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 609-1번지. 미륵산 정상 부근에 있는 옛 절터인 사자사터이다. 전라북도 기념물 제104사자사지(師子寺址)’는 현재는 사자암이라는 작은 절이 자리하고 있다. 이곳은 차도가 없어 걸어서 미륵산 정상 부근까지 걸어 올라야 한다. 날이 잔뜩 흐린 날 찾아간 사자암.

 

절 입구에는 물건을 실어 나르는 기구가 있는 것으로 보아 만만치 않을 것만 같다. 천천히 좁을 길을 따라 오르니 주변 경관이 아름답다. 그런데 얼마 오르지 않아 후두둑거리고 빗방울이 떨어진다, 이런 낭패가 있나. 답사를 나갈 때 늘 챙기는 것이 우신이지만, 이 날따라 우산도 지참하지 않았다.

 

 

익산 미륵사보다 앞서 창건한 사자사

 

사자사는 미륵사보다 앞서 창건된 사찰이다. 백제의 무왕과 선화비가 이 사자사로 행차하던 중, 용화산 아래 연못에서 미륵삼존불이 나타나자 그곳에 절을 이룩하라고 일러 미륵사를 창건하였다고 한다. 사자사로 행차를 하던 무왕이 미륵사를 창건하라고 일렀으니 그보다 먼저 창건한 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사자사는 미륵사 창건의 계기를 마련해준 점에서, 백제 불교사에서 매우 중요한 사찰이다. 하지만 이 사자사의 위치에 있어서 논란이 제기되어왔지만, 1993년 발굴조사에서 기와조각들이 발견됨으로써 사자사터임이 확인되었다. 지금은 옛 모습은 찾을 수가 없고, 현재는 석가모니를 모신 대웅전과 스님들이 기거하는 요사채 그리고 창고 등이 있으며 대웅전 앞에 석탑 1기가 남아있다.

 

 

자욱한 운무 속 풍광이 일품

 

비를 피할 곳도 마땅치가 않다. 그저 걸음을 빨리 옮겨 사자암으로 가서 피하는 수밖에. 조금 더 오르니 길이 가팔라진다. 그런데 우리가 걷는 소로 길 옆으로 무엇인가 움직이는 소리가 난다. 곁으로 지나가는 것을 짐을 운반하는 곳에 사람들이 타고 있다. 그런 줄 알았으면 처음부터 전화라도 걸어 볼 것을.

 

아는 사람들은 그렇게 편히 오르려고 하지만, 답사를 할 때는 가급적 걷는 것을 우선한다. 그래야 절을 찾았을 때의 느낌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비는 어느새 그쳐있다. 많이 내릴 것 같았지만, 비안개인 운무만 자욱하다. 길이 바위 위로도 나 있어 위험하다. 비에 젖은 바위는 더 미끄럽기 때문이다.

 

 

저만큼 사자암의 담장이 보인다. 그리고 절로 오르는 계단의 우측에 커다란 바위에는 獅子洞天이라고 깊게 음각한 글자가 보인다. 누가 이곳에 이렇게 글을 새겨놓은 것일까? 대웅전 입구에 낯선 석탑 한 기가 서 있다. 석질로 보나 깨나 오래됨직해 보인다. 하지만 제 짝을 맞추지 못한 것만 같다.

 

문화재는 없지만 후회가 안 돼

 

미륵사보다도 먼저 창건을 했다는 사자사. 하지만 그 어디에도 문화재는 찾아볼 수가 없이, 사자사지만이 전라북도 기념물로 지정이 되어있을 뿐이다. 하지만 비까지 맞으면서 힘들게 올라간 사자암에 문화재가 없다고 해도, 마음 한편이 너무 즐겁다. 운무가 자욱한 모습이 정말로 아름다웠기 때문이다.

 

 

절은 우리나라 어디에도 있다. 그리고 오래된 사찰이면 문화재 하나쯤은 다 있기 마련이다. 하지만 사자암은 문화재는 없었다. 딴 때 같았으면 마음 한편이 허전했을 텐데, 사자암은 오히려 풍광을 보는 것만으로도 행복했다. 이제 나도 슬슬 절에 익숙해져 가는 모양이다. 하기야 이미 30년 세월을 길에 서 있었으니.

충남 금산군 복수면 지량리 345번지에 소재한 충남 전통사찰 제85호 미륵사. 미륵사 상량문에 의하면 미륵사는 통일신라 성덕대왕 2년인 703년 봄에 창건되었다. 현재는 대한불교 조계종 재단법인 선학원의 분원이다.

미륵사는 1948년 불에 타 없어지기 전까지는, 대웅전과 칠성각, 산신각, 요사 등을 갖추고 있었다. 화재 후에는 인법당을 모셨으며, 현재는 대웅전을 새로 짓고, 산성각, 요사 등이 자리를 하고 있다. 미륵사에는 ‘미륵암(彌勒岩)’이 있다, 두상만 남은 석조불을 바위 위에 얹어 놓은 것이다.



미륵암 위에는 고려시대의 석불의 두상이 올려져 있다. 이 두상은 선각을 한 바위 앞에 떨어져 있던 것이라고 한다. 바위에 선각은 조성한지가 얼마되지 않았다. 그리고 옆에는 마애불이 새겨진 바위가 조각이 나 있다. 안면이나 두광 등이 잘 나타나 있고, 옆에는 몸만 나온 조각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것은 삼존불 중 협시불인 듯하다.


바위 위에 얹은 석불 두상

지난 8월 28일, 장수, 진안을 거쳐 금산으로 들어갔다. 보석사의 은행나무와 미륵암을 보기 위해서이다. 미륵암은 현 미륵사로 올라가기 전, 축대 밑에서 좌측으로 70m 정도 들어가면 만날 수가 있다. 산길을 따라가다 보면 우측으로 커다란 바위가 하나 보이고, 그 위에 석불의 두상을 올려놓은 것을 볼 수가 있다.

두상으로만 보아도 이 석불은 고려시대의 거대석불임을 알 수가 있다. 그 밑으로는 평평한 바위 면이 있는데, 누군가 그곳에 두상을 염두에 두고 선각으로 마애불을 조각하였다. 그것으로도 고맙다는 생각을 한다. 그런데 이상한 것이 보인다. 주변을 둘러보니, 쪼개진 바위조각에 조각을 한 흔적이다.


조각난 바위 뒤에는 전각의 주추를 놓았던 흔적이 있다. 이런 것으로 보아 이 마애불을 보존하는 전각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쪼개진 바위조각들은 마애삼존불인 듯?

미륵사로 찾아들었다. 주지스님께 말씀을 드렸더니 자료를 들고 나와 보여주신다. 이곳으로 부임을 해와 보니, 바위를 절단 한 듯 톱날 등이 바위에 꽂혀 있었다는 것이다. 바위가 널린 주변을 다시 한 번 돌아보았다. 세상에 이럴 수가 있다. 어림잡아 크기는 3m가 넘을만한 마애불이다. 전체적으로 이것저것을 맞추어보니, 삼존불을 새겼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어찌해서 이렇게 조각이 나 버린 것일까? 그리고 저 바위에 선각을 한 것은 무엇일까? 마애불을 조각한 바위는 여기저기 널려있다. 어림잡아도 10여 조각은 되는 듯하다. 미륵사 주지스님의 이야기로는 숲 속에도 조각들이 있다는 것이다. 두상은 선각을 한 바위 면 앞에 떨어져 있던 것을 올려놓았다고 한다. 선각을 한 바위 옆으로는 커다란 조각이 하나 서 있는데, 그것을 추론하여 볼 때 마애불을 새긴 바위의 높이는 3m를 넘었을 것만 같다.



주변에 널려진 바위조각에는 마애불을 새긴 흔적이 보인다. 마애불은 통일신라 이후 고려 초기에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선각을 한 것의 기법 등으로 보아 상당한 수준작이다. 도대체 누가 이렇게 조각을 낸 것일까?


무지가 빚은 참화, 눈물이 난다

그리고 바위는 넓적한 돌에 마애불을 새겼을 것만 같다. 그 마애불을 이렇게 조각을 내 놓은 것이다. 현재 조각난 마애불 주변에는 옛 기와조각이 발견이 되고, 바위 한편에는 기둥을 세웠던 흔적이 남아있다. 그렇다면 이 마애불을 새기고 그것을 보호하기 위해서 전각까지 지었다는 것이다. 기와의 와편은 보기 힘든 꽃이 새개져 있다. 와편만 보아도 이 마애불을 보존하기 위한 전각이 상당히 공을 들여 지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이 마애불 역시 상당히 소중하게 여겼을 터, 그런 문화재급 마애불이 산산조각이 나 있는 것이다.

그런 마애불을 도대체 누가 이렇게 조각을 내 놓은 것일까? 조각난 마애불을 돌아보다가 그 자리에 주저앉고 만다. 세상에 소중한 문화재 하나가 산산조각이 나다니. 무지가 불러온 문화재 훼손. 그것도 알만한 인물에 의해서 그렇게 되었다는 것이 더욱 참담하다. 언제나 우리 문화재들이 제 모습 그대로, 제 자리에 편안한 모습으로 있을 것인지. 이 나라에서는 기대를 할 수 없는 것일까? 돌아 나오는 내내 마음이 편치가 않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