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아산시 신창면 읍내리 84에 소재한 대한불교 조계종 인취사. 인취사 극락전에는 조선시대의 아미타삼존불상이 모셔져 있다.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95호 아산 인취사 석조 아미타삼존불상은 중앙의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좌에는 관음보살이 우에는 지장보살이 자리하고 있는 삼존불이다.

 

중앙의 아미타불좌상은 선정인으로서 결가부좌하였으며, 육계가 크고 나발이 선명하고 오른팔에 편삼을 걸친 변형 통견식 법의로서, 아미타불의 전형적인 수인과는 다르게 표현되어 있다. 좌측의 관음보살상은 본존과 같은 착의법을 하였으며, 보관정면에 아미타불좌상의 화불을 조각하여 관세음보살임을 분명하게 표현하였다.

 

 

우측의 지장보살상은 고려후기에 유행했던 피건을 두른 모습으로서 무릎위에 올린 두 손에 보주를 잡고 있는 형태이다. 삼존불 모두 둥글고 작은 얼굴로서 형태가 비슷한 데 눈, , 입이 작으면서도 부드러운 느낌의 모습으로 지방적인 요소가 강한 표정을 보이고 있으며, 양식적 특징으로 보아 조선전기에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법흥왕 때에 창건했다는 인취사

 

인취사는 신라 법흥왕 때에 창건했다고 전하고 있으나 자세한 연대는 알 수가 없다. 눈이 쌓여 있는 날 찾아갔던 인취사. 그리 크지 않은 인취사 경내는 온통 흰 눈이 여기저기 쌓여있었다. 겨울에 사찰답사를 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더욱 절을 올라갈 때 한참을 걸어야한다면 바람과 미끄러운 길로 인해 애를 먹기도 한다.

 

인취사 경내에 들어서면 앞으로 탁 트인 전망에 마음까지 시원해진다. 극락전에 들려 참배를 한다. 고려 말부터 몽고와 왜구의 침입으로 고통을 겪은 민초들은 이승에서의 어려움을 해결해 준다는 관세음보살과 저승의 지옥에서 건져준다는 지장보살을 좌우협시불로 하는 아미타삼존불상을 조성하기 시작했다.

 

 

조선 초기 삼존불의 형태를 알 수 있어

 

이 인취사 석조아미타삼존불상은 조선시대 아미타삼존불의 시원적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한다. 금으로 채색을 하여 석조불의 느낌은 제대로 느낄 수 없지만, 그래도 조선 초기의 아미타삼존불상을 만났다는 것만으로도 마음 한편이 뿌듯하다. 오랜 시간 전국을 돌면서 수없이 만난 석불이지만, 볼 때마다 그 느낌은 전혀 다르다.

 

인취사는 절에 내력에 대해서 전하는 바가 없어 일설에는 고려 때 창건한 절로도 알려져 있다. 수많은 절들이 임진왜란 등 전화로 소실이 되면서 기록이나 문화재들이 소실이 되었다. 거기다가 수탈까지 해간 것들이 상당히 많은 양이기 때문에, 우리가 갖고 있는 문화재는 양으로는 많다고 하지만 질로는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고까지 한다.

 

 

문화재란 단순히 가치로 따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문화재는 그 시대의 사람들의 생활과 습속, 그리고 환경까지도 알아볼 수가 있기 때문이다. 전화로 인해 수많은 문화재들이 훼파를 당한 것도 마음이 아픈데, 거기다가 종교적 이념이 다르다는 이유로 지금까지도 문화재 훼손을 하는 것을 보면 우리는 문화국민이 절대로 될 수 없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눈길을 걸어 올라간 아산 인취사. 절 경내는 눈이 치워졌지만, 산으로 오르는 길에는 하얀 눈이 쌓여있었다. 그저 한가롭게 널찍한 경내를 돌아보면서 극락전에서 만난 강한 인상의 삼존불이 자꾸만 생각이 난다. 그만이라도 만날 수 있었다는 안도감이 들면서.


아산시 신창면 읍내리 84번지, 학성산에 위치한 ‘인취사’. 2월 13일, 일요일에 찾아간 인취사는 그리 넓지 않은 길을 구불거리며 들어간다. 인취사 주변은 온통 연꽃이 즐비한 곳이다. 연꽃축제로 더 알려지기도 한 이 절은, 백제 무녕왕 18년인 518년에 창건했다고도 전해지고 있으며, 신라 법흥왕 때 창건이 되었다고도 한다.

그러나 주지 ‘창암스님’은 극락전에 모셔진 삼존불 등에 넣어둔 절의 내력을 적은 복장물들이 다 도난을 당해, 절의 중창 년대 등은 자세히 알 수 없다고 하신다. 인취사는 공주 마곡사의 말사이다. 조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에는 ‘인취사(咽嘴寺)’라고 나와 있고, 1929년에 편찬된 『조선환여승람』에는 지금과 같은 ‘인취사(仁翠寺)’로 적고 있다.


축대 밑에 자리한 연꽃단지

인취사를 둘러본다. 현재 주지인 창암스님이 이곳에 부임해 축대를 새로 쌓고, 안쪽에 있던 종각을 축대 앞으로 끌어내 정리를 하였다고 한다. 반듯하게 쌓은 축대 밑에는 고무 통을 나란히 땅을 파고 묻어, 그곳에 연꽃을 심어 놓았다. 봄이 되면 각종 연꽃이 피어나는 것이 볼만 하다는 곳이다.

넓은 마당의 뒤편으로는 삼존불을 모신 극락전이 자리하고, 그 앞으로는 공양간이 있다. 아마도 예전에는 이곳을 딴 용도로 사용했을 것 같다. 공양간 좌우편 끝에는 요사가 자리하고, 그 중간에 석탑 2기가 서 있다. 그저 넓은 공간에 듬섬듬성 서 있는 탑이며 전각들이, 조금은 휑한 듯도 하다. 하지만 이렇게 산비탈에 자리를 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시원한 정경이 펼쳐진다.



마당 한 가운데 서 있는 석탑 2기

인취사에는 옛 석탑이 2기가 서 있다. 극락전을 바라보고 좌측 보호철책 안에 서 있는 이 석탑은 모두 제 모습을 갖추고 있지 않다. 앞에서 산 쪽을 바라보면서 좌측의 것은 오래된 것이나 자세히 알 수가 없다. 다만 오른쪽에 서 있는 탑은 현재 충남 문화재자료 제235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화강암 석재로 구성한 이 석탑은 기단 갑석위에 삼층 석탑이 올려 진 상태로 있다. 기단갑석은 한 편이 떨어져 나가 상태이고, 탑신과 옥개석인 각각 하나의 돌로 조성하였다. 탑신인 몸돌에는 양우주를 새기고, 옥개석의 받침은 아래서부터 4-3-3단으로 조성을 하였으며 2단의 굄을 두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이 삼층석탑은 비례가 맞지를 않는다. 옥개석의 낙수면은 깊게 떨어지고 있으며, 옥개석 끝의 반전도 그리 뚜렷하지 않은 편이다. 상륜부에는 노반만 보이고 있어, 전체적인 탑의 모습을 가늠하는 데는 어려움이 따른다.

5층으로 추정되는 인취사 석탑

탑의 맨 위에는 부정형의 돌을 하나 올려놓았다. 이 탑도 원래 이 자리에 있었던 것은 아닌데, 절을 정리하면서 이곳으로 모아 놓은 듯하다. 전체적으로 볼 때 이 탑은 처음에는 오층석탑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기단갑석의 크기가 탑의 크기에 의해 맞지가 않는다는 것이 그 첫째 이유이다.


고려 때 조성한 것으로 보이는 이 탑은, 아래 이층부분이 유실된 듯하다. 기단부가 없어지고 갑석만 남아있는데, 그 갑석의 크기로 보아도 그렇다. 여러 가지 생각을 하게 만드는 인취사 삼층석탑. 비록 문화재자료이기는 하나, 그 또한 소중한 고려시대의 유산이다. 이런 탑 하나에도 공을 들여 조성을 했을 당시 장인의 마음과 손길을 기억해 내는 것은, 지금 우리가 꼭 해야 할 일이란 생각이다.

2월의 찬바람에 올라간 인취사. 넓은 절터에 부는 한줄기 바람이 탑을 돌아 저 밑 연꽃마을로 사라진다. 곧 꽃피는 춘3월이 돌아오면 인취사는 각종 아름다운 연꽃으로 단장을 하게 될 테고, 그 바람 한 점이 꽃을 재촉하는 듯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