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시 가흥1동 264번지에는 보물 제221호인 영주 가흥동 마애삼존불상이 있다. 앞으로는 서천이 내려다 보이는 거대한 바위 윗부분에 자리하고 있는 마애삼존상이다. 이 마애삼존상은 앞에서 보면 바위에 조각을 한 것처럼 보이지만, 측면에서 보면 삼존불이 새겨진 돌이 바위와는 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삼존불의 주변으로는 크기 20㎝내외의 사각형 흠이 나있고, 삼존불상 앞으로도 기둥을 세웠던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마애삼존불상을 보호하기 위한 전각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한다. 삼존불 중앙에 본존불은 좌상으로 표현을 하였으며, 좌우에 협시불은 입상으로 조각을 하였다.



영주시 가흥동 마애삼존상과 참례를 하는 사람들

통일신라 초기의 우수한 석조물


삼존불 중 중앙에 좌정한 본존불의 높이는 330cm 정도이다. 우협시보살은 198cm, 좌협시 보살은 약간 작은 195cm이다. 이 삼존불상은 두텁게 돋을새김을 하였는데, 처음부터 암반을 파들어가면서 조각을 한 것으로 보인다. 중앙에 본존불을 거대하게 조각을 하고, 양편에 협시불은 본존불 쪽으로 약간 기울 듯 조성을 하였다.


본존불은 소발로 육계가 뚜렷하다. 두터운 통견의 법의를 걸치고 있으며, 수인을 보면 시무외여원인을 하고 있다. 이 마애삼존불에 새겨진 불상은 비교적 살이 올라 통통한 편이며, 둥근 얼굴의 상호가 지역적인 특징으로 보인다. 양편에 서 있는 협시불 역시 얼굴이 통통하다. 중앙의 본존불은 앙련을 새긴 연화대 위에 결가부좌를 하고 앉았으며, 좌우 협시불 역시 연화대 위에 서 있다.





본존불의 뒤편에 있는 광배는 상단이 뾰죽한 보주형이다. 연화문을 둥그렇게 중앙을 에워쌓 듯 두르고 있고, 바같으로는 꽃을 새겨 넣었다. 그리고 마무리는 돋을새김으로 둘러놓았다. 대좌는 연화대좌로 마련을 했으며, 무릎에 닿게 연화문 8엽을 앙련으로 새겨 넣었다. 양편에 서 있는 협시불도 본존불과 같은 돋을새김으로 처리를 하였다.


누군가 눈을 다 파내


좌측에 서있는 협시불은 왼팔을 어깨 위까지 들고 오른팔은 배 앞으로 대고 있다. 우측의 협시불은 두손을 가슴 앞으로 모았는데, 보관에는 보병이 새겨져 있다. 양편 협시불의 팔목에 걸친 천의 자락이 두터운데도 불구하고, 옷주름 선 등이 유연하게 처리되었다. 또한 신체 등의 비례가 알맞은 것으로 보아, 조각술이 뛰어난 우수한 장인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 삼존불상은 영주지역을 중심으로 한 통일신라 초기의 불교조각작품을 대표한다고 하겠다. 그런데 이 삼존불상을 보면 누군가 양쪽 눈을 모두 깊게 파버렸다. 처음부터 이렇게 조성이 되었을리는 없는 것이고 보면, 누군가에 의해 심하게 훼손이 되었다는 것이다. 본존불만이 아니고 양편의 협시불까지 그렇게 눈을 파낸 것이다. 그렇게 훼손한 얼굴이 흉하기만 하다.


천년 세월을 높은 바위 위에 자리를 잡고, 앞으로 흐르는 내를 바라다보면서 서 있었을 가흥동 마애삼존상. 두텁게 돋을새김을 한 형태는 전국을 다니면서 보아도, 그리 흔한 모습이 아니다. 그만큼 당대의 뛰어난 장인에 의해 조성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흉하게 눈을 다 파놓은 것을 보면서 마음이 아리다. 숱하게 훼손이 된 문화재들을 만날 때마다, 가슴은 시커멓게 썩어가고만 있다.



석굴법당, 그리고 산의 정상부에 늘어선 자연암석에 조각한 수많은 불상과 군상들. 경남 함양군 마천면 추성리에 소재한 벽송사를 오르다가, 맨 위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가면 서암정사가 나온다. 이 서암정사는 지리산의 한 줄기 정상부근에 자리하고 있다. 우리나라 삼대명산이라는 지리산. 삼신산의 한 산인 지리산은 산세가 험해, 6.25 한국전쟁 때 이곳에서 산화한 장병들의 원혼이 떠도는 곳으로 많은 아픔을 지니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원응스님이 이곳을 지나다가 수많은 원혼의 울부짖음을 듣고 난 뒤, 이곳에 극락정토를 이루겠다는 일념으로 자연석벽에 지장보살과 아미타불 등, 무수한 불보살을 조성하였다고 한다. 벽송사를 들려 나오는 길에 찾아간 서암정사. 말 그대로 서쪽에 있는 암벽에 조성한 절이라는 뜻인가 보다.



자연암벽에 새겨진 사천왕상과 서암정사로 들어가는 석문

자연암벽에 새긴 사천왕상에 압도당하다.

서암정사를 찾아가는 길은 가파르다. 다행히 벽송사에서 내려오는 길에 들려, 그렇게 많은 고생을 하지는 않았다. 차가 서암정사의 입구까지 들어갈 수가 있지만, 답사는 역시 조금은 걸어야 제 맛이 난다. 천천히 길을 잡아 서암정사 쪽으로 걷다가 보니, 불사를 하는 중인지 주변에 많은 목재가 쌓여있다.

조금 안쪽으로 걸어가니 양편에 커다란 석주가 서 있다. 그 안으로 정사를 들어가는 석굴 입구가 보인다. 그런데 벽에 무엇인가 새겨진 모습이 보인다. 세상에, 자연 암벽을 이용해 그대로 사천왕상을 새겨 놓았다. 그 조각 솜씨가 일품이다. 도대체 몇 년이나 걸려 이 많은 작품들을 완성한 것일까?



바위마다 새겨진 불상과 서암정사로 들어가는 대방광문, 그리고 문의 안편

암벽의 크기 때문인가, 사천왕상은 조금씩 높낮이를 다르게 조상하였다. 힘찬 동작이 금방이라도 바위를 박차고 호령을 하며 뛰쳐나올 듯하다. 석굴로 들어가니 안으로 넓은 공지가 나온다. 종각이며 극락전 등, 전각들이 자리를 잡고 있다. 한편에서는 석굴법당 공사를 하느라 부산하다.

모든 것이 자연암석을 이용해서 조성하다

경내에는 모든 조각들이 모두 자연암석을 이용해 조성을 하였다. 관계자에게 이야기를 들어보니, 자리를 옮긴 것은 하나도 없다는 것이다. 있는 자리에 그대로 적당한 조형물을 만들었다고 한다. 그 중에 눈길을 끄는 것이 있다. 작은 암반에 용을 조각하였는데, 머리는 거북이다. 그 입에서 물줄기가 쏟아져 나온다. 어떻게 저 속을 파내었을까? 모든 것이 궁금하기만 하다.


경내에 마련한 연못과 용을 새긴 수각

종각도 마찬가지이다. 암석 위에 그대로 기둥을 세웠다. 이런 형태는 전국의 정자를 답사하면서 많이 보았기 때문에 새로운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 산꼭대기에 이렇게 많은 석조물을 조성하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한 것일까? 서암정사 여기저기를 돌아보니, 탄성이 절로 나온다.

억울하게 쓰러져 간 영혼들을 위해 이렇게 많은 조형물을 만들었다는 것도 놀랍지만, 그 모든 것이 제 자리에 있는 그대로를 이용한 것이라는 데는 할 말을 잃었다. 극락전 앞으로 다가가 머리를 숙이고 나도 이런 불사에 작은 마음이라도 보탬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저쪽 한편 바위벼랑 끝에 작은 집 한 채가 보인다. 아마 수행이라도 하는 분의 숙소인 듯. 길을 따라 눈길을 돌려보니 현기증이 날 정도이다.


바위를 파서 법당을 만든극락전과 벼랑 위에 걸친 토굴

언제 이 거대한 불사가 다 마무리가 되려는지. 아마 또 오랜 시간 또 이렇게 정성을 들여야 하는 것은 아닐까? 주변을 둘러보다가 아직 조형물이 들어차지 않은 바위를 보며, 내 마음속으로 추측을 해본다. 저곳에는 무엇을 조각할 것인가를.


원주시 소초면 소재지에서 동쪽을 향해 도로를 따라 가다가 보면, 옛 도로가 우측으로 빠지는 곳이 있다. 소초면 평장리인 이곳에는 건축물 폐기 업소가 있는데, 그 뒤편 계곡에 마애불이 선각되어 있다. 이 곳에는 높이 3.68m, 넓이 6.2m 크기의 암벽이 있고, 그 암벽에 가득히 보살좌상을 조각하였는데 보살의 높이는 3.5m이다.

이 보살은 옆으로 한편 무릎을 세우고 앉은 측면상으로, 머리에는 보관을 썼는데 하단에 좌우로 관대가 보인다. 이 마애보살상은 고려 초기에 조성된 보살상으로 비교적 얇은 선각으로 조성을 하였다. 현재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19호로 지정이 된 이 마애보살상은, 우리나라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형상으로 조각이 되었다.


넙적한 암벽에 선각으로 그려진 마애공양보살상과 보살상이 있는 좁은 계곡

사실적인 표현이 뛰어난 마애보살상

오른쪽을 향해 비스듬히 앉아 팔을 어깨까지 올려, 넓은 둥근 쟁반 같은 것에 꽃으로 추정되는 공양물을 받치고 있다. 머리에는 일반적인 관을 쓰고 있으나, 머리카락은 어깨에 닿을 만큼 늘어졌다. 이 보살상은 모발의 표현이 부드러우며, 상호는 원만한 상으로 양미간 등은 잘 남아 있으나 입은 약간 파손이 되었다. 목에는 조금 밑으로 삼도를 그려냈다.

옷은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허리로 3~4가닥의 선으로 표현을 하였다. 하체의 치마 역시 간단한 선으로 그려냈으며, 바위면의 밑 깊게 패인 곳까지 선을 유려하게 연결하였다. 공양물을 받치고 있는 양 팔에는 팔찌가 끼어져 있으며, 손가락은 가늘고 섬세하게 표현을 하였다. 흔히 공양상이 취하는 자세를 보이고 있는 이 공양보살상은 오른발을 구부려서 앉고, 왼발은 직각되게 펴서 왼손을 받치고 있다. 이러한 조각수법은 고려 초기에 흔히 나타나는 조각기법이다.




마애공양보살상이 있는 계곡으로 내려가는 계단과(맨위) 공양물을 받치고 있는 부분

바위에 파진 구멍은 무엇일까?

이 마애보살입상에서 특이한 것은, 왼손을 넓게 펴고 그 위에 연꽃 등의 공양물을 올려놓았다는 점이다. 그리고 오른손으로 이것을 잡고 있는데, 이러한 형상은 당대에는 보기 힘든 것이다. 흔히 구례 화엄사 석탑 앞에 앉아있는 공양상이나, 강릉 지역의 석탑 앞에 앉은 공양상에서 보이는 석조물과 동일한 모습이다. 그러나 이 공양보살상은 넓은 암벽에 선각으로 처리를 했으면서도, 사실적인 표현에 충실했다는 점이다.

그런데 이 마애공양보살상을 바라보면서 정말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다. 암벽에 여기저기 구멍이 뚫려있는 것이다. 한 두 개가 아니고 얼굴부분에 집중적으로 대여섯 개의 구멍을 뚫어, 얼굴에 인중과 입이 파손이 된 상태이다. 그리고 앉은 부분에도 여기저기 구멍이 보인다. 왜 이런 구멍이 있을까?



마애공양보살상을 새긴 바위에 난 구멍. 누군가 날카로운 것으로 쪼아낸 것 같다.

처음에는 보살상을 선각하는 과정에서 장인의 도구에 의해 뚫린 것은 아닌가 생각을 했다. 그러나 그것은 절대 아니라는 점이다. 마애불을 선각하는 장인 같으면, 입이나 볼 등에 구멍을 뚫을 이유가 없다. 이 마애보살상은 선각을 했지만 그 조각 수법이 뛰어난 작품이다. 이 정도의 마애불을 조성할 수 있는 장인이라면, 적어도 얼굴부분을 표현 할 곳에 구멍을 낼 리가 없다.

결국 이것은 누군가가 마애불을 훼손할 목적으로 일부러 구멍을 뚫었다는 생각이다. 일부러 훼손을 한 것과 자연스레 떨어져 나간 것은 형태가 다르다. 이 구멍은 아무리 들여다보아도 누군가 뾰죽한 공구를 이용해 파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소중한 우리의 문화재. 그것은 어떤 이유에서도 훼손이 되어서는 안된다. 전국을 다니면서 만나는 수많은 문화재의 훼손. 그것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우리 모두가 문화지킴이가 되어, 눈을 크게 뜨고 지켜내는 일 뿐이다.

‘천령’은 ‘하늘재’라는 소리이다. 지금의 경남 함양군이 바로 신라 때 명칭이 천령이었다. 신라 때는 속함군(速含郡), 또는 함성이라 칭하였으나, 신라 경덕왕 16년인 757년에 천령군으로 개칭하였다. 당시는 이곳이 육로를 이용해 다니기가 힘들었던 모양이다.

골이 깊으면 산이 높다고 했던가? 함양군에는 어느 곳 보다도 많은 정자들이 있다. 그만큼 이 곳의 산천경계가 좋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함양군의 곳곳에는 수많은 정자가 즐비하게 서 있다. 물이 있고 산이 아름다우면, 그곳에는 반드시 정자가 서 있기 마련이다. 함양군에는 정말 아름다운 정자가 많지만, 그 중에서도 손으로 꼽자면 난 당연 거연정을 머리에 둔다.


바위 위에 홀로 서 있는 거연정

거연정은 1872년에 지어졌으니, 130년 정도가 지난 정자이다. 정자의 연륜은 오래되지 않았으나, 화림재 전시서 선생을 추모하기 위해 그의 7세손인 전재학, 전민진 등이 건립을 하였다.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지어진 거연정은 ‘내가 자연 안에 거하고, 자연이 내안에 거한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팔정팔담(八亭八潭)이라고 했던가. 함양군 서하면 봉전리, 거연정 앞을 흐르는 내에는 8개의 정자와 8곳의 소가 있었다는 곳이다. 그만큼 바위 암벽을 타고 흐르는 내는 절경을 만들고 있다. 중층 누각으로 지어진 거연정은 내부에 판방을 두고 있으나, 뒷벽의 판재만 남아있고 삼면의 문은 모두 없어져 버렸다.




바위에 부딪는 물소리, 선계가 따로 없어

비는 줄기차게 쏟아진다. 전날 밤에 많은 비가 내렸는지, 계곡을 차고 흐르는 물이 잿빛이다. 바위에 부딪는 물은 금방 밖으로 튕겨져 나간다. 저만큼 거연정이 보인다. 암벽 위에 홀로 서 자태를 자랑하고 있는 정자. 겹처마에 합각지붕을 이고, 자연 암반위에 그대로 올려놓았다. 건너편에서 구름다리로 연결해 건널 수 있도록 한 거연정. 멀리서 사진을 찍고 나서 다리를 건넌다.




물소리가 더욱 거칠다. 정자 뒤편 낮은 암반을 타고 흐른 물이, 깊은 소에서 춤을 추며 맴돈다. 빗소리가 절로 흥취를 자아내게 만든다. 그래서 수많은 사람들이 이곳에 발길을 멈춘 것이나 아닌지. 정자 안에는 여기저기 편액이 걸려있다. 저편 바위에는 붉은 글씨로 각자를 해놓았다. 정자 밑으로 내려가니, 이런 멋을 어디서 또 볼 것인가?

마음에 여유를 본다. 높고 낮은 바위를 그대로 이용해 많은 기둥을 세웠다. 기둥이 서기 힘든 곳은 층이 나게 주추를 놓고, 그 위에 기둥을 올렸다. 앞뒤, 사방으로 물길이다. 그 물길 안에 거연정이 바람처럼 홀로 서 있다. 누구랴 이 아름다움을 이야기 할 수 있을까? 저만큼 한줄기 거센 물살이 몰려온다. 아마 저 위 바위틈에서 거연정의 경치에 반해, 길을 멈추고 있었나보다. 그 물길이 거연정으로 몰려들어, 소리를 내며 소 깊숙이 빨려 들어간다.



지금은 비록 낡고 퇴락한 정자. 그 흔한 단청 하나 하지 않은 맨살을 들어내고 있는 정자. 거연정은 경남 유형문화재 제433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비가 오는 날 찾은 거연정은, 그렇게 스스로를 물 위에 내보이고 있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