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답사를 다니다가 보면 가끔 학교 교정 안에 문화재가 있는 것을 만난다. 주로 석탑이나 석불, 천연기념물 등인데. 천연기념물이야 교정이 있을 수가 있다고 하지만 석탑의 경우는 드믄 예이다. 그런데 이 석탑을 만나게 되면 조금은 마음이 편해진다. 우선은 학교 안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훼손을 막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이다.

 

경북 봉화군 춘양면 서원촌길 8-14 (서동리) 춘양중학교 안에는 동, 서로 마주 서있는 2기의 탑이 있다. 학교 교정 한편에 서 있는 이 탑은 쌍탑형식으로 조성이 된 것이다. 이 춘양중학교는 원래 신라의 옛 사찰인 람화사의 옛터로 알려져 있다. 람화사는 신라 문무왕 16년인 675년에 원효대사가 이곳에서 서북쪽으로 6정도 떨어진 곳에, 현재의 각화사를 창건하면서 이 절은 폐사되었다고 전한다.

 

같은 양식으로 조성한 두 기의 탑

 

보물 제52호로 지정이 된 봉화 서동리 동, 서 삼층석탑은 통일신라 시대에 조성한 탑이다. 이 쌍탑은 2단의 기단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으로 두 탑이 모두 같은 양식으로 조성이 되었다. 기단은 아래와 위층 모두 4면의 모서리에 양우주를 돋을새김 하였고, 가운데도 기둥 모양의 조각인 탱주를 두었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한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위층으로 갈수록 규모가 줄어들어 뚜렷한 체감율을 보인다. 각 층의 몸돌에도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인 양우주를 새겨 두었다. 그리 두껍지 않은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두었으며, 네 귀퉁이에서 살짝 들려 있다. 꼭대기의 머리장식은 서쪽 탑에만 네모난 머리장식 받침인 노반이 남아있을 뿐이며, 동쪽 탑은 모두 없어졌다.

 

기단부가 땅 속에 파묻혀 있고 탑이 몹시 기울어져 있어, 196210월에 해체, 복원하였는데, 이 때 서탑에서는 사리함을 넣었던 공간이 발견되었다. 동탑에서는 사리병과 함께 99개의 작은 토탑(土塔)이 발견되었다. 전체적으로 아름다운 비례와 정제된 조형미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학교 안에서 만난 쌍탑과 머리 없는 석불좌상

 

봉화군 춘양면에는 많은 문화재들이 산재해 있다. 특히 봉화는 정자가 100곳 이상이나 있는 곳이다. 그만큼 이곳은 옛 선인들이 즐겨 살았음을 알 수 있다. 한 개 군에 100개가 넘는 정자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답사의 즐거움은 배가가 된다. 거기다가 고택과 문화재들이 즐비하다.

 

12월 초 겨울에 찾아갔던 봉화. 예정은 하루만 이곳을 답사하리라 마음을 먹었지만, 하루 만에는 도저히 이곳을 떠날 수가 없었다. 주머니 사정만 여유가 있었다고 하면 아마 일주일은 족히 이곳에서 문화재를 찾아 다녔을 것이다. 하지만 경비를 줄이고 줄여 23일을 봉화에서 머물렀다.

 

23일의 봉화 답사 끝날에 만난 봉화 서동리 동, 서 두 개의 탑. 비록 기단부가 쪼개져 떨어져 나가고, 지붕돌인 덮개석도 많이 훼손되기는 했지만 통일신라 말기의 단아한 형태를 자랑하는 2기의 석탑은 그렇게 나그네를 반기고 있었다. 바람이 심하게 불어 날씨는 쌀쌀했지만 그 자리에서 떠날 수가 없었던 것은, 그 단아한 자태에서 풍기는 기품때문이었다.

 

탑의 촬영을 마치고 주변을 돌아보니, 나무 밑에 석불좌상 한 기가 보인다. 하지만 머리가 사라져 다시 조성을 했는데, 영 보기가 민망스럽다. 전국을 다니다가 보면 수없이 만나게 되는 머리없는 석불들. 도대체 누가 무슨 이유로 이렇게 석불의 머리를 훼손한 것인지. 자신의 문화재를 훼손하는 이런 작태야말로 이 민족의 문화재에 대한 의식이 엉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문화재란 보존하는 것이다. 그리고 후손들에게 그대로 물려주어야만 한다. 천년 세월을 그렇게 한 자리를 지키면서 전해진 수많은 문화재들을 돌아보면서, 과연 이 시대를 사는 우리들은 후일 우리의 후손들에게 제대로 된 조상으로 대우를 받을까? 두렵기만 하다.

 

문화재란 늘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느끼는 것이라고 하지만 숱하게 훼손이 되어있는 많은 문화재들을 만날 때마다 부끄럽고 죄스럽기 때문이다. 후에 역사는 우리들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를 생각하면.


제대로 지역에 있는 문화재 하나 주변 정리도 못하는 지자체가, 문화 운운하는 것은 정말로 짜증스럽다. 용인시는 딴 지역에 비해 월등한 문화자원을 갖고 있는 곳이다. 공연장만 해도 용인시청 청사 내를 비롯해, 수지 등 몇 곳에 어느 곳에도 뒤처지지 않는 공연장을 갖고 있다. 그런 용인시에 소재한 문화재가 방치되는 모습을 보면서 정말로 어이가 없다. 문화재 주변에 가득한 말라버린 덤불이며, 누군가 갖다 놓은 농기구 등, 이렇게 문화재 관리를 하고 있다는 것에 울화가 치민다. 많은 문화재를 보았지만, 이렇게 황당한 적은 없었던 것 같다.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 264번지에 가면,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42호로 지정된 공세동 오층석탑이 있다. 탑안마을이라고 하는 곳에 서 있는 이 공세동 탑은 몇 년 전부터 찾아다닌 탑이다. 아파트 공사를 할 때부터 찾아갔으니, 어림잡아도 몇 년은 지난 듯하다. 당시는 이 탑을 보기 위해 여러모로 힘을 썼지만 찾지를 못했다. 이번 12월 26일 답사 길에서 만난 공세동 탑. 혼자 그렇게 독야청청하게 버티고 있는가보다.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42호인 용인 공세동 오층석탑. 주변이 정신이 없을 정도이다.

백제계열의 고려 석탑

공세리 오층석탑은 백제탑을 모방한 고려시대의 탑으로 보인다. 탑의 높이 2.5m의 이 석탑은 절의 이름은 알 수 없지만, 옛 절터였을 것으로 추정하는 곳에 서 있다. 그 옆에는 목이 잘린 석불이 한 기 마른 덤불 속에 방치되어 있다. 탑의 앞에 서 있는 문화재 안내판을 보면 이 석불의 머리가 없다는 이야기가 없는 것으로 보아, 석불이 지금처럼 머리가 사라진 것은 아니었나보다.

「높이 2.5m의 이 탑은 이름을 알 수 없는 옛 절터에 불상과 함께 보존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백제계 석탑을 계승한 고려시대 석탑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탑은 지대석에는 연꽃문양이 조각되어 있고 윗면에는 낮은 받침이 있다.(하략)」

이와 같은 설명으로 보아 무너져가고 있는 담장 밑에 방치되어 있는 목 없는 석불 한기가 같은 절터에서 발견이 된 것으로 보인다.


상륜부는 사라지고, 기단부의 상단은 앞뒤 판석이 없다.

옛 절터, 사전에 발굴조사는 제대로 이루어졌을까?

이 안내판을 보면서 의아한 점이 있다. 5층 석탑이 자리하고 있는 공세동 옛 절터라는 옆에는 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꽤 시간이 흘렀지만 몇 년 전인가 이 탑을 답사를 하려고 왔을 때는, 이곳에 아파트를 짓느라 부산했을 때이다. 그런데 그 당시 이 탑 주변의 발굴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가 궁금하다. 아마 당시 아파트를 짓느라 이 일대를 다 파헤쳤을 텐데, 그런 절터에 관한 것에 대한 궁금증이 조금은 가셨을 수도 있지 않았을까?

문화재가 서 있는 곳을 발굴한다는 것은 중요한 사안이다. 더구나 이곳이 절터였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면, 좀 더 세심한 발굴이 이루어졌어야만 했다. 또한 아파트를 건설한 축대 밑에 있는 이 석탑과 불상에 대해, 조금 더 신경을 써서 관리를 해야만 했다. 도로에는 수많은 예산을 쏟아 붓고 있는 지자체에서, 이렇게 문화재를 방치하고 있다는 것에 대해 납득이 가질 않는다.

안양사로 추정하는 절터라는 곳에 있는 석불좌상. 목이 없고 주변은 온통 말른 덤불투성이다.

일설에는 안양사라고 하는 절터였다고 하는데, 그런 것에 대한 충분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만 같다. 그리고 이렇게 덤불 속에 방치된 석불좌상 등 분노마저 느끼게 하는 문화재 관리이다. 만일 사전에 충분한 발굴이 이루어졌다면, 그에 대한 조사보고 정도는 안내판에 적었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나름 섬세한 고려시대의 석탑

이 공세동 오층석탑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면 고려시대의 석탑으로는 상당히 정교하게 조성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기단부는 네모나게 조성을 해 연꽃문양을 둘렀는데, 상면만 땅 위에 보일뿐, 흙에 묻혀있어 제 모습을 볼 수가 없다. 주변을 정리하고 흙이라도 좀 파냈다면 한결 보기가 좋았을 것을. 상층 기단부는 앞뒤의 판석이 떨어져 나갔다. 기단의 각 면에는 우주가 새겨져 있는데, 탱주가 없는 것은 탑이 그리 크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몸돌은 모두 오층으로 조성이 되었는데, 일층의 몸돌은 크고 이층부터는 급격히 줄어들었다. 일층은 탑 몸돌과 덮개석을 따로 제작했는데, 이층부터는 몸돌과 덮개석이 한 장의 돌로 꾸며졌다. 지붕돌은 3단의 받침을 두었으며, 그 위에 추녀를 두었는데 처마꼬리가 약간 위로 치켜 올려졌다. 비록 일부가 사라지기는 했지만, 약간 치켜 올라간 처마 등 나름 멋진 석탑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상륜부는 모두 사라져 어떠한 형태였는가를 알 수가 없음이 아쉽다. 이제라도 공세동 오층석탑 주변을 정리를 하고, 문화재다운 모습을 볼 수 있도록 할 수는 없는 것일까? 인근 아파트에 사는 자라는 학생들이 이런 모습을 본다면, 우리 소중한 문화재에 대해 어떤 생각들을 갖게 될까 걱정스럽다. 가뜩이나 문화재가 홀대를 받고 있다는 생각을 떨칠 수 없는 요즈음에.

기단부가 땅에 묻혀있어 제 모습을 알아보기 힘들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