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상광교동 산41에 소재한 수원시 향토유적 제4호인 창성사지. 창성사는 고려 말의 국사인 화엄종사였던 진각국사(1305~1382)의 사리탑과 함께 조성이 된, 보물 제14호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가 있던 곳이다. 진각국사의 탑비는 현재는 수원 화성 안 방화수류정 길 위편으로 옮겨져 있다.

 

상광교동 버스 정류장에서 광교산 방향으로 폭포농원이 있다. 창성사를 오르는 길이 따로 나 있지 않아 이곳을 통과해 안쪽 하천에 놓인 가교를 건너야 한다. 이곳에서 산으로 오르는 길은 그저 평범한 어느 산골마을을 찾아가는 길 같다. 길가에 쓴 몇 기의 묘를 지나 산길을 걷다보면 길이 양편으로 갈라진다. 좌측으로 난 길이 창성사지로 오르는 길이다.

 

 

누가 쌓아놓은 돌탑일까?

 

18일 오후에 오른 창성사지 오름길. 이곳부터는 길이 험해진다. 발밑에서 바삭하며 부스러지는 마른 낙엽들이 아파하는 소리가 난다. 물길과 산길을 따라 수북이 쌓인 낙엽들을 밟으며 걷다보면 때 늦은 단풍들이 손짓을 한다. 좌측으로 계곡 옆에 선 커다란 바위 덩어리들이 보인다.

 

천천히 걸어 조금 더 오르면 누군가 쌓다가 만 돌탑이 보인다. 막돌로 쌓아놓은 이 탑은 언제 누가 쌓은 것일까? 아마도 누군가 이곳에서 간절히 바라는 바가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길이 갑자기 험해진다. 낙엽이 쌓인 밑으로 뾰족한 돌들이 발바닥을 찌른다. 아마도 낯선 사람이 이 길로 들어선 것이 못마땅한 모양이다. 땀이 흐르는 것을 닦으며 조금 더 오르니 창성사지가 보인다.

 

 

창성사지 이렇게 대단했었나?

 

고려 때 쌓은 것으로 추정되는 옛 축대가 보인다. 높이 4 ~ 5m 정도의 축대로 보아, 이곳을 기점으로 아래 위에 전각이 들어서 있었을 것이다. 창성사지 주변에 온통 여기저기 줄을 늘어놓았다. 수원시 향토유적인 창성사지를 한신대학교박물관과 수원시에서 발굴을 하고 있다는 안내문이 붙어있다.

 

보물로 지정이 된 창성사지 진각국사 탑비는 이곳을 떠났다. 아마도 절이 사라져버린 산 중에 놓아두는 것이 불안했던 모양이다. 여기저기 발굴의 흔적이 보인다. 모두 3단으로 축대를 쌓고 전각을 지었을 것으로 추정이 되는 창성사지는, 발굴을 하면서 각종 와편과 석재들이 노출이 되었다.

 

그 뒤편에도 작은 축대 한 곳이 있다. 아마도 그 위에는 산신각이나 삼성각이 자리했을 것이다. 모습을 드러낸 석재들과 함께 몇 곳에 우물의 흔적도 보인다. 이렇게 발굴을 하고 있는 사지를 돌아보니, 창성사지가 적은절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잘 다듬은 장대석을 보아도 이 절의 크기가 가늠이 간다.

 

 

많은 석재와 와편들, 창성사지 옛 역사 밝혀질까?

 

현재 발굴중인 창성사지는 장대석과 주초 등의 석재나 우물터, 축대 등으로 보아 모든 발굴을 마치고나면 사적이나 문화재자료로 지정도 가능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 정도로 장대석을 잘 다듬어 사용을 했다. 한창 발굴중인 창성사지를 돌아본다. 산 정상을 바라보고 있는 소나무 뒤편으로 문양을 한 사각형의 석재가 보인다.

 

가까이 다가가보니 우물인 듯하다. 삼면을 잘 다듬은 네모난 석재로 마감을 하고, 그 위에 네모난 문양을 곁들인 돌을 올려놓았다. 안에는 물이 고여 있다. 그동안 노출이 되어있던 우물터는 모두 막돌로 주변을 쌓아놓았었다. 그런데 이 우물은 왜 이렇게 정성들여 꾸며 놓은 것일까? 전문가가 아니니 이유를 알 수는 없지만, 이 우물은 특별하게 사용한 것은 아니었을까?

 

 

잠시 소나무 아래 그늘에 앉아 저 멀리 보이는 산을 바라본다. 마치 용트림을 하듯 굴곡진 산등성이들이 보인다. 옛날 진각국사도 이런 풍광 때문에 이곳에 창성사를 중창한 것은 아니었을까? 현재 드러난 잘 다듬은 장대석과 주초, 와편, 우물터와 전각 터 등을 보아도 예사 절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발굴이 다 끝나고 나면 창성사에 대한 더 자세한 역사를 알 수 있지 않을까? 조급한 마음으로 기대를 해본다.














사적 제466호 법천사지.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에 있는 법천사지는 원래 경기도 여주의 땅이었다. 통일신라시대에 창건하여 고려시대에 융성했던 것으로 알려진 법천사는, 임진왜란 때 소실이 된 후 중창을 이루지 못한 절이다. 이곳을 찾았을 때는 초겨울의 바람이 불고 날씨가 급격히 추워져서인가, 법천사의 발굴 복원 작업이 중단되고 있었다.

길가에 세워진 복원을 위한 중장비가 을씨년스러워 보인다. 그 차가운 금속물질이 더욱 날씨를 차갑게 느끼게 한다. 법천사는 권람, 한명희, 서거정 등이 시를 읊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는 그만큼 이 법천사가 한 때는 중요한 사찰이었음을 알려주는 기록이다. 이곳을 황려현이라고 사료에 표기된 것으로 보아 여주에 속했던 지역으로 보인다.


법천사에는 국보 제101호인 지광국사현묘탑이 있었으나, 일제 강점기인 1912년 일본 사람들이 밀반출하였다. 그 후 1915년에 되돌려 받아 현재는 경복궁 경내 구 국립중앙박물관 자리 앞에 서 있다. 이 현묘탑이 새로 지은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가지 못하는 것은, 한국전쟁 때 폭격을 맞아 옮길 수 없을 정도의 피해를 입었기 때문이다.

국보 제59호 지광국사 현묘탑비

현재 법천사지는 발굴, 복원 중에 있다. 안으로 들어가 살펴보니 전각이 있던 자리들이 여기저기 보인다. 그 전각의 자리로만 추정해도 이 절이 얼마나 대단했던가를 알 수가 있다. 현묘탑비는 고려시대의 스님인 지광국사(984 ~ 1067)의 사리를 모신 현묘탑을 세운 이후, 고려 선종 2년인 1085년에 지광국사의 업적과 삶을 기록한 비다. 국보 제101호인 탑은 제자리를 떠나고, 탑비만 쓸쓸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탑비 귀부의 머리. 신라말에서 고료 초기로 넘어오는 과정에 나타나는 용머리이다


수많은 석재들이 쌓여있는 법천사지. 그 하나하나가 삼국시대를 거쳐, 고려조까지 이어지면서 수많은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었을 것이다. 여기저기 쌓여있는 석재들 틈에는, 보기만 해도 상당히 귀한 석조물들이 보인다. 벌써 몇 년째 이렇게 발굴과 복원을 하고 있다.

현묘탑비의 앞면에는 지광국사가 984년에 태어났고, 이름은 원혜린이라고 기록돼 있다. 16세(999년)에 스님이 되어 승통, 왕사, 국사의 칭호를 얻었으며, 84세인 1067년에 이곳 법천사에서 돌아가신 것을 기록하였다.




고려초기의 특징을 나타내는 받침돌

국보 제59호 현묘탑비를 보면 놀랍다. 받침돌은 고려 초기 탑비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삼국통일을 한 신라 말기부터 고려조로 넘어오면서 받침돌의 형태가 달라진다. 즉 거북의 몸에 머리는 용머리로 조성했다. 이러한 형태는 고려 초기의 받침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이다. 새로운 받침돌의 형태는 그 시대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용머리는 두 눈을 부릅뜨고 이를 드러내고 있다. 얼핏 보면 무섭기도 하지만, 조금은 해학적이기도 하다. 그런데다 목 부분에는 또 다른 버팀석을 만들어 놓아 머리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몸체인 거북의 등에는 '王'자가 육각형의 무늬 안에 새겨져 있다. 왕사나 국사의 비에서 보일 수 있는 글자다.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는 현묘탑비

지광국사현묘탑비를 찬찬히 살펴보면 뛰어난 작품성을 엿볼 수 있다. 천년이 지난 과거에 이렇게 대단한 작품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 놀랍기만 하다. 연꽃의 잎과 구름속의 용이 조각된 왕관 모양의 머릿돌. 그리고 비 몸돌에 새겨진 화려한 문양과, 금방이라도 몸돌에서 뛰쳐나올 것만 같은 용. 섬세하고 화려한 구름 등이 현묘탑비의 뛰어난 예술성을 느끼게 만든다.

국보 현묘탑. 제 자리를 떠나 더욱 안타깝다. 제 자리로 돌아갈 수 있었으면


현묘탑비의 뒷면에는 1370명의 제자들의 이름이 음각되어 있다. 전체 높이 4.55m의 현묘탑비는 거북이의 몸에 용머리를 붙인 받침돌. 그리고 양편에 비천하는 용을 새긴 탑비와, 왕관모양의 머릿돌로 이루어져 있다. 날씨가 추운데도 불구하고 탑비 곁을 쉽사리 떠나지 못한다. 이런 대단한 조각을 후대에 남겨줄 수 있는 우리의 선조들에 대한 마음을, 조금이라도 더 느끼고 싶기 때문이다

전북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 산 80-1번지는 사적 제408호는 왕궁리 유적이다. 이곳은 ‘왕궁리성지’라고도 부른다. 이렇게 부르는 것은 이곳이 마한의 도읍지설, 백제 무왕의 천도설, 혹은 별도설 등이 이곳이라는 학설 때문이다. 또한 이곳은 안승의 보덕국설과 후백제 견훤의 도읍설이 전해지는 유적이기도 하다.

한창 발굴이 이루어지고 있는 왕궁리 유적지를 찾았다. 마침 공사를 쉬는 날이라 안내인의 안내를 받아 안으로 들어갔다. 지금은 유적지를 한창 발굴하고 있는 중인데, 성이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여기저기 표시를 한 곳은 아마 건물터인 듯하다. 유적지 앞쪽에 우뚝 서 있는 국보 289호인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백제석탑의 양식을 충실히 따른 통일신라 말, 또는 고려 초기의 석탑으로 보인다.


안정감 있는 형태의 왕궁리 석탑

오층석탑의 정확한 유래는 전해지지 않는다. 다만 탑 주변에서 「관궁사」,「대궁」등의 명문기와가 발견이 된 점으로 미루어, 궁성과 관련된 사찰이 있지는 않았을까 추정하고 있다. 왕궁리 석탑은 발굴, 복원 전까지만 해도 기단부가 땅속에 파묻혀, 토단을 쌓고 그 위에 탑을 세운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1965년 11월∼1966년 5월의 해체 수리 때에 밑에 석물로 된 가단부가 발견이 되어 원형을 복원되었다.


발굴중인 사적 제408호 익산 왕궁리 유적

멀리서 보아도 왕궁리 오층석탑은 균형이 잘 잡혀있다. 돌 하나하나를 맞추어 쌓아올린 것이 빈틈이 보이지 않는다. 기단부의 네 모서리에 8각의 부등변 고주형 주춧돌이 놓고, 우주석 사이에는 길고 큰 돌을 몇 단 쌓아 올렸다. 탑은 옥신과·옥개석이 모두 몇 장의 돌로 구성되어 있다. 1층 몸돌은 우주가 새겨진 기둥모양의 우주석과, 탱주가 새겨진 중간석으로 되어 8개의 돌로 이루어져 있다. 1층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몸돌은 작아지고, 옥개석도 그에 따라 넓이가 줄어들고 있다. 이렇게 5층까지 올라가면서 매우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다.

옥개석은 매우 넓은데, 받침과 지붕이 각각 딴 돌로 되어 있다. 받침은 각 층 3단으로 4개씩의 돌로 짜여 있으며, 등분을 하지는 않았다. 옥개석은 1층부터 3층까지는 8개의 돌로 짜여져 있으며, 4층과·5층은 4개의 돌로 구성하였다. 추녀는 얇고 추녀 밑은 수평이며, 끝부분에는 종을 매달았던 풍령공이 뚫려있다.





발굴 중이기 때문에 출입을 제한하는 줄을 쳐놓아 가까이는 갈 수가 없다. 뒷면과 탑 주위를 돌아보고 싶었으나, 금지를 시킨 줄 안으로 들어갈 수가 없었다.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해 쳐놓은 줄을 스스로 넘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탑이 높아 상륜부가 가려 잘 보이지는 않지만, 상륜부에는 노반과 부발, 앙화, 그리고 부서진 보륜 1개가 남아 있다.

왕궁리 석탑 국보라서 다르다. 그 아름다움이

전국을 다니면서 수많은 탑을 보아왔지만, 왕궁리 오층석탑 앞에서는 순간 숨이 막히는 듯하다. 어떻게 저렇게 안정감이 있게 조형물을 만들 수가 있었을까? 마치 거대한 틀에 부어 만든 것만 같은 정교함이 놀랍다. 국보로 지정이 된다는 것은 쉽지가 않다. 그렇다고 국보로 지정된 여느 석탑처럼 화려한 문양이 새겨진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엇인가 말로는 다 표현하기 어려운 고귀한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



마치 후원 한편에 꼭꼭 숨겨졌다가, 발을 걷고 버선코를 살며시 들고 나타나는 여인네와 같은 아름다움이 보인다. 그리고 그 단아한 자태는 범접할 수 없는 위엄이 있다. 한참이나 바라다보다가 ‘가자’는 일행의 목소리에 놀란다. 떨어지지 않는 발길을 억지로 끌며 돌아서지만, 그 단아한 아름다움은 한참이나 남아있을 것만 같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