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몸이 아플 때 혼자인 것이 세상에서 가장 서럽다고 한다. 솔직히 남들보다 긴 세상을 산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나름 꽤 오랜 세월을 살면서 아직 자리보전을 하고 누워본 기억은 없는 듯하다. 성격 자체가 몸이 좀 불편하다고 해서 누워 있지를 못한다. 그저 나가서 돌아다니면서 몸을 다스리고는 했다.

 

3일 째, 장염으로 인해 하루에도 수십 번을 화장실을 들락거려야 했다. 남들이 장염이라고 하면 그저 장에 탈이 좀 생긴 것이겠지 하고 넘겨버렸다. 아직 장염이라는 병을 한 번도 앓아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런 나에게 장염이라는 병이 생겼다. 이렇게 힘든 것인 줄을 몰랐기에 그저 약방에 가서 약이나 사다 먹으면 나으려니 한게 병을 키웠나 보다.

 

하루 저녁에 화장지 한 롤을 다 사용해

 

그런데 저녁부터 탈이 나기 시작했다. 아랫배가 살살 아파오더니 급기야 탈이 난 것이다. 화장실을 가면 그저 좍좍 쏟아내는 것이 염 심상치가 않다. 화장실을 들락거리는 시간이 점점 더 바빠진다. 나중에는 화장실 문을 닫기가 바쁘게 다시 화장실을 열어야 할 정도이다. 오죽하면 하루 저녁에 두루마리 화장지 한 롤을 다 사용했으니 말이다.

 

 

문제는 그 다음날 부터였다. 물 한모금만 마셔도 바로 배가 아프면서 화장실로 직행을 해야만 했다. 토요일엔 여기저기 취재약속을 해 놓은 곳이 있었지만 탈수증상까지 겹쳤다. 힘이 하나도 없고 자꾸만 잠만 쏟아진다. 막말로 이러다가 제 명에 못 죽겠구나 하는 불안한 생각까지 든다.

 

그래도 혼자는 아니었다는 것이 천만다행

 

사람은 몸이 불편할 때 곁에 사람이 없으면 서럽다고 했던가? 그 말이 정말 맞는 듯하다. 하루 반나절을 혼자 화장실을 들락거리면서 주변에 사람이 없다는 것이 한 없이 서글픈 생각이 든다. 거기다가 대문 밖 출입도 힘들 정도로 기운이 떨어졌다. 지인 한 사람이 전화를 걸었다. 연락도 하지 않은 사람이다. 그런데 소식을 들었다고 죽이라도 사갖고 가겠다는 것이다.

 

그 말로만이라도 위안이 된다. 사람들은 누가 진정한 이웃인가를 아플 때 보면 알 수 있다고 어르신들이 말씀하셨던 것이 생각이 난다. 정말 이웃이란 내가 힘들 때 조건 없이 다가설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그런 사람이 곁에 있다는 것만으로도 조금은 위안이 된다. 근처에 사는 아우가 약을 들고 왔다.

 

자신도 바쁘게 살아가는 아우지만 그래도 형이라고 이렇게 신경을 써주는 곁에 있는 아우가 그리 고마울 수가 없다. 약을 먹고 시간이 지나자 배가 아픈 것과 설사를 하는 것이 조금은 가신 듯하다. 그런데 문제는 물 한 모금도 제대로 못 먹고 꼬박 2일을 보낸 셈이다. 사람이 탈진이 되기 시작한다.

 

 

이런 이웃이 있기에 행복하다

 

아침 일찍 아우가 전화를 했다. 밤새 좀 어땠느냐고 묻는다. 설사는 좀 나아졌다고 하니, 약을 지어갖고 올 테니 기다리란다. 2일이나 물 한 모금 마시지 않았더니 사람이 기진맥진이다. 물이라도 마셨으면 좀 나으련만 물만 먹어도 화장실을 가야하니 정말 죽을 맛이다. 꼬박 3일을 굶었더니 사람이 탈진이 되었는가 보다. 누가 문을 여는 소리에 놀라 일어났더니 아우가 들어왔다.

 

문자를 하고 전화를 걸어도 받지를 않아 집까지 몇 번을 찾아왔지만 들어오지를 못했다는 것이다. 죽을 사 갖고 오겠다고 나간 아우가 오래지 않아 죽과 약을 갖고 왔다. 토요일인데도 약속이 있어 나가야 한다면서 죽 먹을 시간과 약 먹을 시간을 꼼꼼하게 일러주고 간다. 죽을 먹고 약을 먹은 후 다시 깊은 잠에 빠졌다.

 

그러는 사이 설사도 멎은 듯하고, 그렇게 살살 아프던 아랫배의 통증도 조금 가신 듯하다. 3일간의 장염이라는 병은 나에게 참 많은 것을 알려준 것 같다. 우선은 주변에 많은 사람들이 있지만 진정한 이웃은 따로 있다는 것이다. 사실 내가 병으로 고통을 받는다고 하면, 먼 거리에서 달려올 사람들이야 얼마든지 있다.

 

하지만 구차하게 누구에게 내가 아프다는 소리조차 못하는 인사인지라 애써 참았다. 그리고 내 몸은 내 스스로 챙겨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갑오년 1월에 얻은 교훈이란 생각이다. 또한 아우와 같이 걱정해주는 사람 한 두 명이 곁에 있다는 것이 그저 고맙고 행복하단 생각을 한다.

문화재 답사를 하고 글을 쓴다. 많은 곳을 다니고 직장에 매달린 사람이 밤에 글까지 쓴다고 하더니 일이 터졌다. 건강에 문제가 생긴 것이다. 그렇다고 블질을 쉴 수가 없는 것은, 하나의 문화재라도 더 많은 사람에게 소개를 하고 싶은 욕심 때문이다.

그 욕심이 이런 결과를 가져왔는데, 과연 그 문화재 사랑은 얼마만한 효과를 얻었는지가 궁금하다. 그래서 블로그 한편에 <인기글 위젯>을 달았다. 그런데 참 마음이 씁쓸하다. 정작 문화재 소개를 전문으로 하는 블로거는 맞는데, 인기글이라고 하는 것에는 문화재에 대한 글이 보이질 않는다.

 


아무리 눈을 뜨고 찾아보지만 문화재에 대한 글이 없다. 이 정도되면 문화재는 역시 찬밥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하긴 요즈음 사람들 문화재에 대해 무슨 관심이 있으랴. 그저 벗고, 가슴이 절반 쯤 보이고, 배꼽 들어내고, 장딴지 보이고, 흔들어 대고, 빨아대는 것에나 관심이 있지.

그 다음 페이지를 한 번 넘겨본다. 그 끝에 하나가 달랑 보인다. 결국 문화재 블로기의 치욕이란 생각이다. 얼마나 감칠 맛 나게 글을 쓰지 못했으면 이렇게 망신을 당하는 것일까?

 


이래 갖고 무슨 문화재 블로거라고 떠들고 다닐 수 있을까? 이제는 생각을 좀 종리를 해야할 듯하다. 죽어라 하고 갈겨대 보았자, 별 관심들이 없는 것을, 몸 망가져 가면서 기를 쓸 이유가 있는 것인지 모르겠다.

병원에서 3일이나 들락거리며 통증을 참아가면서도 글을 써 보지만, 이제는 좀 달리 해야겠다는 생각이다. 이런 것들이 더 마음이 아프다. 정말 육두문자를 섞어가면서 욕이라도 신나게 해보고 싶은 마음 굴뚝 같지만, 중단했단 블질을 다시 시작하면서 절대로 그러지 않겠다고 맹서를 했으니 참아야지.     
사람이 세상을 살면서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 누구는 그래도 재물이 있어야 한다고도 할테고, 누구는 건강이 최고라고도 할 것이다. 또 누구는 그래도 곁을 지켜주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고도 할 것이다. 이 모든 것이 다 맞는 말이다. 그 모든 것이 정말로 꼭 필요한 것들이다. 그러나 그 중에서 가장 필요한 것 하나만을 택하라고 한다면, 과연 무엇을 택할 것인지. 

며칠 전부터 영 몸이 좋지가 않다. 행사 때문에 받는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사람들은 행사를 총 기획하고 준비를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모른다. 그저 하루 종일 책상 앞에 앉아 이것저것 두드리고 앉았으니, 무슨 힘이 들 것인가? 라고 생각을 한다. 그러나 그 모든 것을 준비하면서 받는 스트레스가 얼마나 과중한지 알 수가 없으니, 그냥 놀고 먹는 줄 아는가보디.


정말 필요한 것은 바로 곁을 지키는 사람

이것저것 행사 준비를 체크하고 관계기관과 수시로 통화하고, 거기다가 행사 당일에나 무대에 오를 수 있는 공연팀이 많다보니, 수시로 참석여부를 확인해야 하고, 또 전시까지 준비를 해야한다. 이 모든 것이 육체적인 부담이 아니라 정신적인 부담으로 다가오는 것을, 곁에서 보기에는 알 수가 없으니 그냥 놀고 있는 것처럼 보일 수 밖에.

이런 행사를 해본 사람들 같으면 그 기획이나 진행이 얼마나 힘든 것인줄을 알겠지만, 주변에 이런 행사는 처음 있는 일이니 아무도 받는 스트레스를 이해하지 못한다. 오늘 아침에는 급기야 목이 따갑고 침조차 삼킬 수가 없다. 기침을 할 때마다 목이 아파 견딜 수가 없다.    

절집 안에서 산다는 것이 편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정말 힘들고 고통스러울 때가, 바로 몸이 아플 때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곁에 사람이 필요할 때는 몸이 아플 때라고 이야기들을 쉽게하고는 하지만, 그런 환경에 처해본 사람들은 이런 이야기조차 말하기가 힘들어진다.

왜, 그러고 사나? 라고 물으면 할말이 없다. 바로 인생을 잘 못 살아왔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도 주변에 살가운 사람들이 있을 때가 가장 행복했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미 이런 마음이 들기 시작하면, 지난 세월을 후회를 하는 것이지만 그도 이젠 지쳐버렸다. 한 두번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저 많은 것을 바라는 것이 아닌, 말이라도 걱정을 해주는 그런 사람이 필요하다는 것을 절실히 깨닫는다.

나이먹어 사는 삶에도 종류가 있다는데

나이가 먹어 사는 세상은 각기 그 사는 정도에 따라 별칭으로 표현을 한다. 신선처럼 사는 사람은 노선(老仙). 학처럼 여유롭고 기픔이 있게 살면 노학(老鶴), 나이가 먹어서도 젊은이처럼 살면 노동(老童), 그저 평범한 노인네처럼 살면 노옹(老翁)이라고 한다. 노광(老狂)은 말 그대로 미친 것처럼 심술이나 부리고 사는 사람을 말하며, 노고(老孤)는 혼자 외롭게 사는 사람을 말한다. 그리고 늙어서 돈 한푼 없이 궁상을 떨고 사는 것을 노궁(老窮)이라고 하며, 몸도 마음도 병들어 추한 모습으로 사는 것을 노추(老醜)라고 한다,

나는 어디에 속했는가를 곰곰 생각해 본다. 좋은 것은 하나도 없는 것만 같다. 그래서 이럴 때 정말로 곁에서 온기를 줄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한다. 그저 혼자 있어 편하다는 말은 정말 웃기는 말이라고 생각을 한다. 사람은 역시 사람하고 살아야 제대로 삶을 사는 것이란 생각이다. 몸도 마음도 아픈 날, 가을비까지 부슬거리고 내리니, 궁상 한 번 제대로 떨고 싶었나보다. 

나이가 든 사람에게 가장 필요한 것. 그것은 바로 곁을 지켜주는 따듯한 사람이다. 그런 사람이 곁에 있다는 것 하나만으로도 행복이란 생각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