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도 많고 말도 많은 4대강 정비. 밀어붙이기식으로 진행이 되는 4대강 정비는, 연일 수많은 반대에도 불구하고 내년에 막대한 예산을 집행한다고 한다. 많은 부작용이 우려되는 가운데 4대강의 정비로 인한 문화유적지의 훼손이 가장 심각할 것으로 보인다. 4대강 유역에는 많은 유적지가 있을 것으로 보이는 데도 불구하고, 빠른 시일 내에 지표조사를 마치겠다는 이야기에 어이가 없을 뿐이다.

 

고달사지 정비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여주 해목산 기슭 고달사지는 사적 제382호로 고달사는 신라 경덕왕 23년인 764년에 건립되었다고 전해진다. 고달사는 고려 초기 국가가 관장하는 3대 선원 가운데 하나로 왕실 비호를 받는 대가람이었다. 광종 1년인 950년 원감국사가 중건했다. 고종 20년인 1233년에 혜진대사가 주지로 취임했으며, 1260년(원종 1)에 절을 크게 확장하고 중건했다고 기록에 나타나고 있으나, 그 후 기록이 없어 고달사가 언제 폐사되었는지 알 수 없다. 다만 임진왜란 때 병화를 입은 것으로 전해온다.

 

  
▲ 고달사지 발굴 위에서 내려다본 고달사지 발굴현장. 7년이라는 시간에 걸쳐 6차발굴까지 이루어졌다.

  
▲ 정비된 고달사지 2009년 10월 18일 찾은 고달사지. 이렇게 정비를 하는데 꼭 10년이 걸렸다

975년에 세워진 원종대사 비의 명문에 의하면 당시에는 <고달원> 또는 <고달선원>이라고 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도 고달사가 나타나고 있어, 조선조 중기까지도 고달사가 번창했던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고달사지에는 국보 제4호인 고달사지부도를 비롯해 보물 제6호 고달사원종대사혜진탑비 귀부 및 이수, 보물 제7호 고달사원종대사혜진탑, 보물 제8호 고달사지석불좌가 절터에 남아 있으며, 보물 제282호 쌍사자석등 및 원종대사혜진탑비의 몸체는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전, 보관하고 있다.

 

처음으로 고달사를 찾았을 때는 한창 발굴 작업이 진행되던 2004년 8월 12일이었다. 여기저기 파헤쳐지고 드러난 석물들을 한 곳에 모아 정리를 하고 있었다. 보물 등 문화재로 지정이 되어있는 석조물은 보호철책을 둘렀고, 발굴 작업을 한 곳이 비에 훼손이 될 것을 우려해 천막으로 덮어놓았다.

 

  
▲ 보물 제8호 고달사지석불좌 고달사지에 있는 보물 제8호 석불좌. 주변은 다 파헤쳐지고 보호철책이 둘러쳐 있다

  
▲ 정비된 고달사지석불좌 2009년 10월 18일에 찾은 고달사지 석불좌는 보호철책을 없애고 탐방로를 만들어 관람을 할 수 있도록 했다

  
▲ 고달사지석불좌 고달사지 석불좌가 있던 곳이 대웅전이었을 것이다. 주추돌이 남아있고 오르던 계단이 복원되었다.

빠른 시일 내에 4대강 유역 지표조사를 마치겠다고?

 

고달사지는 경기문화재연구원이 처음 발굴을 시작한 것이 2000년이었으니 고달사지 한 곳을 발굴, 정리하는데 6차 작업을 마친 2006년까지 7년이라는 시간이 걸린 셈이다. 4대강 정비라는 명목 하에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이 날림으로 조사될 확률이 높다. 강 주변에는 수많은 문화유적지가 있다. 사람들은 물이 많은 강 주변을 터전으로 삼아 마을을 형성한다. 하기에 4대강 정비를 하기 전에 문화재보호법에 규정돼 있는 문화재 보호절차 등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4대강 일대는 어느 지역보다도 유적지일 가능성이 큰 지역이기 때문에, 먼저 지표조사를 우선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 보물 제6호 고달사원종대사혜진탑비 귀부 및 이수 고달사지에 있는 보물 제6호 우너종대사혜진탑비 및 이수. 탑비의 몸통부분(비문)은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중이다.

  
▲ 보물 제6호 고달사원종대사혜진탑비 귀부 및 이수 2009년 10월 18일에 찾은 고달사지는 보호철책을 없애고 주변을 정리하여 누구나 다가가 자세히 관찰할 수 있도록 헸다

2009년 10월 18일, 다시 찾은 고달사지는 말끔히 정비가 되어있었다. 보호철책으로 둘러  쌓았던 보물들은 철책 대신 주변 정리가 되어 있었고, 탐방로가 마련되어 있어 문화재를 둘러볼 수 있도록 하였다. 결국 이렇게 정비를 마칠 때까지는 10년이라는 세월이 걸린 셈이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빠른 시일 내에 지표조사를 마치겠다'는 것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하회마을에 보를 설치하겠다고 발표를 했다가 거센 반발에 부딪치자, 취소를 하는 등 개발계획을 남발하는 관계당국이다. 이런 관계당국이 올바른 지표조사를 하리라고 믿음이 가질 않는다. 4대강 유역의 문화재지표조사는 한 두 해에 마쳐질 것이 아니다. 적어도 10년 이상의 시간을 두고 조사를 해보아야 한다. 여주 고달사지 발굴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이다. (출처 :  오마이뉴스 / 2009, 11, 5)


저녁시간 한참 이것저것 자료 정리를 하고 있는데, 친근한 아우 녀석이 전화를 했다.

 

"형, 갓바위에 가면 소원이 이루어지나요?"

"무슨 소리야 그것이, 뜬금없이. 글쎄, 가서 빌어보지를 않았으니 알 수가 없지. 그런데 왜?"

"아이가 저희 엄마한테 딴 아이 엄마들은 갓바위를 가는데, 저희 엄마도 다녀오라고 볼멘소리를 하더래요."

 

 

갓바위, 팔공산 관봉을 갓바위라고 부른다. 관봉이 유명한 것은 이 관봉에 보물 제431호인 관봉석조여래좌상이 있기 때문이다. 이 석조여래좌상은 해발 850m의 험준한 팔공산 관봉에 둘러쳐진 암벽을 배경으로 조성된 단독 원각상이다.

 

이 갓바위의 석조여래좌상은 영험하다고 소문이 난 지 오래다. 관봉 석조여래좌상은 원광법사의 수제자인 의현대사가 돌아가신 그의 어머니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선덕여왕 7년인 638년에 조성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그보다 더 유명한 것은 이 갓바위 석불을 조성하는 동안 밤마다 큰 학이 날아와 그를 지켜주었다는 것이다. 결국 이 갓바위 부처님은 많은 사람들의 원을 들어주고 지켜준다는 것이다.

 

2009년 11월 12일(목)은 수능을 보는 날이다. 올해 재수를 하는 조카뻘 되는 녀석이 어디서 들었는지 갓바위를 다녀오라고 저희 어머니에게 볼멘소리를 했다는 것이다. 하기야 갓바위는 요즈음 들어설 자리가 없을 것 같다. 한 2년 전인가 시험을 보는 아이 부모들이 갓바위를 같이 좀 가자고해서, 함께 다녀온 적이 있다. 어차피 나야 올라가서 답사를 할 작정이니 싫다고 할 이유가 없었기 때문이다.

 

  
▲ 동전 바위 벽에 동전을 붙이면 시험에도 딱 붙는다고 했는지 모르겠다. 사람들이 동전을 붙이느라 애를 쓴다

  
▲ 오르는 길 갓바위를 오르다가 보면 많은 조형물들이 바위 위에 있다. 이 모든 것이 다 자식들을 위하는 부모님들의 마음이다.

갓바위에 올라가니 빈자리가 없다. 연신 사람들이 올라오고, 일찍 기도를 마친 사람들은 내려간다. 오르기가 쉬운 곳이 아니지만 많은 사람들이 몰려드는 것은 오직 한 가지 염원이 있기 때문이다. 바로 자식이 잘 되기를 바라는 부모의 마음 때문이다. 이왕 내친 김에 나도 108배를 했지만 딱히 마음속에 염원을 두지는 않았다. 그저 함께 동행을 한 분들의 아이가 좋은 결과가 있기를 빌어주었다. 그래서인가는 몰라도 그 학생은 좋은 결과가 있었다.

 

아침과 저녁 심지어는 밤늦도록 기도를 하는 사람들이 줄을 잇는다는 갓바위. 석조여래좌상이 있는 옆 벽에는 누가 붙였는지 동전들이 붙어있다. 이 암벽에 동전이 잘 붙으면 시험도 붙는다는 이야기 때문인가 보다. 부모들이야 아이들을 위해서 못할 것이 없다. 그저 아이가 잘 되기만을 바랄 뿐이다. 그런 마음을 자식들은 과연 알고나 있는 것일까? 허리가 아파서 제대로 구부리지도 못하는 부모들이, 자식들을 위해서 아픈 허리를 연신 만져가며 절을 하는 모습을 보면서, 참으로 대단한 모성애라고 느낀다.

 

"이번 주말에 가보고 싶은데, 얼마나 올라가요?"

"한, 한 시간 반 정도 걸릴듯 한데. 산이 가팔라서 힘이 들 거야."

"힘이 들어도 아이가 붙기만 한다면야 무엇인들 못하겠어요."

 

  
▲ 기도하는 사람들 수능 일이 가까워지면 더 많은 사람들이 모여든다. 오직 하나 자식들을 위해서 힘든 산행도 마다하지 않는다.

이미 한번 실패를 한 아이다 보니, 부모나 아이나 수능 일자가 다가오면서 조급한가보다. 엄마를 졸라 갓바위를 갔다오라는 아이도 힘들고. 아이를 위해 가깝지 않은 거리를 다녀와야 하는 부모도 힘이 들것이다. 그러나 어느 부모가 아이가 원하는 것을 마다할 것인가? 꼭 갓바위에 가서 빌었기 때문에 아이 점수가 좋아진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 사회가 그렇게까지 해서 좋은 대학을 가야만 출세를 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하니, 어쩔 수 없지 않겠는가? 교육에 일관성이 없이 해마다 다른 정책이 더 어렵게 만든다고들 한다.  

      

"일찍 출발해야 할 거야. 단풍철이라 교통도 막힐 테고."

"가서 열심히 빌어보아야죠. 그래서 좋은 결과가 있다면 얼마나 좋겠어요."

 

  
▲ 보물 석조여래좌상 보물 제431호 석조여래좌상은 통일신라 때의 걸작품이다.

이제 보름도 남지 않았다. 갓바위 석불이 큰 영험을 보여 많은 아이들이 좋은 성적을 내었으면 좋겠다. 먼 길 떠나는 아우 녀석도 마음 편히 다녀왔으면 한다. 엄마에게 갓바위라도 다녀오라는 조카 녀석도 그저 편하게 시험을 보기를 갈망한다. 마음 편하게 아이들이 살아갈 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러고 보면 정작 갓바위를 다녀올 사람은 나인 듯하다. (출처 : 오마이뉴스/2009, 10, 30)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