지역이었을 것이다. 곡창지대인 이곳에 모여들어 자녀들을 교육시키려다보니 그만큼 많은 서원이 있었지만.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 서원의 존폐를 떠나 노랑 가을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생각이다.


문화재를 찾아본다는 것은 어느 때 찾아갈 것인가를 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남고서원이야 말로 가을 은행잎이 물드는 시기에 찾아가는 것이 가장 좋을 듯하다. 올 가을, 서원에 은행 빛이 아름답게 물이 들 때, 다시 한 번 여정을 잡아야겠다.

절집을 가면 가끔 황당할 때가 있다. 이런저런 이유가 다르겠지만, 아무래도 속인들 같지 않으신 스님들은 살아가는 방법이 우리하고는 다른 듯하다. 오늘 찾아간 금산사. 죽은 사람들의 천도제를 지내고 나서 제를 지낸 것들을 태우는 '소대' 옆에 불이문이 있다.

이 불이문을 나서면 다리를 건너 선원으로 올라가는 길이다. 그런데 앞장 선 분들이 내가 소대를 찍고 있는 사이 문을 나서 사라지셨다. 불이문 앞으로 가 문을 열라고 하니, 이게 무슨 일인가 손잡이가 없다. 그리고 밀어도 문이 열리지 않는다. 문 틈으로 보니 밖에 잠굼장치가 있는 듯하다. 아니 그런에 어떻게 여길 나가신 것일까? 도를 많이 닦아 그냥 통과를 하신 것일까?

불이문. 그런데 손잡이가 보이질 않는다.


스님 한 수 배우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문은 밖에서 열고 닫게 되어있다. 선원에 계신 분들에게 방해를 주지 않기 위해 선원 쪽에서 문을 열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선원은 한참 먼 거리에 있어, 이곳까지 누가와서 문을 열어 불 수가 없다. 만일 선원을 나와 공양간에서 밥이라도 먹고 가려면 어떻게 문을 열까? 월담이라도 하는 것일까?

그런데 문에 무엇이 하나 달려있다. 흡사 표주박 같은 것이. 가까이 가서보니 위만 고정이 되어있다. 옆으로 밀어보니 밀린다. 구멍 안으로 보니 손을 넣을만 하다. 세상에 이 구멍으로 손을 넣어 빗장을 푸는 것이다. 간단한 장치 하나가 사람을 재미있게 만든다.

 


문 한편에 무엇이 달려있다. 가까이 보니 위쪽만 고정을 시킨 것이다.

이것을 밀어보니 수월하게 밀린다.

아래를 보니 빗장이 보인다. 아하~ 이렇게 문을 열고 닫았구나.

밖으로 나가보니 이 용도를 쉽게 알 수 있다. 간단한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아무리 보아도 재미있다. 어디다가 서 먹어야겠다.

"스님, 오늘 한 수 배우고 갑니다. 불이문에서. 오늘은 이 장치로 선문답 하나 품고 가렵니다. 아마도 닫아도 열고, 열어도 닫는 마음이나 아닌지 모르겟습니다. 세상에 마음 닫고 사는 저 윗전나리들. 이런 구멍 하나 가슴에 있으면 좋겠습니다. 누구나 열어볼 수 있게. 시장이 되겠다고 하시는 분들, 구청장이 돼야 한다고 고래고래 고함치시는 분들. 이렇게 구멍하나 만들어 가슴을 보이면 좋으련만. 괜한 기대는 하지 않으렵니다. "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