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212-1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64호인 안양중초사지삼층석탑이 서 있다. 이 삼층석탑은 기단부에 1층의 몸돌만이 남아 있고, 그 위에는 지붕돌만 포개어져 있는 형태이다. 중초사터에 남아 있는 이 삼층석탑은 원래 있던 자리가 아니고, 1960년 옛 터에 유유산업의 공장이 들어서면서 현재의 자리로 옮겨 세운 것이다.

 

탑은 전체의 무게를 받치는 기단(基壇)을 1층으로 쌓고, 그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다. 탑신부는 2·3층 몸돌이 없어진 채 지붕돌만 3개 포개져 있다. 기단과 1층 몸돌의 4면에는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본떠 새겼다. 지붕돌은 매우 두꺼워 급한 경사를 이루고,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 양끝에서 희미하게 들려있으며, 밑면의 받침은 1·2층은 4단, 3층은 3단을 두어 간략화 되었다.

 

 

보물로 지정되었다가 해제된 석탑

 

안양시 석수동 중초사지에 있는 이 삼층석탑은, 지금은 건물만 남은 유유산업의 정문에 들어서면 좌측에 통일신라시대의 당간지주(보물 제 4호)와 고려시대 석탑이, 문화재 보호구역(826㎡)내에 나란히 서 있다. 향우측에는 또다른 석탑의 부재로 추정되는 면석이 있다. 그중 석탑은 1963년에 보물 제 5호로 지정되었다가 최근에 해제된 상태이다.

 

‘중초사’는 통일신라 흥덕왕대의 사찰로 당시의 큰 절이었던 황룡사의 항창이 절주통으로서 이 당간지주의 불사에 참여 할였다고 한다. 그만큼 중초사는 커다란 사찰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중초사는 『동문선(東文選)』,『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흥지도서(興地圖書)』,『가람고(伽藍考)』같은 문헌에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고려후기에 이미 폐사된 사찰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불안정한 석탑, 그러나 남은 것만으로도 감사해

 

전체적으로 기단부가 너무 크고, 탑신의 1층 몸돌이 그에 비해 지나치게 작아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석탑이다. 중초사지 삼층석탑은 지면 위에 두꺼운 지대석을 마련하고, 그 위에 이단괴임으로 조각된 별석을 놓아 상층 기단부를 받치고 있는, 단층 기단 형식을 취하고 있다.

 

4매로 짜여진 기단중석은 중앙에 탱주는 없이 양우주만 조각되었고, 그 위에 덮여진 갑석은 2매의 판석으로 구성되었다. 괴임은 일단이나 남면은 약간 부서진 상태이다. 탑신석과 옥개석은 각각 1매의 돌로 조각되었는데, 1층 몸돌인 탑신석만 있을 뿐, 이삼층은 몸돌은 사라진 채 머릿돌인 옥개석만 포개어져 있다.

 

 

 

노반 이상의 상륜부 역시 사라진 상태이다. 옥개석의 낙수면은 완만한 편으로, 받침은 1 ·2층이 4단이고 3층은 3단이다. 대체로 이 탑은 원형을 잃었으나 고려시대 중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3월 3일에 찾았던 중초사지. 굳게 닫힌 문으로 안을 들여다보다가 우여곡절 끝에 안으로 들어가 찬찬히 돌아본 삼층석탑이다. 현재 남아있는 형태로 보아도 상당히 훼손이 많은 석탑이다. 더구나 2, 3층의 몸돌까지 사라져, 지붕돌만 포개어진 모습은 바라다보는 사람의 마음까지 아프게 만든다.

 

 

 

그러나 이런 모습이라도 남아있다는 것이 얼마나 고마운 일인가? 숱하게 수탈을 당하고 망가져 그 형체조차 찾을 길 없는 수많은 문화재들. 그래도 이렇게 일부분이나마 남아있다는 것이 고마울 뿐이다, 아무리 못생기고 제대로 갖추지 못했다고 해도 소중한 우리의 문화재이기 때문이다.

전남 화순군 이양면 증리 산195-1 쌍봉사에 소재한 보물 제170호인 철감선사 탑비. 철감선사 도윤의 탑비인 이 통일신라 시대의 석조작품은, 몸돌인 비는 사라지고 받침돌인 귀부와 머릿돌인 이수만 남아있다. 바로 옆에는 국보인 철감선사탑이 자리한다.

철감선사(798∼868)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이다. 헌덕왕 7년인 825년에 당나라에 들어가 유학하고, 문성왕 9년인 847년에 범일국사와 함께 돌아와 신라 경문왕을 불법에 귀의하게 하기도 하였다. 전국을 다니다가 이곳의 절경에 반해 절을 짓고, 스스로의 호를 따 절 이름을 ‘쌍봉사’라고 지었다. 이곳에서 71세의 나이로 입적하니, 왕은 시호를 ‘철감’이라 내리었다.



몸돌은 어디로 가고...

비는 비몸돌이 없어진 채 거북받침돌과 머릿돌만 남아 있다. 귀부를 받치고 있는 네모난 바닥돌 위에 올려진 거북은, 용의 머리를 하고 여의주를 문 채 엎드려 있는 모습이다. 이 탑비에서 특이할 점은 오른쪽 앞발을 살짝 올리고 있다는 것이다. 아마도 바로 한걸음 앞으로 나갈 듯한 표현이 아니었을까?

전국에 산재한 수많은 귀부를 보아왔지만, 이렇게 사실적으로 표현을 하고 있는 작품을 볼 수가 없다. 오른쪽 앞발 하나를 위로 살짝 치켜 올려진 모습이, 나그네를 즐겁게 만든다. 입의 양편 입가에는 수염이 나 있고, 입에 문 여의주는 방금이라도 굴러 떨어질 듯하다. 사실적이고 섬세한 조각이 눈에 띠는 작품이다,



몸은 거북이요, 머리는 용두로 조각을 한 귀부의 형태는, 통일신라 때부터 고려 초기로 넘어오면서 보이는 특징적인 조각술이다. 그런 점으로 보아 철감선사 탑비가 이런 용두의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한 시점은 아니었을까 생각도 해본다.

용은 사라지고 구름만 채운 이수

철감선사 탑비의 머릿돌은 용조각을 생략한 채, 구름무늬만으로 채우고 있다. 아마도 구름무늬만으로 이렇게 조각을 한 이수도 나름대로 특이한 형태이다. 옛 이수들을 보면 용이 거의가 조각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수는 측면에서 보면 앞면을 절단을 한 것처럼 반듯하게 보이고, 뒤로는 삐져나오게 조각을 하였다. 전체적으로 본다면 상당히 뛰어난 수작이다. 철감선사 탑비는 여러 가지 특별한 것이 있다. 거북이의 등에 새겨진 귀갑문도 이중 형태의 6각형 테두리로 새겼다. 마치 기존의 탑비의 형태를 따라하지 않고, 나름대로 독창적인 방법으로 탑비를 꾸몄다는 점이다.

통일신라 경문왕 8년인 868년에 세워진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전체적인 조각수법이 뛰어나며, 특히 격렬한 거북받침돌인 귀부의 조각들은 매우 훌륭한 경지에 도달했다는 평을 받는다.


이렇게 귀부의 거북이가 오른쪽 앞발을 들어 올려 앞으로 나아가고자 한 곳은 어디였을까? 부처의 세계였을까? 아니면 선사의 속가 고향인 황해도 봉산이었을까? 이런저런 생각을 하면서 탑비 주의를 돌아본다. 이수 위에 꽂힌 장식 하나가 사라진 것이 영 마음 아프게 다가온다. 그래서 답사를 하면서 받는 마음의 상처는 하루도 가실 날이 없는가 보다.

경남 합천군 가회면 둔내리 1659번지에 소재한, 신라 때의 절터로 추정되는 사적으로 지정된 영암사지. 비가 내리는 지난 8월 20일 찾아간 영암사지는, 정말 사지 중의 최고였다는 기억이다. 우선 주변 경관이 뛰어난 것은 말할 것도 없지만, 엄청난 넓이의 전각 터를 보고 입을 다물 수가 없었다.

그 영암사지의 맨 위쪽이 자리하고 있는 또 하나의 법당터. 그곳에는 보물 제489호로 지정이 된, 합천 영암사지 귀부가 자리하고 있다. 동서로 나누어 자리하고 있는 이 귀부 2기는, 영암사 터 내의 법당터를 중심으로 양편으로 한 기씩이 자리하고 있다. 영암사의 정확한 창건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통일신라 전성기 때의 많은 유물들이 남아 있어 그 즈음에 세워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비와 머릿돌은 사라지고 받침인 귀부만 남아

원래 비는 받침돌인 귀부와 몸돌인 비석, 그리고 머릿돌인 이수가 위에 얹혀 있다. 그러나 현재 영암사지 법당 터에는 받침돌인 귀부만 양편에 남아있다. 양편에 남아있는 귀부는 기단의 형태가 달라, 동시대에 세운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마도 얼마간의 사이를 두고 세운 것으로 보인다.

법당 터 앞에는 석등인 듯한 석물이 있다. 받침과 간주석만 있는 이 석물은 간주석, 중간이 잘려져 있다. 숱한 세월을 지내오면서 많은 아픔을 당한 증거이다. 영암사가 언제 창건이 되었는지, 언제 소멸이 되었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가 없다. 다만 터에서 발굴되는 많은 석조물들이 신라 때의 것들이 있는 것으로 보아, 신라 때 창건이 된 절로만 추정하고 있다.



동서편의 귀부가 각각 특징을 지녀

석등인 듯한 석조물의 뒤편으로는 석축으로 쌓은 기단이 있고, 계단이 일부 남아있다. 동쪽의 귀부는 거북의 등 무늬가 6각형이며, 비의 몸돌인 비석을 괴는 네모난 비좌 주위에는 아름다운 구름무늬가 있다. 전체적인 모습은 거북이지만 머리는 용머리처럼 새겼고, 목은 똑바로 뻗어있으며 입에는 여의주를 물고 있다.



이러한 형태는 통일신라부터 고려조로 넘어가면서 보이는 귀부의 특징이다. 이런 점으로 보아, 이 비석은 통일신라 이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서쪽에 놓인 귀부 역시, 6각형의 등 무늬인 귀갑문을 배열하였다. 등 중앙에 마련된 비좌는 4면에 안상을 새겨 넣고, 가장자리에는 연꽃잎을 새겼다.



서쪽의 귀부는 동쪽의 귀부보다 얇고 약간 작지만, 거의 같은 솜씨로 만들어졌다. 동쪽의 귀부는 조금 크며 귀갑문을 새긴 등은 급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정교하면서도 강한 생동감이 느껴지고 있는 귀부를 보면서 생각에 잠긴다. 누구를 기록하기 위한 것이었을까?



이렇게 두 개의 귀부만 남아있는 영암사지 귀부, 도대체 그 비에는 어떤 내용을 기록하였으며, 누구의 비였는지 궁금하다. 영암사지 귀부 2기는 각 부 양식이나 주위의 석조유물 등과 관련지어 볼 때, 9세기 통일신라시대 이후 고려조에 걸쳐 조성된 작품으로 추정이 된다. 동쪽의 귀부가 시기적으로 조금 이른 듯이 보이는 영암사지 귀부. 그 비문에 적힌 내용이 궁금하다. 말없는 귀부는 눈만 부라리고 있을 뿐이고.

경상북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에 소재한, 우리나라 3보 사찰 중 한 곳인 통도사 관음전 앞에는 석등 한 기가 서 있다. 이 석등은 등불을 밝히는 화사석을 중심으로 아래는 팔각의 받침돌을 삼단으로 쌓았다.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 장식을 얹고 있는 이 석등은, 현재 경상남도 지정 유형문화재 제70호이다.

석등의 용도는 절 안의 어두움을 밝히는 것뿐만 아니라, 부처님의 자비광명을 온 누리에 비추어 중생을 깨우쳐 선한 길로 인도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등불은 수미산과 같고, 등을 밝히는 기름은 넓은 바다를 상징한다고 한다. 이는 등에서 나간 불빛이 고루 퍼져나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공양구 중에서도 으뜸인 등불

석등은 언제나 석탑과 함께 전각의 앞에 자리한다. 이는 부처님께 드리는 공양물 중에서도 등불 공양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이다. 갖가지 형태의 많은 석등이 현재까지도 자리하고 있으며, 폐사지 등에도 석등이 남아있는 숫자가 많은 것을 보면, 석등을 그만큼 소중하게 여겼기 때문으로 보인다.

통도사 관음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석등은, 그 조형 양식으로 보아 고려 초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석등은 둥근 형태의 연꽃받침인 연화대 두 개를 아래 위로 놓고, 그 가운데를 팔각의 간주석을 세웠다. 그 윗부분에는 불을 밝히는 화사석과 지붕돌을 올려놓은 형태이다. 석등의 구성형태는 거의가 이런 형태로 꾸며진다.



연화대가 상징하고 있는 뜻은?

이 통도사 석등은 통일신라시대의 양식을 따르고는 있으나, 귀꽃 양식 등이 세밀하지 않다는 점을 보아 고려 초기 작품으로 추정한다. 아래받침돌인 연화대의 옆면에는 안상을 얕게 새겼고, 윗면에는 엎어놓은 연꽃무늬를 조각하였다. 이 아래에 있는 연꽃받침은 물속에 있는 탁한 진흙과 같은 세상을 뜻한다. 아래 위 연화대 가운데에 있는 간주석인 기둥은 중앙에 세 줄의 테를 둘렀다.

이 세 줄은 천, 지, 인을 상징한다고도 하고, 불가에서 부처님의 목에 난 삼도와 같은 의미라고도 한다. 하지만 이 세 줄에 대한 정확한 풀이는 알 수가 없다. 이 팔각의 기둥은 이상의 경지에 도달하기 위한 불교의 올바른 길인 팔정도를 상징한다. 깨달음과 열반으로 이끄는 올바른 여덟 가지 길인 팔정도는, 정견(正見), 정사유(正思惟),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을 말한다.



간주석 위에 있는 윗받침돌에는 위로 솟은 연꽃무늬를 장식하였다. 위로 향한 연꽃을 조각한 연화대는, 광명, 청정, 부처, 보살의 세계를 상징한다. 이렇듯 석등 하나가 갖는 뜻은 상당히 깊은 것이다.

흔치 않은 부등변 팔각석등

4개의 커다란 불창이 있는 화사석은, 파손이 된 것을 후에 새로 교체한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인 석등의 조화가 맞지 않기 때문이다. 이 석등은 언뜻 보면 4각처럼 보이지만, 부등변 팔각석등으로 우리나라 석등의 변천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꼽히고 있다.



화사석의 위에 얹은 지붕돌은 귀퉁이마다 꽃장식인 귀꽃을 달았다. 지붕돌 위에는 머리장식의 받침인 노반과, 꼭대기에는 꽃봉오리 모양의 장식인 보주를 놓았다. 문화재 답사를 하면서 만나게 되는 수많은 석등. 크고 작은 모형의 이 석등을 볼 때마다 더욱 그 가치를 높이 사는 것은, 바로 이런 깊은 뜻이 있기 때문이다.


통일신라에서 고려로 넘어오면서 비의 받침돌인 귀부는 많은 변화를 가져온다. 고려 초기의 귀부를 보면 대개 몸은 거북이로 되어있으나, 머리는 용머리를 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더욱 이 용의 형상은 다양하게 표현이 되고 있으며, 이런 다양한 형태의 귀두로 인해 조금은 특이한 형태의 귀부가 제작되어진다.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에 소재한 연곡사에는 많은 문화재가 소재한다. 그 중 국보인 동부도 곁에 서 있는 동부도비는 보물 제153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이 비는 비문인 몸돌은 없고, 뿔이 없는 용을 새겨 넣은 비석의 받침돌인 귀부와, 머릿돌인 이수만이 남아있다. 비문의 형태가 어떠했는지는 알 수가 없으나. 귀부와 이수로 보아서 일반적인 비에 비해 작은 편이다.


특이한 형태의 동부도비

연곡사 동부도비는 일반적으로 보아 온 비의 받침돌인 귀부와 머릿돌인 이수와는 많이 다르다. 왜 달라 보이는 것일까? 주변을 찬찬히 돌아본다. 그런데 정말로 이해하지 못할 것이 보인다. 거북이의 등에 거북의 문갑대신 무엇인가가 덮고 있다. 좌우를 살펴보니 날개다. 어째서 날개가 거북이의 등을 덥고 있는 것일까?

비와 귀부의 연결부분에는 구름과 연꽃을 조각하였다. 거북이의 머리도 용의 형체이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귀부에서 볼 수 있는 것과는 다른 면이 있다. 예술적인 감각이 뛰어난 고려 초기의 귀부와 귀두에 비해, 조금은 용의 모습을 형상화한 간략한 모습이다. 용머리의 코와 입 주면이 훼손이 된 듯하다.


몸돌인 비는 사라지고 받침돌인 귀부(위)와 머릿돌인 이수만 남아있다.

머리 부분에는 가운데 뒤로 젖혀 뿔이 있었을 듯한데, 이것도 훼손이 된 듯 밋밋하게 표현이 되었다. 고려 초기에 보이는 용머리의 볼에는 지느러미와 같은 날개를 편 듯한 조각이 넓게 퍼지는 것이 보통인데, 너무 적어 조악한 느낌마저 든다.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이 귀부는 무엇인가 숨겨진 비밀이라도 있는 것이 아닐까?

날개를 달고 있는 거북모양인 귀부

앞발은 발톱을 세워 땅을 움켜잡듯 조각이 되었다. 등에 조각한 날개는 중앙부분이 움푹 들어가고 양편이 굴곡지게 조각을 하였다. 그리고 날개에는 선이 그어지고, 위쪽으로는 문양이 그려져 있는데 정확히 무엇을 표현한 것인지는 모르겠다. 문제는 이 귀부의 등에 왜 이런 날개를 조각했을까 하는 점이다.


머리는 일반적인 귀두보다 조악하여 발톱은 무엇인가를 움켜잡으려는 듯 힘이 있다.

이수의 중앙에는 이 비가 누구 것인지를 알리는 글을 판다. 그런데 이 동부도비의 이수에는 네모난 글자를 파는 곳만 만들어 놓고, 글자가 보이지를 않는다. 누구의 비인지 알 수가 없다. 일반적으로 이수에는 용을 조각해 놓는다. 그러나 동부도비의 이수에는 용이 보이지가 않는다. 구름무늬만을 조각해 놓아 단조롭기만 하다.

고려 초기의 비로 추정되는 연곡사 동부도비. 꼭대기에는 불꽃에 휩싸인 연꽃몽우리와 같은 보주를 올려놓았다. 설명에는 이 동부도비가 일반적인 비에 뒤떨어진다고 하지만, 내가 보기에는 오히려 특별한 감이 있다. 도대체 귀부의 등에 조각한 날개는 무엇일까? 혹 동부도에서 보이는 비천인상을 극락조인 가르빙가로 새겨 넣었는데, 그것과 연결이 되는 것은 아닐까?


받침돌인 귀부의 등에는 날개가 달려있는 특이한 형태이다.
 
연곡사 동부도 앞에 서 있는 동부도비에서 쉽게 발길을 돌리지 못하는 것은, 내 얕은 지식이 화가 나서이다. 그리고 더 많은 것을 볼 수 없었음을 탓하는 것이다. 언제나 그 답이 얻어지려는지.

최신 댓글