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지란 예전 절이 있던 곳이다. 우리나라 전역에는 많은 절터가 있다. 지금은 비록 절은 사라졌지만, 옛 흔적이 남아있는 곳들이다. 그 많은 절터 중에서 가장 잊지못하는 곳이 바로 물걸리사지이다. 한 곳에 보물이 가장 많은 곳은 어디일까?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물걸리에 가면 사지 한 곳에 보물 5점이 있는 곳이 있다.

 

강원도 기념물 제47호로 지정이 된 홍천 물걸리 사지. 이 절터는 정말 알다가도 모를 곳이다. 이 물걸리사지에는 보물 제541호 석조여래좌상을 비롯하여, 보물 제542호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제543호인 불대좌, 보물 제544호 불대좌 및 광배, 보물 제545호인 3층 석탑이 있어 강원도 내에서는 한 곳에 보물이 가장 많은 절터이다.

 

 

옛 기록을 알 수 없는 물걸리사지

 

이곳에 어떤 절이 있었는가는 모른다. 다만 절은 흔적이 없고, 보물 5점이 남아있을 뿐이다. 전하는 말에는 홍양사터라고 하지만 그것도 정확한 것은 아니라고 한다. 19674월에 이 절터를 발굴하면서, 출토 유물로는 통일신라시대의 금동여래입상 1, 고려시대 철불파편 4, 철쇄파편 2, 암막새 4, 수키와 조각 6, 암키와 조각 6점 등이 발굴되었다.

 

또한 청자 조각 4, 토기 조각 5, 조선시대 백자 조각 7점이 있다. 문화재로는 석조여래좌상(보물 제541),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제542), 대좌(보물 제543), 대좌 및 광배(보물 제544), 삼층석탑(보물 제545)이 지정, 보존되어 있다. 이런 점으로 보아 물걸리사지는 신라 때부터 조선조까지 절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호각 안에 자리한 보물

 

절터에서 발굴이 된 많은 유물들은 1982년에 보호각을 짓고, 3층 석탑을 제외한 4구의 보물을 보호각안으로 모셔 놓았다. 절터에서는 그 외에도 여러 가지 석조물 들이 발견이 된 것과, 한 곳에 4기의 대형 석불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절집의 규모가 상당히 컸던 것으로 보인다. 어떻게 이렇게 많은 보물들이 이곳에 있었던 것일까?

 

홍천에서 44번 도로를 이용해 인제로 가다가 보면 철정검문소가 나온다. 그곳에서 우측 다리를 건너 내촌면 소재지를 향하다가 보면 경치가 그만이다. 내를 끼고 여기저기 전원주택들이 보인다. 물걸리는 학교를 지나 좌측으로 꺾어 마을 안으로 들어가야 한다. 좁은 길은 겨우 차가 드나들만하다. 안으로 들어가니 보호각이 한 동 서 있고, 마당에는 석탑 한 기가 보인다.

 

 

흔적 없이 사라진 절

 

안내판을 보니 물걸리사지라고 적혀있다. 보물이 다섯 점이나 있다니, 어찌하여 이리 큰 절이 흔적도 없이 석불과 불대좌, 석탑과 석물들만 남기고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렸을까? 마당 한편을 보니 석물이 놓여있다. 그 규모를 보아도 이곳이 상당히 번성했던 절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어찌 절집 이름마저 전하지 않는 것일까?

 

통일신라 때부터 조선조까지 이곳에 절이 있었다고 한다면 어디엔가 사지(寺誌)라도 있지 않을까? 궁금한 것이 하나, 둘이 아니다. 보호각 안으로 걸음을 옮긴다. 석불 2기와 불대좌 2기가 있다. 모두 보물로 지정이 되어있는데, 통일 신라 후기의 것이라고 한다. 석물들이지만 그 조각 수법이 정교하다. 하나하나 찬찬히 살펴보니 그 아름다움에 찬사를 보낼만하다.

 

천년 넘게 온갖 비바람에 마모가 되었을 텐데 저리도 그 형상이 남아있다니. 참으로 우리 문화재 하나하나가 왜 소중한 것인지 알 것만 같다. 석불 앞에 누군가 절을 할 수 있도록 해놓았다. 옛 절은 어디로 가고, 어찌 그 오랜 풍상 이렇게 석조물들만 온전히 보존이 될 수 있었을까?

 

그런데도 이 절터에 있던 절이 무엇인지, 그 규모가 어떠했는지 모른다고 하니, 우리의 기록문화가 왜 그토록 허술했는지 답답하기만 하다. 수많은 문화재가 잇는 나라, 그리고 스스로 문화대국임을 자랑하는 나라. 그러나 정작 자신의 소중한 문화재를 제대로 관리조차 못하는 나라. ‘물걸리사지를 떠나면서 마음만 아프다.

전국의 4대 강이 몸살을 앓는다. 물길을 정리한다 수질을 개선한다고 하는 4대강 사업은, 여기저기 문제가 많은 듯하다. 보가 터지고 강 주변에는 여름철에 날아드는 날벌레로 인해 장사를 못하겠다고 아우성이다. 속초에 일이 있어 들렸다가, 원주로 돌아오는 길을 일부러 국도를 택했다. 아무래도 일요일의 고속도로 귀경길은 많이 막히기 때문이다.

 

오는 길에 홍천군 내촌면에 있는 물걸리사지를 들렸다가, 일부러 그곳에서 큰 길로 나서지 않고 서석으로 가는 좁은 길로 들어섰다. 도로를 따라 가다가보니 이 도로를 남강로라고 명명하고 있다. 옆으로는 맑은 내촌천이 흐르고 있다. 바쁠 것이 없어 주변 경치를 구경하며 좁은 2차선 도로를 따라가다 보니, 좌측 암벽 밑에 문화재 안내판이 서 있다.

 

 

200년 전의 보와 수로를 만나다.

 

안내판을 보니 홍천 동창보 수로 및 암각명이란 문화재명과 함께, 강원도 기념물 제65호라는 설명이 적혀있다. 홍천군 서석면 수하리 마을이다. 그런데 미 문화재 안내판 앞으로 수로가 나 있다. 넓이는 1m정도에 깊이는 두 자 정도나 될까? 맑은 물은 수로를 넘치듯 흘러가고 있다. 이 물이 어디로 가는 것일까?

 

수로는 물을 흘리면서 조금씩 형태를 달리한다. 시멘으로 둑을 쌓은 곳이 있는가 하면, 돌로 한편을 축대를 쌓은 곳도 있다. 그저 골진 물길을 흐르는가 하면, 넘친 물은 다시 내촌천으로 흘러든다. 내촌천의 물을 막아 동창보를 만들고, 그 한편에 수로를 내어 2km를 물길을 낸 것이다.

 

 

이 동창보의 수로는 1800년대에 조성했다고 하니, 벌써 200년이 지난 수로이다. 그동안 보수를 한 듯 망가진 곳이 없다. 수로에는 맑은 물이 가득 차 흐르고 있다. 산 밑을 굽이굽이 돌아 물길이 흘러간다. 이 물은 내촌면 물걸리의 농사를 짓기 위해 조성한 것이라고 한다.

 

2km를 흘러 내촌 물걸리로 가는 물길

 

이 수로는 서석면 수하리 동창보에서 시작을 하여, 내촌면 물걸리까지 2km를 흐른다. 큰 내에 보를 막고 그곳에서 부터 수로를 내어 물을 끌어다가 농사를 짓던, 조선시대의 전형적인 농경문화의 모습이다. 보란 물길을 막아 용수로 사용하는 시설이다. 이 보는 자연스럽게 물이 넘치도록 조성을 한다. 그래서 보를 막아도 물은 항상 넘쳐흐르기 때문에, 오염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이렇게 보를 막고 그 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전주(田主)’전호(佃戶)’들이 공동으로 하던 일이다. 전주나 전호가 경비를 내어 보와 수로를 만들고, 그것을 공동으로 관리를 하면서 필요한 용수를 공급한 것이다. 그러나 이 동창보와 수로는 공동으로 관리를 하던 것이 아니다.

 

보주(洑主) 김군보의 개인보인 동창보와 수로

 

남강로의 산 밑으로 낸 물길을 따라 흐르는 이 수로는 내촌면 물걸리까지 이어진다. 문화재 안내판이 서 있는 곳의 옆에는 깎아지른 암벽이 있다. 그리고 그곳에는 보주 김군보(洑主 金君甫)’라고 바위에 음각을 한 암각명이 있다. 즉 이 보와 수로는 김군보라는 개인의 재산이라는 것이다.

 

한 사람이 공을 들여 이렇게 보와 수로를 개설해, 이웃의 많은 농사꾼들이 그 물을 이용할 수 있었다니 놀랍기만 하다. 이 동창보는 한말 이후에는 김승종이라는 사람이 관리를 했다고 한다. 그리고 농사철이 되어 수로를 개수할 때는, 산신과 지신에게 제사를 모셨다는 것이다.

 

 

수로를 따라 길을 걸어본다. 저만큼 보가 보인다. 그 보의 한편으로 수로를 내어 물을 옮긴 것이다. 사진을 찍고 있는데, 마을 분이신 듯 물어본다.

 

그것은 무엇하려고 찍나?”

예 신문에 올리려구요

그 보와 수로가 우리에겐 생명이지

이 수로가 있어 농사짓기가 수월하셨겠어요?”

그렇다마다. 수로와 보는 자연을 살찌우고, 인간들을 배부르게 만드는 것이지

 

어르신의 말씀대로 이 보와 수로는 자연을 벗어나지 않았다. 그리고 남는 물은 다시 내촌천으로 흘러 들어간다. 그저 농사를 짓기 위한 수리시설이지만, 그 보와 수로가 아름답다고 느끼는 것은 왜일까? 아마도 그곳에는 생명이 살아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지금 우리가 보라고 자랑하는 괴물 같은 것을 생각하면, 이 보는 얼마나 아름다운가?


한 곳에 보물이 가장 많은 곳은 어디일까?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물걸리에 가면 사지 한 곳에 보물 5점이 있는 곳이 있다. 강원도 기념물 제47호로 지정이 된 홍천 물걸리 사지가 바로 그곳이다. 이 사지에는 보물 제541호 석조여래좌상을 비롯하여, 보물 제542호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제543호인 불대좌, 보물 제544호 불대좌 및 광배, 보물 제545호인 3층 석탑이 있어 강원도 내에서는 한 곳에 보물이 가장 많은 절터이다.

이곳에 어떤 절이 있었는가는 모른다. 다만 절은 흔적이 없고, 보물 5점이 남아있을 뿐이다. 전하는 말에는 ‘홍양사터’라고 하지만 그것도 정확한 것은 아니다. 1967년 4월에 이 절터를 발굴하면서,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금동여래입상 1구를 비롯하여, 철불 조각, 청자편, 수막새와 암막새 기와, 토기조각, 청자조각, 백자조각 등이 발견되었다. 이는 이 절터가 통일신라 때부터 조선조까지 절이 있었음을 알게 해준다.



보호각 안에 자리한 보물

1982년에 보호각을 짓고, 3층 석탑을 제외한 4구의 보물을 보호각안으로 모셔 놓았다. 절터에서는 그 외에도 여러 가지 석조물 들이 발견이 된 것과, 한 곳에 4기의 대형 석불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절집의 규모가 상당히 컸던 것으로 보인다. 어떻게 이렇게 많은 보물들이 이곳에 있었던 것일까? 물론 그 문화재의 가치를 보아 보물로 지정을 했다고 하지만, 석불과 불대좌, 광배 등을 보면 많은 전각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물걸리를 찾아 나선 길은 정말 한 낮 더위가 30도를 웃도는 날이다. 홍천에서 44번 도로를 이용해 인제로 가다가 보면 철정검문소가 나온다. 그곳에서 우측 다리를 건너 내촌면 소재지를 향하다가 보면 경치가 그만이다. 내를 끼고 여기저기 전원주택들이 보인다. 물걸리는 학교를 지나 좌측으로 꺾어 마을 안으로 들어가야 한다. 좁은 길은 겨우 차가 드나들만하다. 안으로 들어가니 보호각이 한 동 서 있고, 마당에는 석탑 한 기가 보인다.


흔적없이 사라진 절

안내판을 보니 물걸리사지라고 적혀있다. 보물이 다섯 점이나 있다니, 어찌하여 이리 큰 절이 흔적도 없이 석불과 불대좌, 석탑과 석물들만 남기고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렸을까? 마당 한편을 보니 석물이 놓여있다. 그 규모를 보아도 이곳이 상당히 번성했던 절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어찌 절집 이름마저 전하지 않는 것일까? 통일신라 때부터 조선조까지 이곳에 절이 있었다고 친다면 어디엔가 사지(寺誌)라도 있지 않을까? 궁금한 것이 하나, 둘이 아니다.

보호각 안으로 들어가니 석불 2기와 불대좌 2기가 있다. 모두 보물로 지정이 되어있는데 통일 신라 후기의 것이라고 한다. 석물들이지만 그 조각 수법이 정교하다. 하나하나 찬찬히 살펴보니 그 아름다움에 찬사를 보낼만하다. 천년 넘게 온갖 비바람에 마모가 되었을 텐데 저리도 그 형상이 남아있다니. 참으로 우리 문화재 하나하나가 왜 소중한 것인지 알 것만 같다. 석불 앞에 누군가 절을 할 수 있도록 해놓았다.





위로부터 보물 제541호 석조여래좌상, 보물 제542호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제543호인 불대좌, 보물 제544호 불대좌 및 광배, 보물 제545호인 3층 석탑

어찌 그 오랜 풍상 이렇게 온전히 보존이 될 수 있었을까? 그런데도 이 절터에 있던 절이 무엇인지, 그 규모가 어떠했는지 모른다고 하니, 우리의 기록문화가 왜 그토록 허술했는지 답답하기만 하다. 수많은 문화재가 잇는 나라, 그리고 스스로 문화대국임을 자랑하는 나라. 그러나 정작 자신의 소중한 문화재를 제대로 관리조차 못하는 나라. 물걸리사지를 떠나면서 마음만 아프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