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3에 소재한,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3호인 성주사지석등 (聖住寺址石燈)’. 성주사지 내에 소재한 보물 제19호인 성주사지 오층석탑 앞에 놓여있는 8각 석등이다. 이 석등은 석탑 앞에 각 부분이 흩어져 있던 것을, 1971년 석탑을 수리하면서 현재의 자리에 세워 둔 것이다.

 

불교중앙박물관 관장이자 문화재위원인 흥선 스님은 절 안에 놓는 석등에는 불타, 진리, 지혜의 상징, 공양물 등 어둠을 밝힌다는 의미와 기능이 복합적으로 담겨 있다고 했다. 사찰마다 만나볼 수 있는 석등은 대개 대웅전이나 탑 앞에 자리하고 있다. 성주사지의 석등은 중문 터를 들어서 가장 먼저 만나게 된다.

 

통일신라시대의 석등

 

석등의 형태는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3단을 이루는 받침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성주사지의 석등 역시 머릿돌 아래 불을 밝히는 화사석을 두고, 그 밑에 화사석을 받치고 있는 간주석과 받침돌로 이루어졌다.

 

성주사지의 석등은 하나의 돌로 다듬어 놓은 바닥돌과, 받침의 아랫부분은 그 윗면에 연꽃무늬를 둘렀다. 아무런 조각이 없는 가운데기둥인 간주석은 가늘고 긴 편이다. 위 받침돌은 맨 아래의 받침을 거꾸로 놓은 듯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팔각의 화사석은 불빛이 퍼지도록 4면에 창을 내었다. 지붕돌은 밑면에 1단의 받침을 두었으며, 낙수면의 경사는 완만하다.

 

 

단아한 자태를 지녀

 

높이 220cm 정도인 이 석등은 통일신라시대에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화사석에 마련된 창의 주변에 창문을 걸기 위한 구멍의 흔적이 없는 점이나, 가운데기둥이 가늘고 길어 전체적인 균형이 잘 맞지 않는다. 하지만 군더더기가 없는 단아한 자태로 조성이 되어있어, 보는 이들로 하여금 부담이 없게 조성되었다.

 

106일에 찾아간 보령시. 그 첫 번째로 만난 성주사지의 석등은 마음 편하게 답사를 할 수 있는 문화재였다. 여러모로 따져보기 위해 고민을 할 필요도, 이것저것 생각할 필요도 없는 문화재였다는 생각이다. 한 가지 이 석등의 시기가 불분명하다는 것은 아쉽다. 보령시의 석등 안내판에는 통일신라시대에 조성이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비해, 문화재청 안내판에는 뒤편의 오층석탑 보다 조성시기가 늦은 조선조 것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문화재청 안내자료까지 오류를 범해

 

그런데 문화재청의 자료에 오류가 보인다. 시기는 통일신라시대라고 기술하고, 설명에는 조선조의 것이라고 한다면 도대체 어느 것이 맞는 것일까? 문화재청은 우리나라 문화재를 보호, 관리해야 하는 최고의 기관이다. 당연히 모든 문화재에 대해 꼼꼼히 따져보고, 그것을 관리, 감독할 의무를 지닌 곳이다.

 

그런 문화재청의 자료에서부터 오류가 발생한다면, 도대체 우리의 소중한 문화재는 누가 지켜가야 하는 것일까? 많은 자료를 정리하다가 보면 실수를 저지를 수도 있다고 본다. 하지만 이런 지정 문화재 안내 하나 제대로 관리를 하지 못한다면, 굳이 문화재청이라는 존재가 필요는 한 것일까? 철 지난 자료사진, 설명의 오류, 준비 중에 있다는 메시지. 우리 문화재청의 현주소이다. 참담하기 이를 데 없다.

 

문화재청의 홈페이지 성주사지 석증에 관한 문화재 설명이다. 분류에는 시대가 통일신라로 표기되어 있는데 설명은 조선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성주사지 안내판에는 통일신라로 되어있다.  

전국에 있는 문화재를 답사를 하면서 느끼는 점은 참 묘하다는 생각이다. 문화재란 우리에게 당장은 큰 즐거움을 주는 것은 아니라고 하지만, 오랜 역사 속에서 나름대로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들이다. 하기에 이 문화재를 우선적으로 보호하야 한다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상주시 사벌면 화달리에 가면 사벌국의 왕릉이라고 전해지는 능이 있다. 이곳을 들어가는 입구에 보면 삼층석탑이 1기가 보인다. 그저 색다를 바 없는 석탑이지만 보물 제117호로 지정이 되어 있는 화달리 삼층석탑이다. 석탑은 1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통일신라 때의 작품이다.

 

 

1층의 몸돌이 유난히 큰 삼층석탑

 

전반적으로 비례가 불균형하고 기단부의 일부가 훼손되어 기이한 형태가 되었다. 흥미롭게도 기단 위에는 머리가 없는 1구의 석조여래좌상이 1층 몸돌에 기대어 앉아 있는데, 탑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 보이나, 이곳이 옛 절터임을 말해주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 화달리 삼층석탑은 탑신의 몸돌과 지붕돌이 한 개의 돌로 이루어진 형태다. 1층의 몸돌은 그 높이가 유난히 높고 커서 기단보다도 큰 형태이다. 지붕돌의 귀퉁이는 처마처럼 위로 솟아 석탑에 날렵함을 불어 넣었다. 석탑의 위에 올리는 상륜부는 아무런 장식도 남아 있지 않다.

 

기단부 위에 올려놓은 목 없는 석불

 

그저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소박한 이 탑이 눈길을 끈 것은 바로 탑의 기단부 위에 놓여 진 목 없는 석불 때문이다. 목이 없는 석불좌상은 얼핏 보아 탑과 같은 석질인 것으로 보인다. 그런 점에서 보면 이 일대가 혹 절터였을 것으로도 생각하지만, 아직 정확한 발굴이 이루어지지는 않은 것 같다.

 

이곳이 혹 비사벌 왕릉을 지키는 원찰이 있었던 곳은 아니었을까? 생각은 다시 생각을 하게 만든다고 했던가? 저 석불이 왜 하필 저곳에 앉아 계신 것일까? 그리고 누가 저렇게 석탑의 기단부 위에 목 없는 부처님을 올려놓은 것일까? 석탑의 기단부도 한쪽이 깨어져 나가 기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그 위에 목이 없는 부처님까지 좌정을 하셨다니. 아마 어떤 재화에 이렇게 훼손이 된 것에 대한 시위를 하는 것 같아 마음이 아프다. 더욱 석탑 기단부의 깨어져 나간 면을 보니 이건 최근에 깨어진 듯 하다.

 

 

 

문화재 보존, 좀 더 적극적이어야

 

그동안 수많은 문화재를 보아왔다. 그 문화재의 현실은 한마디로 ‘어렵다’라는 표현이 맞을 것 같다. 여기저기 산재해 있는 모든 국보나 보물을 다 관리를 못한다고 한다. 한 마디로 예산이 없고, 인력이 부족하다는 판에 박은 소리들이다. 일 년이면 축제를 한다고, 수억에서 수십억을 사용하는 지자체들도 같은 소리들이다.

 

한 마디로 축제할 예산은 있어도, 문화재를 관리할 예산은 없다는 것이 납득이 가질 않는다. 그러다가 보니 산 중에 있는 문화재, 혹은 마을 한편에 아무렇게나 있는 문화재들은 언제든지 손을 탈 수가 있다. 꼭 무슨 일이 벌어지고 나서야 부랴부랴 대책을 강구한다고 하지만, 그것 역시 시일이 조금 지나면 까맣게 잊어버린다. 그것이 우리 문화재의 현주소다.

 

 

화달리 석탑과, 그 기단 위에 좌정한 목 없는 부처님. 이 모습이 바로 우리가 그토록 애지중지 해야 한다고 입만 벌리면 되뇌는, 우리 문화재의 모습이 아닐까 하는 생각에 마음이 아프다. 언제나 우리의 수많은 문화재들이 제대로 대우를 받을 수 있는 것일까?

발품을 파는 문화재답사를 한지가 벌써 20년째다. 그동안 숱한 문화재를 보고 다녔지만, 아직도 너무 많은 곳을 찾아가야 한다는 생각에 늘 마음만 바쁘다. 일을 시작하고 보니, 요즈음은 시간이 더 빠른 듯하다. 문화재 답사를 하면서 가장 화가 나는 것은 꽁꽁 닫힌 문이다. 사람이 거주하고 있는 곳임에도 불구하고, 열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담장 밖에서 까치발을 딛고 보아야하기가 일쑤였다.


생활에 여유가 있는 것도 아니고, 시간이 남아도는 것도 아니다. 내가 아니라도 많은 사람들은 문화재 답사를 하고 글을 올린다. 그래서인지 이제는 그만 두고 싶다는 생각을 가끔은 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럴 수 없는 것은, 아마 타고난 역마살 때문일 것이다.



닫힌 문 앞에 메모지 하나


충북 단양군 가곡면 덕천리에 가면 중요민속자료 제145호인 조자형가옥이 있다. 어렵게 길을 물어 찾아간 곳은, 좁은 마을길로 들어서야만 한다. 집 앞에 도착하니 문이 닫혀있다. 오늘도 또 공을 치나보다 하고 돌아서려니, 대문 사이에 웬 쪽지 한 장이 보인다. 가서 읽어보다가 왈칵 눈물이라도 쏟을 것만 같다.


‘주인은 외출중입니다. 천천히 둘러보시고 안녕히 가십시오.’



세상에 이런 배려를 하는 문화재도 있다. 문을 밀쳐보니 열린다. 안으로 들어가니 곳곳마다 이곳은 어디입니다. 이곳은 무슨 용도로 쓰이는 곳입니다. 그런 안내문구가 붙어있다. 어떻게 이렇게 자상할 수가 있는 것일까? 남들은 문화재를 보호한다고 사람이 있어도 문도 열어주지 않는데, 주인이 없다는 안내와 함께 문을 열어 놓고 천천히 돌아보란다.


집 안으로 들어가니 모든 것이 깨끗하게 정리가 되어있다. 40평의 목조기와집은 조자형 가옥은 남향집이다. 집 앞으로는 남한강이 흐르고 뒤로는 산을 두르고 있는, 전형적인 배신임수의 형태를 띤 전형적인 민가이다. 집이 자연을 벗어나지 않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지어졌다. 주인의 심성을 닮아서인가 보다.

  



안채 대청마루와 안채 부엌의 까치구멍, 그라고 부엌 건너에 아랫방

1800년대 중부지방의 민가형태


이 집은 일제 때는 최씨가 살았고, 6,25 동란 후에는 박씨가 살았다고 한다. 1958년에는 조성락씨가 대대적인 수리를 하였으며, 1972년 현재의 주인인 조자형씨가 매입을 했다고 한다. 집의 전체적인 구조는 ㄱ 자형의 안채와 ㄴ 자형의 사랑차가 맞물려 튼 ㅁ 자 형으로 꾸며져 있다.


사랑채는 대문 쪽으로 사랑마루를 둔 조금은 색다른 형태로 꾸며졌으며, 사랑채의 안쪽은 행랑으로 삼았다. 사랑채와 대문을 두고 맞물린 곳은 광채로, 좁은 공간을 적절히 이용한 것이 특이하다. 중부지방의 전형적인 건물배치를 하고 있는 이 가옥은 부엌과 안방을 두고, 꺾인 부분에 대청마루와 건넌방을 두었다. 한 가지 특이한 점은 부엌 아래에 별도로 아랫방을 한 칸 더 두었다는 점이다.  





대문을 사이에 두고 광채와 사랑채가 접해있다(맨위) 뒤뜰도 말끔하게 정리를 했으며, 장독대와 예전에 사용하던 풍구가 보인다.

집을 한 바퀴 돌아보고 이것저것 사진을 찍었다. 예전에 사용하던 여물통이며 디딜방아, 그리고 풍구 등도 그대로 말끔하게 손질이 되어, 제자리에 놓여있다. 마치 연대를 거슬러 올라, 이런 것들을 사용할 당시 그대로인 것만 같다. 곳곳마다 붙어있는 안내문구가 정말로 사람을 기분좋게 만든다.


수많은 문화재를 답사하면서 다녔지만, 20년 만에 가장 기분 좋은 하루가 된 날이다. 이렇게 주인이 없어도 개방을 하고, 사람들을 받아들여도, 훼손이 없이 더 잘 보존이 될 수 있다는 모범을 보이는 것만 같다. 집을 다 둘러보고 나서는 부엌 문 앞에는 이런 글이 적혀 있었다.


‘방문해 주신 것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둘러보시고 문은 닫아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가시는 길 안전운행 하시고, 안녕히 가십시오.       


집 안 곳곳에 붙어있는 안내문구. 문화재 답사 20년 만에 가장 기분좋은 답사를 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