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곡성군 오산면 가곡리 2에 소재하고 있는 보물 제1322곡성 가곡리 오층석탑오산면 가곡리 매봉 북쪽 경사면에 위치한 절터에 있는 석탑으로, 2단의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얹은 모습이다. 가곡리 오층석탑은 그동안 보아왔던 많은 석탑과는 달리 처음 본 순간부터 발길을 붙든 탑 중의 하나였다.

 

가곡리 오층석탑은 고려 초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가곡리 석탑은 고려시대에 건립된 일반형 석탑의 양식은 물론, 충청도와 전라도 지방을 중심으로 건립되던 백제계 석탑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가곡리 오층석탑의 또 하나의 특징은 각 층의 지붕돌 위에, 또 다른 돌로 몸돌받침을 만들어 몸돌을 괴고 있는 점이 매우 특이하다.

 

 

몸돌에 조성한 감실에는 누가 있었을까?

 

가곡리 오층석탑은 2단의 기단을 조성했다. 아래기단은 여러 장의 석재를 이용해 3단으로 쌓아올렸다. 아래기단에는 탱주와 양우주 등 기둥 모양이 없으나, 윗기단에는 모서리기둥인 양우주가 새겨져 있다. 2단으로 된 기단석 위에 5층의 비몸인 몸돌을 쌓아올렸는데, 1층 몸돌에 비해 2층서부터는 급격히 줄어들었다.

 

몸돌에 비해 5층의 지붕돌은 알맞은 비례로 줄어들었는데, 1층 몸돌은 4매의 돌, 2층 이상의 몸돌은 1매의 돌로 이루어져 있다. 각 몸돌에는 모서리기둥인 양 우주를 새겨 넣었으며, 2층부터 5층까지의 몸돌 남쪽 면에는 네모난 홈을 파서 감실의 효과를 내었다. 아마도 이곳에는 작은 부처의 상을 모시지는 않았을까 생각이 든다.

 

 

몸돌 밑에 받침돌을 조성

 

오층석탑의 1층부터 4층까지의 지붕돌의 받침은 3단이고, 5층 지붕돌받침은 2단으로 되어 있다. 지붕돌 윗면의 경사는 완만하나 양끝의 귀마루가 매우 두텁게 표현되어 있다. 백제계 탑의 특징을 보여 주고 있다. 이는 백제계 탑의 특징으로, 이 가곡리 오층석탑이 백제계 석탑을 모방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지붕돌의 처마 선은 수평을 이루다가 끝에 이르러 위로 살짝 들어 올렸다. 그런 모습이 비상하는 듯한 자연스러움을 보여준다. 가곡리 오층석탑은 특징은 층마다 지붕돌 위에 또 다른 돌로 몸돌받침을 만들어 몸돌을 괴고 있는 점이 매우 특이하다. 이렇게 층마다 몸돌받침을 조성해 놓아, 탑의 높이가 한층 더 높아졌다.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석탑

 

이 석탑은 맨 위부분인 상륜부를 제외한 각부의 부재가 비교적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고, 고려시대에 건립된 일반형 석탑의 양식은 물론 충청도와 전라도 지방을 중심으로 건립되던 백제계 석탑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석탑은 담양 남산리 오층석탑(보물 제506)과 매우 유사하다. 특히, 탑신과 지붕돌에 나타난 표현양식과 더불어 몸돌받침이 있는 점은 고려시대 석탑의 대표적인 양식이라 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백제탑의 특징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으면서도, 또 다른 멋을 보여주고 있는 가곡리 오층석탑. 해는 벌써 긴 그림자를 남기고 있는데, 그곳을 떠나기가 아쉽다. 조금만 더 살펴보았으면 하는 것이, 답사를 하면서 매번 이렇게 조급한 걸음에서 오는 조바심이다. 언제나 마음 편하게 관람을 하는 마음으로 문화재를 대할 수 있으려는지.


제대로 지역에 있는 문화재 하나 주변 정리도 못하는 지자체가, 문화 운운하는 것은 정말로 짜증스럽다. 용인시는 딴 지역에 비해 월등한 문화자원을 갖고 있는 곳이다. 공연장만 해도 용인시청 청사 내를 비롯해, 수지 등 몇 곳에 어느 곳에도 뒤처지지 않는 공연장을 갖고 있다. 그런 용인시에 소재한 문화재가 방치되는 모습을 보면서 정말로 어이가 없다. 문화재 주변에 가득한 말라버린 덤불이며, 누군가 갖다 놓은 농기구 등, 이렇게 문화재 관리를 하고 있다는 것에 울화가 치민다. 많은 문화재를 보았지만, 이렇게 황당한 적은 없었던 것 같다.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 264번지에 가면,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42호로 지정된 공세동 오층석탑이 있다. 탑안마을이라고 하는 곳에 서 있는 이 공세동 탑은 몇 년 전부터 찾아다닌 탑이다. 아파트 공사를 할 때부터 찾아갔으니, 어림잡아도 몇 년은 지난 듯하다. 당시는 이 탑을 보기 위해 여러모로 힘을 썼지만 찾지를 못했다. 이번 12월 26일 답사 길에서 만난 공세동 탑. 혼자 그렇게 독야청청하게 버티고 있는가보다.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42호인 용인 공세동 오층석탑. 주변이 정신이 없을 정도이다.

백제계열의 고려 석탑

공세리 오층석탑은 백제탑을 모방한 고려시대의 탑으로 보인다. 탑의 높이 2.5m의 이 석탑은 절의 이름은 알 수 없지만, 옛 절터였을 것으로 추정하는 곳에 서 있다. 그 옆에는 목이 잘린 석불이 한 기 마른 덤불 속에 방치되어 있다. 탑의 앞에 서 있는 문화재 안내판을 보면 이 석불의 머리가 없다는 이야기가 없는 것으로 보아, 석불이 지금처럼 머리가 사라진 것은 아니었나보다.

「높이 2.5m의 이 탑은 이름을 알 수 없는 옛 절터에 불상과 함께 보존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백제계 석탑을 계승한 고려시대 석탑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탑은 지대석에는 연꽃문양이 조각되어 있고 윗면에는 낮은 받침이 있다.(하략)」

이와 같은 설명으로 보아 무너져가고 있는 담장 밑에 방치되어 있는 목 없는 석불 한기가 같은 절터에서 발견이 된 것으로 보인다.


상륜부는 사라지고, 기단부의 상단은 앞뒤 판석이 없다.

옛 절터, 사전에 발굴조사는 제대로 이루어졌을까?

이 안내판을 보면서 의아한 점이 있다. 5층 석탑이 자리하고 있는 공세동 옛 절터라는 옆에는 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꽤 시간이 흘렀지만 몇 년 전인가 이 탑을 답사를 하려고 왔을 때는, 이곳에 아파트를 짓느라 부산했을 때이다. 그런데 그 당시 이 탑 주변의 발굴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가 궁금하다. 아마 당시 아파트를 짓느라 이 일대를 다 파헤쳤을 텐데, 그런 절터에 관한 것에 대한 궁금증이 조금은 가셨을 수도 있지 않았을까?

문화재가 서 있는 곳을 발굴한다는 것은 중요한 사안이다. 더구나 이곳이 절터였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면, 좀 더 세심한 발굴이 이루어졌어야만 했다. 또한 아파트를 건설한 축대 밑에 있는 이 석탑과 불상에 대해, 조금 더 신경을 써서 관리를 해야만 했다. 도로에는 수많은 예산을 쏟아 붓고 있는 지자체에서, 이렇게 문화재를 방치하고 있다는 것에 대해 납득이 가질 않는다.

안양사로 추정하는 절터라는 곳에 있는 석불좌상. 목이 없고 주변은 온통 말른 덤불투성이다.

일설에는 안양사라고 하는 절터였다고 하는데, 그런 것에 대한 충분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만 같다. 그리고 이렇게 덤불 속에 방치된 석불좌상 등 분노마저 느끼게 하는 문화재 관리이다. 만일 사전에 충분한 발굴이 이루어졌다면, 그에 대한 조사보고 정도는 안내판에 적었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나름 섬세한 고려시대의 석탑

이 공세동 오층석탑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면 고려시대의 석탑으로는 상당히 정교하게 조성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기단부는 네모나게 조성을 해 연꽃문양을 둘렀는데, 상면만 땅 위에 보일뿐, 흙에 묻혀있어 제 모습을 볼 수가 없다. 주변을 정리하고 흙이라도 좀 파냈다면 한결 보기가 좋았을 것을. 상층 기단부는 앞뒤의 판석이 떨어져 나갔다. 기단의 각 면에는 우주가 새겨져 있는데, 탱주가 없는 것은 탑이 그리 크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몸돌은 모두 오층으로 조성이 되었는데, 일층의 몸돌은 크고 이층부터는 급격히 줄어들었다. 일층은 탑 몸돌과 덮개석을 따로 제작했는데, 이층부터는 몸돌과 덮개석이 한 장의 돌로 꾸며졌다. 지붕돌은 3단의 받침을 두었으며, 그 위에 추녀를 두었는데 처마꼬리가 약간 위로 치켜 올려졌다. 비록 일부가 사라지기는 했지만, 약간 치켜 올라간 처마 등 나름 멋진 석탑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상륜부는 모두 사라져 어떠한 형태였는가를 알 수가 없음이 아쉽다. 이제라도 공세동 오층석탑 주변을 정리를 하고, 문화재다운 모습을 볼 수 있도록 할 수는 없는 것일까? 인근 아파트에 사는 자라는 학생들이 이런 모습을 본다면, 우리 소중한 문화재에 대해 어떤 생각들을 갖게 될까 걱정스럽다. 가뜩이나 문화재가 홀대를 받고 있다는 생각을 떨칠 수 없는 요즈음에.

기단부가 땅에 묻혀있어 제 모습을 알아보기 힘들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