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남고산성에 가면 정몽주의 암각서가 있다. 푯말에는 ‘만경대 암각서’라고 이정표가 길을 안내하고 있는데, 남고산성 안에 있는 남고사 조금 못 미처 길 가에 서 있다. 50여m 정도 바위 길을 따라 올라가면 남고산성이 늘어서 있고, 상벽 바로 안 바위에 적혀져 있는 글이다. 이 근처는 지형으로 보아 남고산성의 두 곳의 장대 중 한 곳인 남장대 인근으로 보인다. 이곳에 왜 정몽주의 시가 암각서로 남아 있는 것일까?

 

이성계의 잔치에 화가나 말을 달린 정몽주

 

고려 우왕 때인 1380년 9월. 이성계는 황산대첩에서 왜구를 물리치고 개선장군이 되어 돌아가던 중, 조상의 고향인 전주에 들른다. 이곳 오목대에서 종친들을 불러 환영잔치를 베풀면서, 자신이 고려를 뒤엎고 새 나라를 세우겠다는 속내를 내비친다.

 

 

당시 종사관이 되어 황산대첩에 참가했던 정몽주(1337 ~ 1392)는 이 말을 듣고 노여움을 참지 못해 잔치자리를 빠져나와 말을 달려 남고산성의 만경대에 오른다. 남고산성에는 남인문지 근처에 천경대가 있고, 남고사 인근에 만경대가 있다. 그리고 남고사 뒤편 산 정상부근에는 억경대가 자리하고 있다.

 

말을 달려 이곳까지 온 정몽주. 선죽교에서 방원의 철퇴에 맞아 숨이 지면서도 고려에 대한 충절이 변하지 않았던 충신답게, 스스로 고려를 생각하면서 근심을 이어간다.

 

 

千仞崗頭石逕橫 천길 바위머리 돌길로 돌고 돌아

登臨使我不勝情 홀로 다다르니 가슴 메는 근심이여

靑山隱約夫餘國 청산에 깊이 잠겨 맹서하던 부여국은

黃葉檳紛百濟城 누른 잎은 어지러이 백제성에 쌓였도다

九月高風愁客子 구월의 소슬바람에 나그네의 시름이 짙은데

百年豪氣誤書生 백년기상 호탕함이 서생을 그르쳤네

天涯日沒浮雲合 하늘가 해는 지고 뜬 구름 덧없이 뒤섞이는데

矯首無由望玉京 하염없이 고개들아 송도만 바라보네

 

정몽주의 나라 걱정하는 마음이 그대로 들어나 있는 시구이다. 이곳 만경대에서 송도를 근심하던 정몽주. 이렇게 글을 남겨놓고 개선장군이 되어 당당하게 송도로 돌아가는 이성계와 함께 이곳을 떠났다.

 

 

 

김의수가 각자한 정몽주의 글

 

당시 시를 지은 정몽주가 이곳 만경대 바위에 각자를 한 것은 아니다.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영조 22년인 1742년 진장인 김의수가 각자를 한 것이다. 예전에는 바위 앞에 수풀이 우거지고 나무들이 많아 암각서를 보기 힘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은 주변을 정리하고 철책을 둘러놓았다.

 

바위를 어렵게 내려가 만경대라고 음각을 한 바위 앞으로 다가갔다. 만경대라는 글씨는 알아볼 수가 있는데, 그 내용은 마모가 되어 글씨조차 판독하기가 힘들 지경이다. 다만 글 말미에 보니 각자가 된 글씨보다 조금 크게 병인년에 진장 김의수가 각자를 했다는 글이 보인다. 진장 김의수는 왜 정몽주의 이 길을 이곳 만경대 바위에 새겨 넣었을까? 진장이란 조선 인조 때 각 도의 지방군대를 관할하기 위해 설치한 진영의 장관을 말한다.

 

아마 진장 김의수는 정몽주의 불사이군의 충심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물론 시대를 뛰어넘어 300년 가까이 지난 다음이지만, 김의수는 그러한 글을 이곳에 각자를 함으로써 스스로의 충심을 일깨웠는지도 모른다. 이제는 수많은 세월이 지난 각자마저 흐릿하지만 정몽주의 충심과, 그 충심을 아는 진장 김외수를 만날 수 있는 곳이다. 영웅의 교감은 세월을 뛰어넘는 것인지.

충남 연기군 남면 나성리 산 59에는 전서공 임난수 장군의 부안임씨 가묘가 있다. 연기군 향토유적 제42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가묘는 고려 말 최영 장군과 더불어 탐라를 정벌하는데 큰 공을 세운 임난수 장군을 기리는 가묘이다. 임난수 장군은 이성계가 고려를 멸망시키고 조선을 세우자,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고 하여 벼슬을 버리고 현 남면 양화리에 은거하였다.

연기군 나성리에 있는 문화재를 답사하는 중에, 마을주민들이 가묘 뒤에 석불입상이 있다고 이야기를 한다. 연기군 홈페이지에서는 석불입상에 대한 문화재 정보가 전무하다. 그래도 혹 모른다는 생각에 길을 물어 찾아보기로 했다. 답사 증에 새로운 것을 찾는다는 것은, 답사를 하는 사람에게는 늘 즐거움이기 때문이다.

전설을 갖고 있는 석불입상. 30분이 넘게 덩굴을 헤치고 찾아다녔다.
 
환삼덩굴을 30분이나 헤집고 다니다

가묘 뒤라고 해서 찾아보았다. 그러나 가묘 뒤로 길이 보이지를 않는다. 주변은 여름내 자란 풀들이 허리까지 차오른다. 거기다가 환삼덩굴은 가시가 있어 맨살에 스치면 금방 살이 부르트기 일쑤다.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찾아보았으나, 석불입상은 보이지가 않는다. 땀은 비오듯 쏟아지는데, 옷은 살에 감겨든다.

30여분을 길도 없는 덩굴을 헤치면서 다니다가 보니, 저만큼 무엇인가가 보인다. 거미줄과 덩굴더미를 헤치고 가보니 정말로 석불입상이 있다. 아주 오래전부터 이곳에 서 있었다는 주민들의 말처럼, 석불입상은 보기에도 범상치가 않다. 뒷면은 그냥 돌을 쪼아낸 흔적이 그대로 남아있다. 높이는 2m 정도가 되는 이 석불입상은 문화재로 지정이 되어있지 않아, 풀숲에 그대로 방치가 되어있다.


낮은 곳은 무릎까지 깊은 곳은 가슴까지 덩굴이 우거져 있다. 아래사진 가운데 흰 것이 석불입상이다.

지방의 장인에 의해 제작된 듯

석불입상은 눈썹이 굵게 표현하였다. 눈은 가늘고 길게 옆으로 -자로 팠는데, 쪼아낸 흔적이 보인다. 코는 뭉툭하게 표현을 하였다. 입은 작고 양끝이 약간 위로 치켜 올려졌다. 목에는 삼도가 뚜렷한 것으로 보아, 석불입상이 틀림이 없다. 경기 남부와 충청지역에서 많이 나타나는 고려 때의 거대석불과 같은 형태로 제작이 되었다.

귀는 어깨까지 내려왔으며, 가슴에는 손의 형상을 조각하다가 만듯하다. 전체적인 모습으로 볼 때 미완성인 석불입상과 같은 모습이다. 머리는 이마위로 잘려나갔다. 아마 그 위에 보개석이라도 얹을 생각이었나 보다. 그런데 어떻게 이 석불입상이 이런 곳에 서 있게 되었을까? 혹 전서공 임난수 장군과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닐까?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다. 이런 형태로 보아 고려 시대에 재작하다가 미완성으로 남아있는 듯하다.

마을로 들어가 사람들에게 물어보았다. 마을 주민들이 이야기로 들려주는 이 석불입상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고 한다.

옛날에 이곳에 한 부부가 살고 있었는데, 아들을 두지 못하여 대가 끊길 것을 생각하고 큰 걱정을 하고 있었다. 어느 날 백발 노승이 찾아와 시주를 달래서 후히 대접하고 가정 이야기를 하였더니, 노승이 그 석불입상이 있는 곳을 가르쳐 주며 정성껏 예불을 드리면 아들을 낳을 수 있다고 했단다. 그 부부는 음식을 차려놓고 한 달 동안 정성을 다해 예불을 드리자, 어느 날 저녁 그 부처님이 꿈에 나타나 “그대들의 지성이 지극해서 아들을 점지하니 잘 길러서 장차 훌륭한 사람이 되도록 하라. 그리고 어려운 일이 있거든 날 찾아라.”라고 말을 했다. 꿈을 꾸고 난 뒤 태기가 있어 열 달 만에 아들을 낳았다. 이 아기가 자라서 나라에 큰 공을 세웠다.

그런데 단란하게 살던 노부부가 모두 병으로 죽게 될 처지가 되었다. 지난날 “어려운 일이 있으면 찾아라.”라는 꿈에서 본 부처님을 회상하고 아들에게 그 말을 하였더니, 아들은 곧 석불입상을 찾아가 부모님의 병이 낫게 해달라고 빌었다. 그랬더니 이번에도 부처님이 꿈에 나타나 “내일 아침 일찍 산에 올라가 보면 둥근 바위가 있는데, 그 밑에 큰 더덕이 있을 것이다. 그것을 캐서 부모님께 달여 드리면 병이 곧 나을 것이다. 만일 내일이 지나면 그 더덕을 발견할 수 없을 것이니 날짜를 어기지 말라.”라고 하였다. 다음날 아들이 산에 올라가 바위 밑을 보니 정말로 거기에 커다란 더덕이 있었다. 아들이 그것을 캐어 부모님께 달여 드리자 곧 완쾌되었다.(자료 / 연기실록)



맨 아래 사진이 부안 임씨의 가묘이다.

전설은 여기서 그치지를 않는다. 마을에 사는 불효자가 그 말을 듣고 석불입상에 빌러 큰 돌을 얻었는데, 어려운 사람을 돕지 않고 부모에게 효도를 하지 않았다. 그러자 돈이 모두 뱀이 되어 불효자의 온몸을 감아 질식해 죽였다고 한다. 나성리 마을 뒤편에 서 있는 미완성인 석불입상. 지정은 되지가 않았지만 그보다 더 큰 아름다운 지니고 있었다. 땀을 흘리며 덩굴을 헤치면서 찾아낸 석불입상. 그런 아름다운 전설을 간직한 채, 말없이 오랜 시간을 주민들과 무언의 대화를 하며 그 곳에 서 있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